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어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574
한자 漁具
영어음역 Eogu
영어의미역 Fishing Gear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화섭

[정의]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어로 활동에 사용하는 전통적인 도구.

[개설]

어촌 사람들은 바닷가에 살면서 기본적으로 어로에 의존해 생활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어로 기술과 어구가 발달하게 되었다. 어구는 구성 재료에 따라 그물어구[網漁具]와 낚시어구[釣漁具], 그리고 기타 재료로 된 잡어구(雜漁具)의 3가지로 나누어진다. 고창군 심원면 월산리 사등마을곰소만[줄포만] 일대에서는 넓은 개펄이 펼쳐져 있어 활발한 어로뿐만 아니라 전통 소금인 자염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수산업이 대형화·기계화됨에 따라 재래적인 어로 기술과 어구는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고창 연안의 어구]

1. 갈퀴, 호미

간석지에서 간조 시 갯벌이 드러나면 호미나 갈퀴로 바닥을 뒤집거나 긁어서 그 속에 서식하는 바지락, 가무락, 동죽, 고막 등의 조개류를 잡는다.

2. 갈고리

간석지에서 간조 시 바닥이 드러나면 갈고리로 바닥을 뒤집어 그 속에 서식하는 갯지렁이를 잡는다.

3. 조새

간석지에서 간조 시 바닥이 드러나면 바위에 부착되어 있는 굴 껍데기를 조새로 긁어서 떼어내고 그 속에 서식하는 굴을 잡는 것이다. 곡괭이 모양을 한 조새의 앞부분을 이용하여 굴을 바위에서 채취한 후, 굴 껍데기를 부수고 갈고리 모양을 한 조새의 뒷부분을 이용하여 굴을 들어낸다.

4. 뽕대: 갯가재[일명 설개]는 펄 속에 입구가 양쪽으로 통하는 굴을 파고 그 속에서 숨어 지내는 습성이 있다. 간석지에서 간조 시 바닥이 드러날 때 소나무나 기타 나무로 만든 뽕대를 갯가재가 서식하는 굴의 한 쪽 구멍에 20㎝ 정도 천천히 밀어 넣은 후 재빨리 뽑아내어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갯가재가 밖으로 빨려 나오도록 하여 잡는 것이다.

5. 죔쇠: 대나무처럼 탄력이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끝을 여러 갈래로 자른 후, 조금 벌어진 모양으로 고정시킨 것을 긴 막대기에 묶은 어구이다. 이것을 물속에 넣어 해저 속에 있는 연체동물, 고둥 및 성게 같은 것을 잡아 올리는 것이다. 여러 갈래로 갈라진 막대의 끝을 대상물에 대고 누르면 대나무의 갈라진 틈이 벌어지면서 그 사이로 대상물이 끼이게 된다. 그렇게 되면 대나무의 탄력으로 대상물이 빠지지 않게 된다.

6. 집게: 지레의 원리를 이용해 집게 모양으로 만들거나 또는 쇠꼬챙이 등을 둥글게 엮어서 만든 어구이다. 이것을 물속에 넣고 성게, 게, 해삼 등을 집어 올려 잡는 것이다.

7. 써레: 끝이 뾰족한 여러 개의 쇠꼬챙이를 이빨 모양으로 엮은 것이나 이것을 철사로 엮은 자루 앞에 매단 것을 장대의 끝에 묶은 어구이다. 이것을 물속에 넣고 바닥을 파내어 해저에 파묻혀 사는 조개 등을 잡는다. 사람의 손이 직접 미칠 수 있는 곳에서는 주로 호미를 사용하지만 사람의 손이 직접 미치지 못할 만큼 깊은 곳에 있는 것을 잡는 어구로 비교적 소규모의 것이 여기에 속한다.

8. 통발

NY Td210 9합사 망목 17㎜ 내외인 그물감으로 주머니 모양을 만들고, 양 입구와 가운데에 φ4㎜ 내외인 철사로 된 고리 테를 부착한 통발에 미끼를 넣어 대상 생물을 유인하여 잡는 어구이다. 고리 테는 스프링 식으로서 양측에 걸쇠를 만들어 투승 때에 걸쇠를 풀면 스프링 힘에 의해 통발이 벌어지고, 선내에 적재할 때에는 걸쇠를 걸어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깔때기의 끝에는 길이 100㎜의 누두망이 있으며, 스테인리스 φ1㎜ 철사로 된 원형 테가 부착되어 있다. 오전 7시경 어장에 도착하여 통발 약 100개를 1조로 하여 총 5~8조를 분산 투승한다. 양승은 전날 투승해 놓은 통발을 양승하여 어획물을 수납하고 미끼를 넣어서 재 투승한다. 1조에 대한 투승 소요 시간은 약 20분, 양승 소요 시간은 약 1시간이다.

9. 죽방렴: 대나무와 같은 재료로 발을 엮어 울타리(fence)를 만들어 고기가 들어올 때는 자유롭게 들어오지만 나갈 때에는 퇴로를 차단하여 도피하기 어렵도록 하여 어획하는 것이다. 주로 조류가 센 해역에서 옛날부터 사용되어져 왔다. 어구의 일부분에 망지를 사용하기도 하고, 일부를 변형시켜 고기를 한 곳에 모이도록 한 것도 있다.

어구 설치 방법은 항목을 일정한 간격으로 바다 밑에 박아서 V자 모양으로 벌어지게 한 다음 그물을 붙여 날개 그물 역할을 하도록 하고, V자의 꼭짓점에 해당하는 곳에 항목으로 사각형 또는 원형의 울타리를 만들어 자리그물을 부설한다. 어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세로로 세운 항목에 가로 방향으로 긴 나무[띠목]를 대어 서로 연결하며, 항목에 멍줄을 연결하고 끝에 멍을 부설하는 경우도 있다.

