-
차순임[1927년생] 씨가 들려 준 「아기 장수 우투리」는 어릴 적 부모님께 들었던 이야기라고 한다. 정읍시 입암면 천원마을이 고향인 차순임 씨는 부모님이 종종 자식들에게 이런 저런 이야기를 들려주었다고 한다. 이야기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과부인 어머니가 먹을 것이 없어서 뜸쑥[뜸을 뜨는 데 쓰이는 약쑥]을 달여 먹었더니 윗몸만 있는 ‘우투리’를 낳게 된다. 어머니는...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갑리는 본래 고려 시대의 갑향(甲鄕)이었는데 발음이 잘못 전해져 갑평(甲坪)으로 불리었다. 1910년 갑평 아래쪽이 되므로 아래갑평·하갑평·하갑이라 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청계공(淸溪公) 강순(姜恂)이 동지와 집안 장정 100여 명을 모아 근왕병(勤王兵)을 일으켜 남한산성으로 가던 중 굴욕적인 화친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고창으로 내...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강남리에 있는 아동 양육 시설. 아모스요엘원은 아동복지법에 의거하여 보호자가 양육하기에 부적당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어 보호나 양육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가정이 해체되면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학대받고 있는 0세부터 만 18세 까지의 영·유아,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들을 보호 양육하는 사회 복지 시설이다. 수용 보호가 필요한 아동들에 대한 단...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아산교회는 ‘섬기는 교회’를 표어로, 이웃 사랑을 통한 지역 사회 복음화를 지향하는 교회이다. 지역 복음 전파를 통해 이웃 사랑을 실천하고 오직 예수로서 사람들을 구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아산교회는 6·25전쟁 이후인 1956년 3월 16일 20대 처녀의 몸으로 홀로 아산에 들어온 정영자 전도사에 의해 설립되었다...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에 있는 농공단지. 아산농공단지는 고수미래산업단지[고수농공단지]에 이어 1993년 8월 17일 착공, 완료해 조성한 고창군의 농공단지이다. 고창군의 농공단지는 아산농공단지를 비롯해 고수미래산업단지, 흥덕농공단지, 복분자농공단지 등이 건립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 등에 기여하고 있다. 산업 입지 기반을 조성하여 공장을 유치하고 고용을 창출하며,...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용계리에 있는 댐. 운곡댐은 고창군 아산면을 관통하여 지나가는 주진천[인천강]을 막아 영광원자력발전소 용수 댐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1984년 준공하였다. 운곡댐 건설로 인하여 2개 리가 수몰되어 158세대 360명이 고향을 떠나게 되었다. 아산면 운곡리에서는 운곡 43세대, 안덕 20세대, 신암 15세대, 정천 5세대가, 아산면 용계리에서는 오암 8세대, 신...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행정구역. 아산면은 대아(大雅)의 ‘아’자와 산내(山內)의 ‘산’자를 따서 아산(雅山)이라 하였다. 마한 시대에 모이부곡현, 백제 시대에 모양부리현, 통일 신라 시대에 모양현·고창현, 조선 시대에 고창현이었다. 조선 말기에는 고창군 대아면 지역으로 회진(會津)·쌍천(雙川)·추동(秋洞)·선동(仙洞)·동촌(東村)·사동(寺洞)·양정(良丁)·대야(大也)·서당(書堂)...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에 있는 풍물 단체. 아산면 성틀봉농악단은 2001년 제38회 전북도민체육대회 개막 공연에 참가하고자 설립되었다. 아산면민 체육대회와 아산면 축제에 참가하여 축하 공연을 하고, 농악단 연습실에서 연중 농악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001년 제38회 전북도민체전 개막식에서 ‘고창의 소리’를 주제로 공연하였다. 2002년 제2회 고창농악경연대회 장려상, 2...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에 있는 아산면 관할 행정 기관. 아산면사무소는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과 관련된 지방 행정의 기초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아산면은 마한(馬韓)시대에는 모량부곡(毛良夫曲), 신라시대엔 모량부리(毛良夫里)인 고창현에 속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시 대아면(大雅面)과 산내면(山內面)의 일부를 합쳐 아산면이라 칭하게 되었다. 면사무소가 설치된...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국가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민족 통일의 의지를 가진 사람[애국인], 면학 풍토 조성으로 부지런히 배우고 스스로 배우고 실천하는 사람[면학인], 근면 검소하며 민주 시민의 자질을 길러 사회에 봉사하는 사람[자주인], 탐구력을 배양하고 소질과 특기를 길러 합리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과학인], 굳센 의지와 건강한 체력을 연마...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참됨과 꿈을 기르는 아산 교육을 대전제로 하여 예절 바른 어린이[도덕인], 슬기로운 어린이[창조인], 건강한 어린이[건강인]의 1강[건강] 3성[인성·개성·창의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33년 4월 26일 아산보통학교로 개교하여 1941년 4월 아산공립국민학교로 개칭하였다. 1957년 9월 삼인분교를 개교하였고, 196...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12월 22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동지는 12월 22일로서 ‘아세(亞歲)’, ‘작은설’이라고도 일컫는다. 음력으로는 11월에 해당하므로, 11월을 동짓달이라고 한다. 동지는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동짓날에는 팥죽을 쑤어 조상을 위하는 차례를 지내고, 마당 등에 팥죽을 뿌려 잡귀의 출입을 막는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고대인...
-
전라북도 고창군 소요산 소요사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양치식물 고란초과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고란초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고란사에서 처음 발견되어 고란초라고 불렸는데, 최근 이곳에서는 고란초를 발견할 수 없다. 고란사의 고란초를 가지고 있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믿음과 사람들이 남획하면서 사라지게 되었다. 현재 산림청에서 선정한 희귀식물로 보호 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옆...
-
동학농민혁명은 고부 농민 봉기가 도화선이 되어 일어났다. 고부에는 조선 후기부터 왕실 소유의 토지가 몰려 있었는데, 이를 관리하는 관리의 비리와 조세 운반을 맡은 전운사 조필영의 강제적인 세금 징수, 그리고 지역 관리의 비리 등으로 이 지역 농민들은 관리들에 대한 불만과 국가에 대하여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 1892년 4월 부임한 고부군수 조병갑의 포악하고 가혹한 정치가 전...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군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5층 이상의 공동 주택. 아파트는 아파트먼트 하우스(apartment house)의 약어로서 불어인 아파르트멍(appartment)에서 유래한다. 아파트는 5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로 4~5층의 저층 아파트와 수직 교통수단인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죽산(竹山). 호는 황국재(篁菊齋). 호조좌랑을 지낸 안복(安福)의 7세손이다. 안건(安建)은 부모가 병이 나자, 자신을 비롯해 세 동생으로 하여금 손가락을 베어 그 피를 부모에게 먹여 생명을 연장케 하였는데, 이것이 세상에 알려지자 한 집안에 효자가 넷이나 났다[一門四孝]는 칭찬이 자자하였다. 상(喪)을 당하자 예법에 따라 하고, 초하루와 보...
-
전라북도 고창군 출신의 정치가. 안기남(安基南)[1914~?]은 지금의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서 태어났다. 면장을 지냈으며, 1952년 5월 10일 치러진 제1대 도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고창 지역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고창마을금고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
김방경을 시조로 하고 김을만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안동김씨(安東金氏)의 시조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1212~1300]은 경순왕의 후손이다. 고려 시대에 삼별초와 왜구를 섬멸한 공으로 정난정국공신(定難靖國功臣)이 되어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다. 파조 익원공 김사형(金士衡)의 현손인 김을만(金乙萬)[1458~1525]이 단종이 폐위된 뒤 남쪽으로...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안산리는 풍수지리상 임해마을 뒷산으로부터 내려오는 산 능선이 기러기가 진을 치고 날아가는 형국이라 하여, 안진(雁陣)머리라 불렸다. 풍수지리에서 갈마음수(渴馬飮水) 형태의 터에 말 안장이 옆에 있다하여 ‘안산(鞍山)’으로 부른다. 안장이 떨어져 ‘혁(革)’자를 떼어낸 뒤 ‘안산(安山)’으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1450년대 부산김씨(釜山金氏)...
-
조선 전기 고창 출신의 선비. 안서순(安瑞順)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참봉(參奉)에 이르렀다. 안순서(安順瑞)로도 불렸다. 성격이 맑고 깨끗하며 굽힘이 없었다. 민생을 위해서, 혹은 임금의 잘못된 정사나 권신의 독단적인 행태에 대해 목숨을 돌보지 않고 상소를 올려 고칠 것을 주장하였다. 1554년(명종 9) 상소하면서 굶주린 백성들이 유리걸식(流離乞食)하는 모양을...
-
조선 전기 고창 출신의 선비. 안서순(安瑞順)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참봉(參奉)에 이르렀다. 안순서(安順瑞)로도 불렸다. 성격이 맑고 깨끗하며 굽힘이 없었다. 민생을 위해서, 혹은 임금의 잘못된 정사나 권신의 독단적인 행태에 대해 목숨을 돌보지 않고 상소를 올려 고칠 것을 주장하였다. 1554년(명종 9) 상소하면서 굶주린 백성들이 유리걸식(流離乞食)하는 모양을...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안산리는 풍수지리상 임해마을 뒷산으로부터 내려오는 산 능선이 기러기가 진을 치고 날아가는 형국이라 하여, 안진(雁陣)머리라 불렸다. 풍수지리에서 갈마음수(渴馬飮水) 형태의 터에 말 안장이 옆에 있다하여 ‘안산(鞍山)’으로 부른다. 안장이 떨어져 ‘혁(革)’자를 떼어낸 뒤 ‘안산(安山)’으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1450년대 부산김씨(釜山金氏)...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하련리에 있는 시장. 해리시장은 상설 시장이면서 4일과 9일마다 열리는 정기 시장이다. 해리시장 이전 명칭은 안자시장이었다. 안자시장은 조선 시대의 향시로부터 이어져온 전통적인 재래시장으로서 일제 강점기에는 1호 시장으로 분류되었다. 6·25전쟁 이후 오일장으로는 고창 지역에서 가장 먼저인 1956년에 개장되었다. 현재의 시장은 1961년 유통 기구 근대화와...
-
고려 전기 무송유씨 시조.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구수(龜壽). 고려 태사(太師) 유금필(庾黔弼)의 5세손이다. 유녹숭(庾祿崇)은 문종 때 학행으로 천거되어 벼슬길에 올랐다. 1099년(숙종 4)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가 되었다가 1102년(숙종 7) 좌산기상시로 자리를 옮겼다. 그 해 가을 지서북면병마사(知西北面兵馬使)를 거쳐 추밀원부사 겸 태자빈객를 역임한 뒤 무송부원군(茂...
-
나천서를 시조로 하고 나순효를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안정나씨(安定羅氏) 시조 나천서(羅天瑞)는 나총례(羅聰禮)의 10세손인 나윤(羅允)의 둘째 아들로 1370년(공민왕 19)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랐고 안정백(安定伯)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의성군 안정에 세거하면서 안정(安定)을 본관으로 하고 나천서를 1세조로 하여 대를 이어 오고 있다. 나천서...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안산리는 풍수지리상 임해마을 뒷산으로부터 내려오는 산 능선이 기러기가 진을 치고 날아가는 형국이라 하여, 안진(雁陣)머리라 불렸다. 풍수지리에서 갈마음수(渴馬飮水) 형태의 터에 말 안장이 옆에 있다하여 ‘안산(鞍山)’으로 부른다. 안장이 떨어져 ‘혁(革)’자를 떼어낸 뒤 ‘안산(安山)’으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1450년대 부산김씨(釜山金氏)...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에서 오산리로 넘어가는 고개. 소요산 자락에 있는 질마재는 미당 서정주 시인이 유년기에 고향 사람들과 겪었던 풍속을 산문 양식으로 담은 여섯 번째 시집 『질마재 신화』의 주요 무대이다. 시인은 전통적인 ‘이야기꾼’으로 변모하여 촌락 사회의 일상에서 우리 고유의 전통을 발굴하고, 질펀한 토속어로 흥미진진한 일상의 삶을 신화적 단계로 끌어올리는 탁월한 능력...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송현리에 있는 체험 마을. 안현돋음볕마을은 2006년 녹색 체험 마을로 선정되면서 자연 체험, 농사 체험, 생활 문화 체험, 놀이 체험을 마련하여 인적이 드문 농촌 마을을 활성화시키고자 조성되었다. 미당(未堂) 서정주(徐廷柱)[1915~2000]와 그의 시를 기리기 위해 2005년부터 마을 뒷산에 국화꽃을 심고, 2006년 10월 ‘100억송이국화축제’를 개...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송현리에 있는 체험 마을. 안현돋음볕마을은 2006년 녹색 체험 마을로 선정되면서 자연 체험, 농사 체험, 생활 문화 체험, 놀이 체험을 마련하여 인적이 드문 농촌 마을을 활성화시키고자 조성되었다. 미당(未堂) 서정주(徐廷柱)[1915~2000]와 그의 시를 기리기 위해 2005년부터 마을 뒷산에 국화꽃을 심고, 2006년 10월 ‘100억송이국화축제’를 개...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무당을 중심으로 민간에 전승되는 습속. 무속 신앙은 그 범주가 너무 넓어 단적으로 표현하기 힘들다. 대개 외래 종교인 불교, 유교, 기독교의 상대적 개념으로 이해되어 오지만 역사적 변천 과정에 따라 또 이들과 충돌하고 습합하면서 전개되어 온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흔히 샤머니즘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전라북도 지역의 씻김굿과 앉은굿 등의 병존 현상을 고려해 볼...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주로 경문을 구송하는 방식으로 행해지는 앉은굿. 독경은 경문을 읽어 악귀를 몰아내고 수복을 기원하는 무속 의례이다. 이를 법사굿, 앉은굿 등이라고도 한다. 본래 독경은 무경(巫經)을 말하는데, 경객(經客)들이 치병을 위하여 축귀할 때 읽거나 길성흉소(吉盛凶消)와 부귀수복(富貴壽福)을 빌어 축원할 때 송독(誦讀)하는 기원문이나 주사(呪辭)를 말한다. 고창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 속하는 법정리. 암치리는 암치마을 뒷산 칠성산의 고개를 넘어면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으로 갈 수 있는데, 이 고개에 바위가 많이 깔려 있어 ‘암치(岩峙)’라고 했다 한다. 입조 시기는 뚜렷하지 않으나, 고려 후기 청주한씨(淸州韓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성동면(星洞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성송면 암치리 암치마을은 성송면에서 전라남도 지방으로 넘어가는 고개 입구에 속한다. 마을 일원에는 30여 기의 고인돌이 있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멸실되고 암치리 암치마을 옆 진등에 5기, 마을 남쪽에 2기가 있으며, 발굴 조사된 대형의 고인돌 1기가 남아 있다. 1999년 고창농지개량조합에서 농촌 용수 개발 사업...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에 있는 고려 시대 불상. 암치리 선각석불좌상은 암치리 마을 앞산에 있는 석산 바로 옆에 우림정(友林亭)이 있었는데, 그 뒤의 암벽 아래에 높이 약 3m의 타원형 석판에 선각으로 조각한 것이다. 현재 우림정은 없어지고 담장 일부만 남아 있다. 암치리 선각석불좌상은 두께가 약 20㎝ 정도이고, 그 안에 원형의 두광을 지닌 석불좌상을 얼굴에서부터 신체 아래...
-
1923년 9월 고창 지역의 암치보통학교 학생들이 일으킨 항일 학생 운동. 1923년 9월 암치보통학교 5~6학년 학생 80여 명은 5일부터 동맹 휴학을 결의하였다. 그 이유는 암치보통학교 일본인 교원 구와바라[桑原篤信]가 평소 음주를 과다하게 하였고, 술을 마신 상태로 수업을 하면서 주정을 부리는 등 태도가 좋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구와바라가 지나친 음주로 교육자로서의 품위를 손...
-
1960~1980년대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농경지 및 축산 용지 개간을 위해 시행된 야산 개발 사업. 야산개발사업은 국토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의 산지 중 농경지와 축산을 위한 목초지로의 전용이 가능한 야산을 농경지와 축산 용지로 개간하여 부족한 식량 생산과 축산업을 진흥시키기 위해 1962년에 공포된 「개간촉진법」에 의해 시행된 사업이다. 야산개발사업에 의해 고창군에서...
-
조선 후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광보(光輔), 호는 야수(野叟). 고려 시대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낸 경평공(景平公) 채송년(蔡松年)의 후손으로, 예조판서를 역임한 채충경(蔡忠敬)의 현손(玄孫)이다. 아버지는 채치의(蔡致義)이다. 채홍국(蔡弘國)은 1534년(중종 29) 전라북도 부안에서 태어나 장성한 후에 흥덕 남당촌으로 이주했다. 천성이 너그럽고...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이며, 자는 처인(處仁), 호는 야은(野隱)이다. 1867년(고종 4) 전라북도 고창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은암(隱巖) 배환영(裵煥榮)이다. 배인기(裵仁基)는 태어난 지 7개월 만에 부모를 잃고 할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1890년(고종 27) 송세헌(宋世憲)의 추천으로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에 임명되었다가 1891년 사...