과거에는 오늘날과 같이 자루 부분에 그물을 사용하지 않고 주로 대나무로 발을 엮어 사용했기 때문에 죽방렴이라고 칭하였다. 어획물 수납은 하루 2회 간조 때에 고기가 들어가도록 한 뒤 족대 그물로써 어획하며, 간조 시에도 수심이 있으면 작은 배를 사용하기도 한다. 어구는 목재의 수명에 따라 약 5년에 한 번씩 교체하며, 어구를 정리하기 위하여 월 25일 정도 조업한다.

10. 주낙

모릿줄은 KU φ2㎜ 내외, 아릿줄은 PP φ0.85㎜ 내외인 줄에 경심 10호인 목줄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아릿줄의 간격은 약 7m 50㎝이다. 주로 갯장어를 잡는다. 정조 약 1시간 30분 전에 멍, 부표, 낚싯줄 순으로 총 13바스켓 내외를 투승한 다음 약 20~30분간 대기하였다가 인력으로 양승한다. 1일 1회 조업하며 1회 투승 소요 시간은 약 1시간 30분, 양승 소요 시간은 약 4~5시간이다.

11. 삼중자망

원살 그물은 NY Td210 2합사 망목 50㎜ 내외를, 바깥살 그물은 NY Td210 6합사 망목 300㎜ 내외를 주로 사용한다. 뜸줄의 성형률은 원살 그물이 약 33%, 바깥살 그물이 약 50%이고, 발줄의 성형률은 뜸줄의 성형률보다 약 5% 더 크다.

대하는 주로 펄 속에 묻혀 서식하므로 어구를 한 곳에 고정 부설하지 않고 발줄이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해·조류에 의해 흘러가도록 부설하여 대하가 발줄의 자극을 받아 바닥 위로 뛰어 오르면서 그물에 얽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발줄의 침강력을 일반 삼중자망보다 다소 크게 사용하며, 발줄 부분의 그물 손상이 많아 원살 그물 하부에 보호망을 주로 사용한다.

어선 1척당 약 30~50폭의 그물을 준비하고 약 15~25폭을 1조로 하여 교대로 조업한다. 주로 정조시에 투망하였다가 다음 정조시에 양망한다. 어구 1조당 투망 소요 시간은 약 30~40분, 양망 소요 시간은 약 1시간~1시간 30분이다. 주로 대하를 잡는데 사용하며 중하, 꽃게, 농어 등도 잡힌다.

12. 외줄낚시: 경심 12호인 낚싯줄 끝에 도래를 달고 그 밑에 모릿줄을 연결하며, 도래 끝으로부터 30~60㎝ 간격으로 길이 15㎝인 아릿줄을 2개 단다. 아릿줄마다 낚시 1개를 달고 최하부에 있는 아릿줄로부터 1m 간격을 두고 600g 정도인 추를 단다. 조업은 주로 주간에 하며, 어장에 도착하면 배가 해·조류에 밀려가지 않도록 선수와 선미에서 닻을 투하하여 배를 고정시켜 놓고 낚싯대에 매단 어구 9개를 좌·우현에 내린 다음 낚싯줄을 손에 잡고 대기하다가 대상물이 미끼를 무는 것이 손에 느껴지면 재빨리 낚싯줄을 채어 낚는다. 해가 질 때까지 반복하여 조업한다. 주로 숭어 잡이에 많이 사용한다.

[자염 생산 도구]

1) 써레: 소를 이용해 염전을 가는 도구이다.

2) 거레: 써레에 나무판자를 붙인 것으로, 갈아진 갯벌 흙을 섯구덩이에 넣을 때 사용한다. 거레는 귀목 나무로 밑에 판을 만드는데, 잘 닳아지지 않기 때문이다. 귀목나무 판자 위에는 대나무 조각을 대어 적당한 높이를 만든다. 소의 멍에와 연결한 줄은 칡넝쿨을 뜯어다가 말려서 그것으로 줄을 매어 사용하였다. 짚은 너무 빨리 떨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3) 무지게: 물지게를 일컫는다. 지게처럼 등에 지는데, 양쪽 끝에 있는 갈고리에 물통을 달아 물 등 액체를 옮기는 데 사용하였다. 자염을 만들 때 양쪽에 물통을 달아 함수를 벌막의 샘까지 옮기는 데 사용하였다. 보통 지게에는 등판을 짚으로 만들어 깔지만, 무지게는 그것을 만들지 않았다고 한다.

4) 물통: 나무판자를 이용해 만든 것으로 함수를 담는 데 사용한다.

5) 송진: 나무 막대기에 소나무 송진을 달아 함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6) 당그레: 소금을 내린 후 만들어진 소금을 염분 가장자리로 모으는 데 사용한다. 농사를 지을 때 사용하는 것과 같다.

7) 소쿠리: 내린 소금을 옮기거나 물기를 빼는 데 사용한다.

8) 말: 소금의 양을 재거나 담는 도구이다.

9) 포리채: 소금을 구울 때 생기는 거품을 걷어내는 도구이다.

[의의와 평가]

자염은 맛과 영양은 다른 천일염과 비교해서 월등하다. 자염 생산 방식을 활용한다면 자염 생산 문화 관광과 연계할 수 있으며, 교육적으로도 그 가치가 있다. 어구 종류는 기초 자료가 부족하여 추후 고창군에서 조사하여 그 자료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실정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