-
고려 시대 고창 지역에 설치된 특수 행정구역. 『신증동국여지승람』전라도 무장현 고적조에 "약수향은 염정(鹽井)을 약수라고 일컫는다[藥水鄕鹽井稱藥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도 『대동지지(大東地志)』, 『여지도서(輿地圖書)』, 『고창현읍지(高敞縣邑誌)』 등에 관련 기록이 있다. 약수향은 무장현에 소속되어 있던 향으로 지금의 심원면 월산리 일대이다. 관련 기록에 따르면 현의 북...
-
조선 후기 고창 지역에 유배되었다가 난을 도모한 역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양경(良卿). 증조할아버지는 박황(朴潢)이고, 할아버지는 박세환(朴世桓)이다. 아버지는 박태진(朴泰進)이며, 어머니는 김덕승(金德承)의 딸이다. 박필몽(朴弼夢)은 1710년(숙종 36)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고, 사서와 정언을 거쳤다. 1716년(숙종 42) 병신처분(丙申處分)으로 소론...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에 속하는 법정리. 양계리는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석양리(石陽里)와 계동리(桂洞里)에서 ‘양(陽)’자와 ‘계(桂)’자를 따 ‘양계(陽桂)’가 되었다. 1630년경 전주이씨(全州李氏)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흥덕군(興德郡) 일동면(一東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내퇴리·운등리(雲嶝里...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석정리에서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죽청리로 넘어가는 고개. 고창 출신 박의(朴義) 장군이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청나라 누루하치 장군의 사위인 적장 양고리(陽古利)를 사살한 것을 기념하여 붙인 이름이다. 박의 장군은 1599년(선조 32) 고수면 초내리 산양동에서 관찰사 양오공의 종손으로 태어났다. 말을 잘 타고 총을 잘 쏘아 박포수로 불릴 정도...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석정리에서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죽청리로 넘어가는 고개. 고창 출신 박의(朴義) 장군이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청나라 누루하치 장군의 사위인 적장 양고리(陽古利)를 사살한 것을 기념하여 붙인 이름이다. 박의 장군은 1599년(선조 32) 고수면 초내리 산양동에서 관찰사 양오공의 종손으로 태어났다. 말을 잘 타고 총을 잘 쏘아 박포수로 불릴 정도...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석정리에서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죽청리로 넘어가는 고개. 고창 출신 박의(朴義) 장군이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청나라 누루하치 장군의 사위인 적장 양고리(陽古利)를 사살한 것을 기념하여 붙인 이름이다. 박의 장군은 1599년(선조 32) 고수면 초내리 산양동에서 관찰사 양오공의 종손으로 태어났다. 말을 잘 타고 총을 잘 쏘아 박포수로 불릴 정도...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양수(陽叟), 호는 수한(睡漢). 허재(虛齋) 유혜원(柳惠源)의 6세손으로, 아버지는 유상현(柳象賢)이다. 유세기(柳世箕)는 가학(家學)으로 한문을 익히고, 성장하자 서당에 나가 경전과 사서(四書)를 두루 섭렵하였는데, 시문(詩文)에도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고 한다. 어려서부터 효행의 가풍을 계승하여 부모를 지성으로 모셨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배추와 양하를 주재료로 담근 김치. 양하는 양파와 모양은 비슷하나 보라색을 띠는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남부 지방의 사찰이나 민가에 분포하며,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도 많이 자란다. 9월에 나오는 부드러운 새순은 회·무침·국·산적. 고기볶음에 쓰이고, 봄철 쇠었을 때는 장아찌나 김치를 담가 먹거나 전으로 부쳐 먹는다. 특히 여름에는 양하 잎으로 쌈을 싸 먹기...
-
근대와 현대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영광(靈光)이며, 자는 사중(士中), 호는 양천(陽泉)이다. 1882년(고종 19)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해룡리에서 태어났다. 감찰을 지낸 정극명(丁克明)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정영희(丁永喜)이다. 정대수(丁大秀)는 25세 때인 1906년(고종 43) 경의책(經義策)으로 박사 초시에 합격했으나, 동생이 죽자 벼슬할 뜻을 버리고 주경...
-
전라도 지역에서 짚이나 억새로 지붕을 이은 마을의 정자. 모정은 마을 주민들에게 개방된 마루로 된 정자로서 전라도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농경 문화의 유산이다. 모정은 시정, 유산각, 농청, 농정, 동각, 양청 등과 같은 명칭으로 두루 쓰인다. 모정은 마을 사람들이 여름철의 더위를 피하여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자, 다양한 농사 정보를 주고받는 정보 교류의 공간이다. 또 마을 대소사를...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배추와 양하를 주재료로 담근 김치. 양하는 양파와 모양은 비슷하나 보라색을 띠는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남부 지방의 사찰이나 민가에 분포하며,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도 많이 자란다. 9월에 나오는 부드러운 새순은 회·무침·국·산적. 고기볶음에 쓰이고, 봄철 쇠었을 때는 장아찌나 김치를 담가 먹거나 전으로 부쳐 먹는다. 특히 여름에는 양하 잎으로 쌈을 싸 먹기...
-
조선 전기 전라북도 고창 출신의 무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대건(大健), 호는 죽강(竹岡). 할아버지는 고려조의 대신으로 공훈을 세워 낙천군(洛川君)에 봉해진 김수(金隨)이고, 아버지는 직제학을 지낸 김미(金彌)이다. 어머니는 개성소윤을 지낸 정길(丁佶)의 딸 나주 정씨(羅州 丁氏)이다. 슬하에 김원량(金原亮), 김희량(金希亮), 김문량(金文亮) 삼 형제를 두었다. 김빈길(...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에 있는 전통 음식 체험 농장. 양혜영의 참살이교육농장은 친환경 농법으로 생산한 농가의 농산물을 식자재로 이용하여 천연 재료의 맛을 살린 전통 조리법을 개발,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농촌진흥청에서 시행하는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2008년에 개장하였다.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은 농촌 체험 마을에서 한 단계 발전한 프로그램으로, 농촌...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에 있는 전통 음식 체험 농장. 양혜영의 참살이교육농장은 친환경 농법으로 생산한 농가의 농산물을 식자재로 이용하여 천연 재료의 맛을 살린 전통 조리법을 개발,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농촌진흥청에서 시행하는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2008년에 개장하였다.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은 농촌 체험 마을에서 한 단계 발전한 프로그램으로, 농촌...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어로 활동에 사용하는 전통적인 도구. 어촌 사람들은 바닷가에 살면서 기본적으로 어로에 의존해 생활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어로 기술과 어구가 발달하게 되었다. 어구는 구성 재료에 따라 그물어구[網漁具]와 낚시어구[釣漁具], 그리고 기타 재료로 된 잡어구(雜漁具)의 3가지로 나누어진다. 고창군 심원면 월산리 사등마을과 곰소만[줄포만] 일대에서는 넓은 개펄이 펼쳐져...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김해김씨 김극일의 직계 근친 25명의 의사와 다섯 명의 열부를 기리는 조선 후기 정려각. 어사각은 임진왜란부터 정유재란까지의 7년간의 전투에서 전사한 김해김씨 삼현파 한림공 용(勇)의 후손들과 그 비보를 받고 자결한 부인들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건물이다. 이들은 김해김씨[일명 삼현파] 의 후예로 김해김씨 단도판서공파, 일명 삼현파의 절효공 김극...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김해김씨 김극일의 직계 근친 25명의 의사와 다섯 명의 열부를 기리는 조선 후기 정려각. 어사각은 임진왜란부터 정유재란까지의 7년간의 전투에서 전사한 김해김씨 삼현파 한림공 용(勇)의 후손들과 그 비보를 받고 자결한 부인들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건물이다. 이들은 김해김씨[일명 삼현파] 의 후예로 김해김씨 단도판서공파, 일명 삼현파의 절효공 김극...
-
구암리 구수마을에서 제일 유식한 사람은 누구일까? 이에 대해 동네 사람들은 하나같이 전윤오[1938년생] 씨를 가리킨다. 그래서 외지에서 온 사람들이 그에게 구수내[구수마을]에 관한 역사나 인근 지역의 역사에 대해 물어 볼라치면 “어찌 다들 나한테만 물어 본다요?” 하면서 쑥쓰러워한다. 하지만 그 기색이 어쩐지 싫지만은 않아 보인다. “구수내라고 헌 것은, 그 전에는 거...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방송, 신문, 잡지 등의 매체를 통하여 사실을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활동. 언론은 고창 지역의 정치·사회·문화·교육·사회 전반에 걸친 정보의 소통을 위한 수단이다. 말이나 글로써 신문이나 방송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문제를 제기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활동을 통틀어 말한다. 출판은 책·잡지·소책자를 인쇄하여 필요한 사람에게 판매하거나 배포하는 일련의 행위...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쓰이는 특이한 단어나 언어적 현상. 한 언어에 속하면서 특정 지역에서 특정한 음운적·형태적·어휘적 속성을 보이며 쓰이는 언어를 방언, 또는 지역어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방언이란 공통어나 표준어와는 다른 어떤 지역만의 특유한 단어나 언어 사용법을 말한다. 보통 사투리라고도 불리나, 이 단어는 규범적인 면에서 다소 비하된 개념이므로 언어학 용어로는 쓰지 않는...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군. 본명은 항영(恒永)인데, 공삼(公三)이라고도 불렸다. 1860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구암리에서 태어났다. 엄흥삼은 일찍이 동학에 입교(入敎)하였다. 동학 농민 혁명에 참여했다가 살아남은 동학 교도들이 비밀리에 조직한 것이 영학당(英學黨)이었다. 이들은 결사 조직으로 탐학한 관리들을 몰아내는 데 앞장섰는데, 그것이 바로 1899년 4...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남익(南翊), 호는 여곡(麗谷). 아버지는 참봉 고응진(高應軫)이다. 고덕붕(高德鵬)은 41세 때인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창의(倡義) 격문을 작성하여 동지를 규합한 뒤 의병장 고경명(高敬命) 진영이 있는 금산으로 달려갔다. 그러나 이때 고경명은 이미 순절한 뒤여서 고향으로 돌아와서 채홍국(蔡弘國) 등...
-
옛날 부안면 선운리 진마마을 사람들은 농업과 어업을 겸했다. 농사철이 되면 농부로 살았고 바다에 나가면 어부로 살았다. 하지만 바다를 막는 거대한 토목 공사가 시작되면서 마을 사람들은 더 이상 어부로 살 수 없었다. 바다는 농토로 변하고 어부는 농부가 되었다. 간척이 된 이후로 마을 사람들은 농사를 주업으로 삼고 있다. 진마마을의 땅은 농사짓기에 그리 좋은 땅은 아니다. 자갈이 많...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고창 지역 여성들의 권리와 지위 확립을 위해 벌인 사회운동. 일제 강점기 고창 지역에서 두드러진 여성 운동은 없다. 다만 종교 단체, 특히 기독교 단체와 안식일교회 등에서 여성들을 대상으로 야학을 개설하여 여성 계몽에 앞장서고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 야학은 공립보통학교나 사립보통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청소년이나 학비 마련이 어려운 처지의 빈한한 청소년들을 모아...
-
전라북도 고창군에 분포하고 있는 수령 약 200~350년 된 9그루의 소나무 노거수. 소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로 한국, 중국 북동부, 우수리,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솔, 소나무, 소오리나무라고 한다. 줄기는 높이 35m, 지름 1.8m 정도이며 나무 껍질은 붉은빛을 띤 갈색이나, 밑부분은 검은 갈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서 나고 길이 8~9㎝, 너비 1.5㎜이다. 현...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여수(汝壽). 할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유춘발(柳春發)이고, 아버지는 효행으로 통덕랑(通德郞)이 된 유동신(柳東信)이다. 유철견(柳鐵堅)은 1583년(선조 16) 고창 양곡리[현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노동리]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숙부 유동휘(柳東輝)와 함께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 들어가 경사(經史)를 섭렵하였다. 1615...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만화리·신촌리와 공음면 신대리에 걸쳐 있는 산. 왕제산(王帝山) 정상은 선인봉과 옥녀봉의 두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지역 주민들은 선인과 옥녀 형상의 산이라고 하여 왕제산(王帝山), 왕재산 또는 왕산이라 부르며 신령스럽게 여겼다. 또한 풍수지리상 여우의 꼬리를 물고 있는 형상이라서 ‘여시뫼봉’이라고도 부른다. 왕제산은 선운지맥과 전라남도 영광군의 산줄기를...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신대리와 무장면 신촌리에 걸쳐 있는 개항기 동학 농민군의 숙영지. 1894년 1월 고부에서 봉기한 농민들은 3월 초에 해산하였으나, 고부 봉기의 조사과정에서 농민들에 대한 횡포가 극심하여 전봉준(全琫準) 등은 3월 20일경 무장에서 전라도 일대의 농민들을 모아 「무장포고문」을 발표하고 재봉기하였다. 이때 고부·태인·부안 등지를 점령한 농민군은 황토현 전투에서...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학자.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여실(汝實), 호는 성은(城隱). 할아버지는 유익하(柳翊夏)이고, 아버지는 유해종(柳海宗)이다. 유광적(柳光迪)은 1715년(숙종 41) 고창읍 양곡리[현 고창읍 노동리]에서 태어났다. 다섯 살 때인 1719년(숙종 45) 아버지를 여의고, 열다섯 살 때인 1729년(영조 5) 어머니까지 잃었다. 고애자로 성장한 그는 어려서...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여옥(汝玉), 호는 인천(仁川). 호암(壺巖) 변성온(卞成溫)[1530~1614]의 아우로 1549년(명종 4)에 출생했다. 형을 따라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학행이 높아 참봉을 제수했으나 나가지 않았고, 형과 함께 아산면 반암리 호암(壺巖)마을 밑에서 은거(隱居)하...
-
조선 중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여윤(汝潤), 호는 호암(壺巖). 문열공(文烈公) 변정실(卞庭實)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변원종(卞元宗), 할아버지는 직장 변응소(卞應韶)이다. 아버지는 증절충장군(贈折衝將軍) 변구(卞球)이며, 어머니는 청도김씨(淸道金氏)로 김유형(金宥亨)의 딸이다. 부인은 밀양박씨(密陽朴氏)로 박구(朴玖)의 딸이다. 동생은 변성진(卞...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암리 정산사에 배향된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여중(汝衆). 창녕 조씨 시조인 조계룡(曺繼龍)과 평장사(平章事) 조자기(曺自奇)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소감(少監) 조준(曺俊)이고, 할아버지는 소감 조인취(曺仁取)이며, 아버지는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 조원유(曺元宥)이다. 조서(曺庶)는 야은(壄隱) 전녹생(田祿生)의 문하에서 수학하였...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독교 계통의 신종교. 여호와의 증인은 1870년대 초에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앨러게이니에서 찰스 테이즈 러셀을 중심으로 하는 ‘작은성서 연구 그룹’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881년에는 ‘시온의 워치타워 책자협회’가 설립되었고, 뒤에 협회의 명칭이 ‘펜실베이니아 워치타워 성서책자협회’로 바뀌었다. 1909년경에는 여호와의 증인이 국제적 규모로 확산되면...
-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전라북도 고창군의 역사. 고창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三國史記)』권36, 잡지 제5 무량군편에서 “백제의 모량부리현(毛良夫里縣)을 신라 경덕왕 때 고창현(高敞縣)으로 고쳐 불렀다.”는 기사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 현재의 고창군은 신라 때에 고창현으로 무령군이 관할하였고, 고려 시대에는 고부군에 속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고창현이 되었고, 조선 후기에...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연(渷), 호는 충효당(忠孝堂). 아버지는 공조판서에 증직된 서호(徐浩)이다. 서경춘(徐景春)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남도 장성 남문에서 창의하여 군량관으로 군량 3만여 석을 모았다. 정유년에 양친과 아내 김씨가 같은 날 순절했다는 소식을 듣고 돌아와 6년을 시묘하였다. 충효(忠孝)를 겸하여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 전라남도...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봉산리에 있는 연경전자주식회사의 플라스틱 가공품 및 서모스탯 제조 공장. 연경전자주식회사는 지속적인 투자를 하여 성실, 기술, 화합을 바탕으로 이윤을 창출하여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1991년 연경전자주식회사 고창공장을 설립하였다. 건립 초기에는 소니사의 음향기기인 헤드폰을 OEM 방식으로 생산하였고, 이후 시장의 흐름에 따라 냉장고 온도 감지 센서,...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행해지는 공연 예술 중 무대에서 배우나 그 외 전달 매체의 연기를 통해 관객에게 내용을 전달하는 종합 예술. 고창군에서 연극 활동이 활발한 편은 아니다.1995년 연극 「꽃신」이 공연되기도 하였다. 고창에서 공연된 공연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고창군은 동학 농민 혁명을 주도했던 전봉준의 태생지이다. 또한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구수마을은 1894년 3월 20...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절 터. 연기사(烟起寺) 창건에 대해서 연기조사 창건설과 도선국사 창건설이 있다. 연기조사가 절을 창건하였다는 설이 설득력을 갖는다. 지리산 화엄사를 창건하기도 한 연기조사는 황룡사 출신 승려로, 신라 경덕왕 때의 인물이다. 연기사의 창건 경위나 그 내력은 알 수 없다. 다만 연기사 터의 발굴, 조사를 통해 고려 시대와...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절 터. 연기사(烟起寺) 창건에 대해서 연기조사 창건설과 도선국사 창건설이 있다. 연기조사가 절을 창건하였다는 설이 설득력을 갖는다. 지리산 화엄사를 창건하기도 한 연기조사는 황룡사 출신 승려로, 신라 경덕왕 때의 인물이다. 연기사의 창건 경위나 그 내력은 알 수 없다. 다만 연기사 터의 발굴, 조사를 통해 고려 시대와...
-
개항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원래 이름은 연도(然道), 이명(異名)은 용수(容洙)이다. 공선(公先)은 자로, 성오(星五)는 또 다른 자이다. 1863년 지금의 전라북도 정읍군 내장면 금붕리에서 태어났다. 손화중(孫華仲)의 처남이다. 유공선은 손화중과 함께 지리산 청학동에 들어갔다가 동학에 입교(入敎)하였다. 손화중과 함께 1894년...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연동리는 마을에 연방죽[연화제(蓮花堤)]이 있어 ‘연동’·‘연화’·‘연화동’으로 불렸다고 한다. 1590년경 함양오씨(咸陽吳氏) 오구(吳球)가 장동마을에 터를 잡았고, 1640년대에는 능성구씨(綾城具氏) 구이생(具以生)이 연화동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장자산면(莊子山面)의 지역으로, 1914...
-
전라북도 고창 지역의 오거리 당산제에서 3단으로 된 청색과 흰색 연등을 모래주머니로 던져 끄는 놀이. 연등놀이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풍물패가 고창 오거리 당산제가 끝난 후 뒤풀이를 하고 가장 먼저 이어서 하는 것이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 놀이이다. 고창에서는 이를 ‘연등놀이’라고도 한다. 연등놀이눈 중거리 당산을 남북을 기준으로 동부와 서부로 갈라서 겨루게 된다. 중거리 당산은 고...
-
이무를 시조로 하고 이척·이여상·이유징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연안이씨는 당나라 장군 이무(李茂)를 시조로 한다. 이무는 660년(무열왕 7) 소정방(蘇定方)이 신라의 동맹군으로 백제를 침공했을 때 중랑장(中郞將)으로 따라왔다가 신라에 귀화한 것으로 전해진다. 연안이씨 고창군 입향조인 이탕(李湯)은 좌의정을 지낸 이원발(李元發)...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수앙리에 있는 개항기 연안이씨 가문의 정려. 연안이씨 이우락(李遇洛)은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자라 부모 봉양을 해보지 못한 것이 한이 되어 소급해서 3년 상기를 치렀다. 여막에서 정성을 들여 시묘하면서 통곡하는 정성은 보는 사람의 심금을 울렸다. 선산에 벌레가 생기자 까마귀나 까치가 와서 쪼아 호위하여 주었다고 전한다. 이우락은 계모를 친어머니와 같이 모셨으...
-
참죽나무의 어린잎으로 무침, 전, 부각, 쌈 등으로 만들어 먹는 전라북도 고창 지역의 향토 음식. 참죽나무는 먹구슬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중국에서 고려 말엽에 들어온 귀화 식물이다. 중부 이남과 해안에 주로 생육하여 수평적으로 서해안 백령도와 동해안 설악산 입구까지 단목으로 자생한다. 봄철에 나는 참죽나무의 새순을 가죽잎나물이라고 하며 연엽채, 춘엽채(椿葉菜)라고도 한...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향교에서 1967년 편찬한 무장현 지역의 유림 연원록. 『송사유림연원록(松沙儒林淵源錄)』은 우리나라 유학의 연원과 고창 지역 여러 문인들의 성명과 자·호·생년·본관·행적 등을 간단히 붙여서 편찬한 책이다. 송사(松沙)는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개명된 무송(茂松縣)과 장사(長沙縣) 두 지명을 가리킨다. 조선 시대인 1417년(태종 17) 두 현을 합하여...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연동리는 마을에 연방죽[연화제(蓮花堤)]이 있어 ‘연동’·‘연화’·‘연화동’으로 불렸다고 한다. 1590년경 함양오씨(咸陽吳氏) 오구(吳球)가 장동마을에 터를 잡았고, 1640년대에는 능성구씨(綾城具氏) 구이생(具以生)이 연화동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장자산면(莊子山面)의 지역으로, 1914...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연화리는 연화봉(蓮花峯)[224m]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연화라 하였다. 조선 시대 무장군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연화리·월산리(月山里)·화산리(花山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연화리라 하고 심원면에 편입하였다. 금산(琴山) 남쪽에 산세가 순하고 아름다워 각시와 같다는 각시매[일명 씨산(氏山)]가 솟아...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연화리 금산마을에 있는 당산. ‘각시메마을’은 금산마을의 옛 이름이다. 마을의 중앙 회관 앞 길가에 높이 1.5m, 둘레 80㎝의 선돌이 하나 있는데, 옛날부터 액을 막고 마을을 지킨다고 여겨왔다. 연화리 금산마을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당산제를 지낸다. 음력 1월 15일 오전에 별도로 제관을 선정하지 않고 각 가정 단위로 제를 지내며, 당산에 바치는 제수로는...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연화리 2구 화산마을에 있는 당산. 화산마을은 검당 소금전시관에서 1㎞ 정도 떨어져 있고, 참당암에서 3㎞ 거리에 있다. 화산마을에는 마을 북쪽 입구에서부터 하천을 따라 둘레 2m 가량의 팽나무와 느티나무, 소나무 고목이 즐비해 숲을 이루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들을 모두 당산나무라고 하는데, 그중에 마을에서 가까이에 있는 팽나무의 수령이 가장 오래되...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덕림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 연화사(蓮花寺)는 1948년에 주지 도명(道明)에 의해 개창하여 1972년 7월 5일 한국불교 태고종에 등록하였다. ‘수행의 사회적 실천’을 통해 어렵고 소외된 이웃에게 마음을 다하는 봉사의 실천과 ‘찾아가는 불교 포교’의 일환으로 불교의 대중 포교에 전력하고 있다. 연화사는 작은 규모의 사찰로, 주변 경관이 매우...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연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연화저수지는 고창군 심원면의 연화리와 월산리 일대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월산천의 상류를 막아 건립한 저수지로서, 1939년 착공하여 1945년에 준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죤형]이며, 제방 체적은 2만 8000㎥, 제방 길이는 146.9m, 제방 높이는 9.3m이다. 총저수량은 71만 2000t, 유효 저수량은...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연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연화저수지는 고창군 심원면의 연화리와 월산리 일대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월산천의 상류를 막아 건립한 저수지로서, 1939년 착공하여 1945년에 준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죤형]이며, 제방 체적은 2만 8000㎥, 제방 길이는 146.9m, 제방 높이는 9.3m이다. 총저수량은 71만 2000t, 유효 저수량은...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남편에 대한 정절을 지켜 포상을 받은 여자. 위난을 당하여 목숨으로 정조(貞操)를 지켰거나 또는 오랜 세월에 걸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守節)한 부녀자들을 일반적으로 열녀라 부른다. 열녀는 고대에도 보이는데,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 등에 나오는 신라 진평왕 때의 설씨녀(薛氏女) 이야기, 백제 개루왕 때의 도미(都彌) 처 이야기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고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남편에 대한 정절을 지켜 포상을 받은 여자. 위난을 당하여 목숨으로 정조(貞操)를 지켰거나 또는 오랜 세월에 걸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守節)한 부녀자들을 일반적으로 열녀라 부른다. 열녀는 고대에도 보이는데,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 등에 나오는 신라 진평왕 때의 설씨녀(薛氏女) 이야기, 백제 개루왕 때의 도미(都彌) 처 이야기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고려...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에 있는 염규윤이 살았던 고택. 1979년에 설립된 고창 강호학원[현 강호항공고등학교]의 초대 교장을 지낸 염규윤이 살던 집이다. 만석꾼의 집이었던 만큼 제대로 규모를 갖춘 한옥이다. 무장면 서북쪽 국도가 지나가는 길목에 있는데, OK슈퍼 옆 골목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염규윤 고가가 있다. 대문이 동향으로 나 있다. 염규윤은 1976년에 이 집을 구입하여...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고성리 사미마을에 있는 김해김씨 사당. 고성리 사미마을 염수재는 사미마을 서쪽 산정에 위치하고 있어 경관이 수려하다. 마을 경로회관을 지나 서쪽으로 난 길을 따라 올라가면 된다. 경사가 조금 급한 편이지만 자동차로 갈 수 있도록 시멘트 도로포장을 해두었다. 세워진 날짜는 확실하진 않지만 2010년 기준으로 약 50년 전인 1960년대에 세워졌다. 정면 4칸,...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고성리 사미마을에 있는 김해김씨 사당. 고성리 사미마을 염수재는 사미마을 서쪽 산정에 위치하고 있어 경관이 수려하다. 마을 경로회관을 지나 서쪽으로 난 길을 따라 올라가면 된다. 경사가 조금 급한 편이지만 자동차로 갈 수 있도록 시멘트 도로포장을 해두었다. 세워진 날짜는 확실하진 않지만 2010년 기준으로 약 50년 전인 1960년대에 세워졌다. 정면 4칸,...
-
일제 강점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교육자이자 서예가.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평숙(平叔), 호는 염재(念齋)이다. 염재거사(念齋居士), 또는 염재옹(念齋翁)으로도 불렸다. 1872년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군 동북면 사평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송긍면(宋兢勉)이다. 송태회는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 써서 6세 때 쓴 「녹괴서실(綠槐書室)」이란 글씨를 중국 원세개(袁世凱)가 보고...
-
일제 강점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교육자이자 서예가.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평숙(平叔), 호는 염재(念齋)이다. 염재거사(念齋居士), 또는 염재옹(念齋翁)으로도 불렸다. 1872년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군 동북면 사평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송긍면(宋兢勉)이다. 송태회는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 써서 6세 때 쓴 「녹괴서실(綠槐書室)」이란 글씨를 중국 원세개(袁世凱)가 보고...
-
일제 강점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교육자이자 서예가.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평숙(平叔), 호는 염재(念齋)이다. 염재거사(念齋居士), 또는 염재옹(念齋翁)으로도 불렸다. 1872년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군 동북면 사평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송긍면(宋兢勉)이다. 송태회는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 써서 6세 때 쓴 「녹괴서실(綠槐書室)」이란 글씨를 중국 원세개(袁世凱)가 보고...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 있는 산이나 언덕을 넘어 다니도록 길이 나 있는 비탈진 곳. 고창군은 산이 낮고 들녘이 많은 지역으로, 고개의 경우 대부분 500m 미만의 작은 고개로 이루어져 있다. 시인 미당(未堂) 서정주(徐貞柱)의 고향으로 시집 『질마재의 신화』의 무대인 질마재, 고창 사람 박의(朴義)가 수원 광교산 전투에 참여하여 적장 양고리(陽古利)를 사살한 것을 기념하여 이름을 붙...
-
김심언을 시조로 하고 김사손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영광김씨(靈光金氏) 시조 문안공 김심언(金審言)[?~1018]은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으로 경순왕의 넷째 아들인 대안군(大安君)의 현손이다. 고려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벼슬이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에 이르렀고 오성군(筽城君)에 봉해짐으로써 후손들이 영광을 본관으로 하고 시조로 삼았다. 이후 세...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2월 1일에 영등이 하늘에서 내려오는 날. 음력 2월 l일이 되면 영등이 하늘에서 내려와 2월 15일에서 20일 사이에 다시 올라간다. 영등은 바람을 관장하는 신이다. 바람이 생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바닷가 지역에서 영등을 모시기도 한다. 영등날에 행하는 세시풍속으로는 콩 볶아 먹기, 썩은 새끼줄로 목매기, 노래기 쫓기, 주머니 세우기 등이 전한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2월 1일에 영등이 하늘에서 내려오는 날. 음력 2월 l일이 되면 영등이 하늘에서 내려와 2월 15일에서 20일 사이에 다시 올라간다. 영등은 바람을 관장하는 신이다. 바람이 생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바닷가 지역에서 영등을 모시기도 한다. 영등날에 행하는 세시풍속으로는 콩 볶아 먹기, 썩은 새끼줄로 목매기, 노래기 쫓기, 주머니 세우기 등이 전한다....
-
조선 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문소(文素), 호는 영모당(永慕堂). 아버지는 찬의(贊儀)를 지낸 김복중(金福重)이다. 김질(金質)은 천성이 온순하고 단정하며 효심이 지극하여 양친을 지성으로 모셨다. 어머니의 명에 따라 1528년(중종 23) 진사시에 올랐을 뿐,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만 전심하였다. 1508년(중종 3) 어머니의 상을 당해 여막(廬...
-
영무장(靈茂長) 농악의 ‘영무장’은 영광과 무장을 통칭하여 두 지역이 동일 문화권임을 드러내는 명칭이다. 영무장으로 통합되는 권역은 좁은 의미에서의 영광과 무장이지만, 좀 더 넓은 의미에서는 두 지역을 중심으로 인근의 장성, 함평 등지를 포괄하는 광역적인 명칭이다. 세습 무계 집단의 이념적 지향과 관련하여 동학 농민 혁명과 세습 무계 예인들이 구체적으로 관련되지는 않지만 이들의 지...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에 있는 전문계 사립 고등학교. ‘나라 사랑의 마음과 효를 근본으로 하여 공익을 앞세우며 정직하고 실력 있는 건전한 심성을 지닌 자아실현인 육성’이라는 건학 이념을 토대로 창의, 성실, 협동의 교육 목표를 갖고 있다. 현대의 지식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무송인 육성을 위해 가르쳐 주는 모든 분들께 고마워하며 자신에게 부족한 점은 능동적으로 깨쳐 실천하고...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나라 사랑의 마음과 효를 근본으로 하여 공익을 앞세우며 정직하고 실력 있는 건전한 심성을 지닌 자아실현인(自我實現人)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45년 11월 11일 무장농업중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46년 10월 무장초급중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초대 교장으로 진환이 부임하였다. 1967년 임영신 이사장이 학교법인 중앙문...
-
정덕성을 시조로 하고 정혹·정필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영성정씨는 당나라의 대상(大相) 대양군 정덕성(丁德盛)을 시조로 하고, 고려 시대에 생원을 지낸 정진(丁晉)을 중시조로 한다. 정진은 정덕성의 큰아들 오성군 정열도(丁烈道)의 20대손이다. 고창군의 영성정씨는 미산공파(薇山公派)와 선양정공파(善養亭公派)가 알려져 있다. 영성정씨 고창군 입향조 정혹(丁掝)은...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이자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영수(永叟), 호는 이재(頤齋)·실재(實齋)·서명산인(西溟散人)·운포주인(雲浦主人)·산뢰노인(山雷老人)·월송외사(越松外史). 평해군 황숙경(黃淑卿)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취은(醉隱) 황세기(黃世基)이고, 할아버지는 산촌(山邨) 황재만(黃載萬)이며, 아버지는 만은(晩隱) 황전(黃廛)이다. 황윤석(黃胤錫)은 5세...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 동호마을에서 2월 초하루에 지내는 풍어제 성격의 마을 제사. 동호리 동호마을 영신당제는 음력 2월 초하루에 해안 지역 어촌인 동호마을의 신당에서 항해 안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동호리 주민들은 영신당제를 수륙제, 당제, 영신제 등으로 부르고 있는데, 예전에는 동호리의 당제를 2월 20일에 지냈다. 2월 20일은 영등할머니 생일이라서...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자는 영심(永心)이다. 영달(永達)은 초명으로 호적에 오른 이름이다. 족보에는 달병(達炳)으로 되어 있다. 1852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강남리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 때 진주성 대전에서 순절하여 선무원종공신 2등으로 녹훈된 김지남(金志南)의 10세손이다. 김영달은 어린 시절 원촌 사는 김흥섭(金興燮)...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호는 영암(榮庵), 본명은 흥관(興寬)이다. 1874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신촌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김성칠(金聲七)이다. 김흥섭은 어려서부터 아버지 김성칠과 함께 동학에 입교(入敎)해 활동하였다. 김성칠은 1893년 12월, 전봉준(全琫準)·손화중(孫化仲)·정백현(鄭白賢) 등과 함께 송문수(宋文洙...
-
신경을 시조로 하고 신봉수·신복운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영월신씨는 고려 시대 평장사를 지낸 정의공(貞懿公) 신경(辛鏡)을 시조로 한다. 영월신씨 고창군 입향조 신봉수(辛奉修)는 문정공 신당계(辛唐係)의 손자 신보안(辛保安)의 둘째 아들인 어모장군 신사구(辛斯龜)의 7세손으로 정유재란 때 고창군 무장면에 왔다가 대산면 연동리 장동에 정착하였다. 신복운(辛復運)...
-
1898~1899년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 지역과 정읍 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농민 항쟁을 지도했던 농민 조직. 영학당은 1898년 12월 28일~30일까지 진행된 흥덕농민봉기, 1899년 3월에 일어난 전주농민봉기, 1899년 5월 전주·고부·흥덕·태인·정읍·무장 등지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을 주도하였다. 갑오농민전쟁기의 집강소 조직과 을미의병의 실질적인 전투력이었던 포군 조직이 결...
-
1898~1899년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 지역과 정읍 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농민 항쟁을 지도했던 농민 조직. 영학당은 1898년 12월 28일~30일까지 진행된 흥덕농민봉기, 1899년 3월에 일어난 전주농민봉기, 1899년 5월 전주·고부·흥덕·태인·정읍·무장 등지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을 주도하였다. 갑오농민전쟁기의 집강소 조직과 을미의병의 실질적인 전투력이었던 포군 조직이 결...
-
1898년 12월 고창 지역에서 흥덕군수의 탐학에 항거하여 일어난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의 여운이 채 가시지 않은 1898년(고종 35) 지방 수령의 수탈 행위는 끊이지 않고 계속되었다. 안으로는 봉건 정부의 수탈과 밖으로는 외세 침략에 위기의식을 느낀 사람들이 영학당을 조직하였다. 영학당은 동학 남접 세력으로 동학 농민 혁명의 상처가 남기고 간 잔여 세력이자 국가의 운명을...
-
1898~1899년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 지역과 정읍 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농민 항쟁을 지도했던 농민 조직. 영학당은 1898년 12월 28일~30일까지 진행된 흥덕농민봉기, 1899년 3월에 일어난 전주농민봉기, 1899년 5월 전주·고부·흥덕·태인·정읍·무장 등지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을 주도하였다. 갑오농민전쟁기의 집강소 조직과 을미의병의 실질적인 전투력이었던 포군 조직이 결...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성은 박씨(朴氏)이다. 자는 한영(漢永), 호는 영호(映湖)·석전(石顚)이다. 석전산인(石顚山人)이라고도 불렸다. 1870년(고종 7) 8월 18일 지금의 전라북도 완주군 초포면 조사리에서 태어났다. 정호(鼎鎬)는 나라 안팎으로 어렵고 혼란스러웠던 시기에 살았으나, 학문은 물론이고 교(敎)와 선(禪)에 정통...
-
전라북도 고창 지역을 배경으로 촬영되는 영화. 사람들은 문명이 발달할수록 사라지는 옛것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다. 지역도 마찬가지다. 옛날 모습을 간직한 지역일수록 각광을 받는다. 이에 발맞추어 영화와 텔레비전 등 영상을 제작하는 사람들은 처녀지와 같은 모습들을 많이 찾아다닌다. 고창군은 산업화에 뒤늦은 지역이라 비교적 그 원형이 보존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문화유적이 많은 고창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평지리에 관한 지명 유래는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는다. ‘예동(禮洞)’에서 1914년 ‘평지(平支)’로 개칭했다고 한다. 경주이씨(慶州李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하나, 그 시기를 포함한 뚜렷한 기록은 없다. 본래 고창군 수곡면(水谷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예동(禮洞)·옥...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전리에 관한 뚜렷한 명칭유래는 확인되지 않는다. ‘예지’로 불렸다가 ‘예전(禮田)’으로 불렸다고 한다. 1300년대 초 남양홍씨(南陽洪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와공면(瓦孔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묘리(侍墓里)·응암리(鷹岩里)가 병합되어...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예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예전저수지는 고창군 공음면 예전리 일대와 고창군 대산면 지역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건립된 저수지로서, 1941년 착공하여 1945년에 준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죤형]이며, 제방 체적은 1만 6800㎥, 제방 길이는 241m, 제방 높이는 7m이다. 총저수량은 82만 6000t, 유효 저수량은 78만 7000t,...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전리에 관한 뚜렷한 명칭유래는 확인되지 않는다. ‘예지’로 불렸다가 ‘예전(禮田)’으로 불렸다고 한다. 1300년대 초 남양홍씨(南陽洪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와공면(瓦孔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묘리(侍墓里)·응암리(鷹岩里)가 병합되어...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지리는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예동(禮洞)과 지촌(智村)에서 ‘예(禮)’자와 ‘지(智)’자를 따 ‘예지(禮智)’가 되었다. 1700년대에 소씨(蘇氏)가 입향하여 마을을 일으켰다고 전래된다. 그러나 조선 영조 초에 경주이씨가 낙향하여 유교의 근본인 예와 효를 펴서 본격적으로 마을을 이루었다 한다. 본래 고창군 오서면(五西面)의 지역으로,...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창녕(昌寧). 호는 오곡(梧谷). 하성부원군(夏城府院君) 조익청(曺益淸)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현령(縣令) 조호인(曺好仁)이다. 참봉 조익령(曺益齡)의 동생이다. 조익수(曺益壽)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조익령과 같이 군량미와 군기를 준비하고, 집에서 부리던 하인 18명과 함께 의병장 채홍국(蔡弘國)과 고덕붕(高德鵬)을 따라 흥덕 남당(南塘)에서...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황산리 예지마을에 있는 조선 시대 정자. 오괴정이 있는 예지마을은 죽산안씨 사과공(司果公) 안자전(安子詮)이 처음 터를 정하였고, 안복(安福), 안지(安祉) 형제가 느티나무 다섯 그루를 심었다. 그 뒤에 후손 괴정공(槐亭公) 안국태(安國台)가 정자를 지어 오괴정(五槐亭)이라 하였다. 느티나무는 뿌리가 무성하고 잎은 푸르며, 그늘은 시원하게 마련이다. 또한 게...
-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6년 9월 13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377번지에서 오연문(吳然汶)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사촌형인 오의균(吳毅均)도 독립운동가이다. 오동균은 어려서 사촌형 오의균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19년 3월 전국에서 만세 운동이 일어나자 오동균은 김승옥(金升玉)과 함께 「독립선언문」과 「국민휘보(國民彙報)」, 「조선독립가(朝...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영조 때 와송(窩松) 전덕수(全德秀)가 마을 뒷산에 시묘를 살 때, 송충이가 심해 묘 근처 소나무들이 죽어가자 애통하여 울었더니 까치와 까마귀 떼들이 갑자기 날아와 벌레를 잡아 먹었다고 한다. 다른 곳의 소나무는 죽고 벽송리의 소나무는 푸른 소나무로 남아 있자, 이곳을 지나던 전라남도 영광(靈光) 원(院) 안겸(安鎌)이 ‘벽송(碧松)’...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생산되는 뽕나무 열매. 뽕나무 꽃은 겨울에 눈 속에 숨어 있다가 잎과 함께 자라 5월 중순에 꽃을 피운다. 꽃은 잎처럼 연초록이여서 뚜렷하게 밖으로 드러나지 않으며, 6월 초순경부터 익기 시작해 중순에 절정을 이룬다. 오디는 붉은색부터 진한 보라색까지 다양하며 엷은 미색을 띠는 것도 있다. 2005년 7월 고창군 아산면 계산리에 녹산오디영농조합[대표 장성남]이...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오룡마을에 있는 광산김씨(光山金氏) 사당. 하장리 오룡마을 마을 뒤편 언덕에 자리잡고 있다. 마을 중앙 김인수(金璘洙) 가에 남향을 한 기와집 1칸이 있었는데, 건평 19.8㎥ 정도 되었다. 그러다 건물이 낡아 1998년에 새로 부지를 마련하여 사당을 다시 지었다. 오룡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풍판이 있고 기와를 얹었다. 앞면의...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남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오명철(吳命喆) 처 삭녕최씨(朔寧崔氏)의 정려. 오명철(吳命喆)의 처 삭녕최씨(朔寧崔氏)는 덕행이 정숙하였다. 회임하여 만삭일 때 남편이 죽자 자진하려 하였으나 시부모가 만류하여 한 달이 지나 해산하고 곡기를 끊은 지 8일 만에 세상을 떠나니 예조에서 정려의 명을 내렸다. 고창군 아산면에서 무장면으로 가는 지방도 15호선을 따라가면...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운곡리 일대에 있는 습지. 습지는 생태자원 중에서도 보전 가치가 매우 높은 서식처이다.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의 전이 공간을 창출하는 중요한 자연 자원이다. 특히 오베이골 일대 습지 주변은 자연 생태가 훼손되지 않은 내륙의 대표적 습지로, 넓은 면적과 빼어난 자연 경관, 오염되지 않은 청정 지역으로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고 있다. 오베이골 일대 습지 가운데 운곡...
-
개항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함양(咸陽)이고, 자는 극경(極卿), 호는 함양(咸陽)이다. 자는 수산(壽山). 사호(沙湖) 오익창(吳益昌)의 후손이며, 오흥원(吳興源)의 아들이다. 1883년(고종 20년) 아산면 성산리 죽산(竹山)에서 태어났다. 성품이 염결(廉潔)하여 화려한 것을 싫어하고 권세를 멀리했으며, 학문은 경학(經學)을 위주로 문장은 여기(餘技)[전문적으로 하는 것...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중흥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오산교회는 ‘주 안에서 든든히 서가는 교회’를 표어로,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은혜를 깨닫고 감사하는 삶을 실천하는 교회이다. 지역 사회 복음화와 지역 주민들의 문맹 퇴치를 위해 설립되었다. 1912년 10월 5일 일본인 마스도미 야스자에몬[枡富安左衛門]이 고창군 부안면 오산리에 위치한 자신의 사과 농장 한쪽에 예배...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산리는 자라 모양 처럼 생긴 오미등 밑에 있는 마을이므로 오산(鰲山)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상오산(上鰲山)·하오산(下鰲山)·우수점(雨水店)·구정리(九井里), 이서면 동성리 일부를 병합하여 오산리라 하고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하오산 앞들 가운데 둥그런 똥...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오산리 하오산마을에 있는 당산. 오산리 하오산마을에서는 음력 2월 초하루에 마을의 무사 안녕을 비는 제를 지낸다. 오산리 하오산마을은 부안면에서 선운사 방향으로 3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 남쪽 중앙에 오산리 하오산마을 당산이 있다. 마을 사람들이 높이 약 10m, 둘레 1.5m의 팽나무 한 그루를 마을의 수호신목으로 여겨 옛날부터 제사를 지내왔다고 한...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오산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오산저수지는 고창군 부안면 일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건립된 저수지로서, 1940년 착공하여 1945년에 준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죤형]이며, 제방 체적은 2만 ㎥, 제방 길이는 140m, 제방 높이는 14m이다. 총저수량은 51만 6000t, 유효 저수량은 51만 6000t이며, 취수 형식은 사통형이다. 유역...
-
고려 후기 전라북도 고창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증조할아버지는 고창 오씨 시조로 한림태학사를 지낸 오학린(吳學麟)이고, 할아버지는 한림학사를 지낸 오질(吳質), 아버지는 탁라구당사(乇羅句當使)를 지낸 오인정이다. 형은 오세공(吳世功)이며, 죽림칠현인 오세재(吳世才)가 아우이다. 오세문(吳世文)은 1127년(인종 5)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신월리에서 태어났다....
-
고려 전기 고창 출신의 문인. 본관은 고창(高敞). 자는 덕전(德全), 호는 복양(澓陽). 할아버지는 한림학사 오학린(吳學麟)이다. 오세재(吳世才)[1133~1199]는 젊어서 힘써 공부하였는데 육경(六經)을 손으로 베껴 읽어서 능통하였다. 또 날마다 『주역(周易)』을 외웠으며 시문(詩文)에 탁월하였으므로 당나라 한유(韓愈)와 두보(杜甫)의 풍(風)이 있어 당세에 널리 알려졌다....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동물. 삵은 벵골살쾡이의 아종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 강,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일본의 쓰시마 섬에 서식하는 쓰시마살쾡이를 같은 아종으로 보기도 한다. 살쾡이, 삵괭이, 살기, 삵정이, 삭쟁이, 삵이, 식, 오슬기, 만주살쾡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몸길이는 55~90㎝ 정도이다. 식육목에 속하는 동물 가...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접주이자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오시영은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덕림리에서 태어났다. 『동학사』를 쓴 오지영이 동생이다. 1893년 보은 집회 때 고창 접주로 활약하였다. 오시영은 어려서 고창읍 고촌으로 이주했는데, 일찍이 동학에 입교(入敎)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운사 마애불비기 탈취사건(禪雲寺磨崖佛秘記奪取事件) 때 전봉준(全琫準)과 손화중(孫...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오월(梧月). 아버지는 만오(晩悟) 최후경(崔候慶)이다. 최봉의(崔鳳儀)는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평소 아버지의 효행을 본받아 그대로 실천했는데, 아침저녁으로 어머니의 안부를 묻고 고기를 잡고 땔감을 채취하며 극진하게 공양하였다. 어머니가 죽자 무덤 옆에 움막을 짓고 3년 동안 시묘를 한 뒤, 아버지...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영조 때 와송(窩松) 전덕수(全德秀)가 마을 뒷산에 시묘를 살 때, 송충이가 심해 묘 근처 소나무들이 죽어가자 애통하여 울었더니 까치와 까마귀 떼들이 갑자기 날아와 벌레를 잡아 먹었다고 한다. 다른 곳의 소나무는 죽고 벽송리의 소나무는 푸른 소나무로 남아 있자, 이곳을 지나던 전라남도 영광(靈光) 원(院) 안겸(安鎌)이 ‘벽송(碧松)’...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효건(效乾), 호는 오은(梧隱). 조선 태종의 다섯째 아들 경녕군(敬寧君) 이비(李示+非)의 7세손으로, 아버지는 이기수(李琪樹)이다. 이원남(李元男)은 1588년(선조 21)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어버이에 대한 효도와 동기에 대한 우애가 극진했다. 일찍이 스스로 『소학(小學)』을 깨쳤다....
-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독립운동가. 오의균은 1883년 2월 18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11월 고창에서 노진룡(魯鎭龍) 등과 함께 상해임시정부 산하의 전라북도 감독부 부감독에 임명되어, 감독인 노진룡 등 여러 동지들과 함께 인원 파송 및 군자금 모금, 밀송 등의 상해임시정부 지원 활동을 펴 나갔다. 1927년 1월에는 농촌 개발과 문맹...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오이화 처 완산이씨의 정려. 오이화(吳以和)의 처 완산이씨는 이운령(李雲翎)의 딸로서 1614년(광해군 6)에 출생하였다. 남편 상을 당해 두 번이나 죽으려고 했으나 주변 사람의 도움으로 소생하였다. 노모와 어린아이를 위해서 억지로 일어나 자신이 맡은 일에 충실하였다. 복을 벗은 뒤 친정아버지가 의지할 곳 없는 딸을 데려갔는데, 키우...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유원(裕遠), 호는 사호(沙湖). 부원군 오광휘(吳光輝)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라좌수우후를 지낸 오숙(吳淑)이고, 할아버지는 진사 오세영(吳世英)이다. 아버지는 진사 오인(吳寅)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학(李鶴)의 딸이다. 첫 번째 부인은 함풍이씨(咸豊李氏)로 이유겸(李惟謙)의 딸이고, 두 번째 부인은...
-
고려 전기 전라북도 고창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할아버지는 고창 오씨 시조로 한림태학사를 지낸 오학린(吳學麟)이고, 아버지는 한림학사 오질(吳質)이다. 슬하에 오세공(吳世功), 오세문(吳世文), 오세재(吳世才) 삼형제를 두었다. 오세문은 승보시(陞補試)에 장원급제하여 세자를 가르치는 동각시학(東閣侍學)을 지냈고, 오세공과 오세재(吳世才)도 당대에 이름난 학자였다. 특히...
-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교육가이자 사회사업가. 본관은 함양(咸陽)이며, 자는 경안(敬安), 호는 남사(南沙)이다. 1895년 1월 13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남산리 흥룡마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오병문(吳秉文)[1858~1915]으로 부호였다. 오자환(吳滋煥)은 다른 아이들이 한문 서당에 다니고 있을 때 신학문을 배웠다. 성장한 뒤 그는 식민지 치하에서 가장 시급한...
-
개항기 고창 출신의 의병장. 본관은 함양(咸陽)이며, 자는 응천(應天), 호는 강재(剛齋), 이명(異名)은 경환(京煥)·길환(吉煥)이다. 1863년 11월 12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남산리 479번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오시만(吳時晩)이다. 오장환은 1907년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이 자행되자 기삼연(奇參衍)·전해산(全海山) 등과 전라도 장성·고창·영광에서 의...
-
조선 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동복(同福). 호는 감천(感泉). 한림원승지를 역임한 오자귀(吳自貴)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한 오팽년(吳彭年)이다. 오준(吳浚)은 어린 시절부터 학문을 깊이 연구하고 예절을 숭상하며 효성이 지극하였다. 28세 때인 1471년(성종 2) 어머니가 병환으로 위독하자 손가락을 베어 그 피를 마시게 하여 3~4일을 연명케 하였다. 그...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오호리에 있는 백제 시대 토성. 흥덕면은 본래 백제 상칠현이었는데, 상칠현의 치소지가 흥덕면 오호리 오태동에 있는 오태리 고성으로 보인다. 상칠현은 신라 경덕왕이 상질이라 하여 고부군의 속현으로 삼았다. 후에 장덕현으로 고쳤으나 충선왕이 1308년(충선왕 1) 즉위하자 창덕으로 고쳤고, 다시 창왕 때에는 창왕과 이름이 같아 흥덕으로 고쳤다. 오태리 고성에 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