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고창문화대전

  • 전자지도
  • 전자연표
  • 시청각자료
  • 이용안내
  • 만든사람들
전체메뉴
  • 고창 농악

    고창농악은 영광, 무장[고창], 장성을 중심으로 발전한 영무장 농악의 정통 계보를 잇는 농악이다.

  • 선운사 대웅전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선운사의 중심 불전.

  • 고창읍성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전기 읍성.

  • 지리
  • 역사
  • 문화유산
  • 성씨
  • 정치
  • 종교
  • 문화
  • 생활
  • 구비전승
  • 공지사항

    • 서비스 업데이트 안내 23.02.08
    • 「디지털상주문화대전」 기초조사연구 및 원고집필 사업 연구팀 공모 22.04.26
    • 서비스 일시 중단 안내 21.11.09
    • 서비스 일시 중단 안내 21.05.13
  • 고창 한눈에 보기

      • 「고려중요처도」
      • 『내영정적』
      • 『이재난고』
      • 『칠원정적』
      • 고전리 고전 당산
      • 고창 도산리 고인돌
      • 고창 만동 유적
      • 고창 무장객사
      • 고창 무장동헌
      •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 고창 분청사기요지
      •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 고창 선운사 대웅전
      •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 고창 신재효 고택
      • 고창 오거리 당산
      • 고창 용계-리 청자 요지
      •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요지
      • 고창 조양식당
      • 고창 죽림리 지석묘군
      • 고창 화동서원 정모재
      • 고창읍성
      • 고창향교 대성전
      • 구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
      • 김기서 강학당
      • 김정회 고가
      • 나한전
      • 남당 회맹단
      • 덕천사
      • 도동사
      • 도산서당
      • 도암서원
      • 무송리 석불좌상
      • 무장향교
      • 무장향교 대성전
      • 문수사 대웅전
      • 문수사 목조삼세불상
      •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
      • 문수사 문수전
      • 문수사 부도
      • 문수사 석조승상
      • 백관수 선생 고택
      • 사내리 당산
      • 산수리 지석묘
      • 상원사 대웅전
      • 상원사 목조삼세불좌상
      • 서산산성
      • 석탄정
      • 선운사 도솔암 내원궁
      • 선운사 만세루
      • 선운사 백파율사비
      • 선운사 범종
      • 선운사 사적기
      • 선운사 석씨원류 목판, 조선 후기 불교 문화사의 중요한 모습을 보여준다
      • 선운사 영산전
      • 선운사 영산전 목조 삼존 불상
      • 선운사 육층석탑
      • 송양사
      • 수사공 강응환 가전유물
      • 암치리 선각석불좌상
      • 어사각
      • 용오정사
      • 용화사 미륵불상
      • 운선암 마애여래상
      • 인촌 선생 생가
      • 줄다리기
      • 중거리 당산
      • 중앙당산
      • 진서화표 석주
      • 참당암 동종
      • 최여겸 순교지
      • 취석정
      • 현곡정사
      • 화동서원
      • 황윤석 생가
      • 효감천
      • 흥덕당간지주
      • 흥덕향교
      • 흥덕향교 대성전
      • 흥동장학당
      • 흥성동헌
      • 고창 복분자축제
      • 고창 청보리밭축제
      • 고창수산물축제
      • 고창수박축제
      • 고창 구시포 해넘이축제
      •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기념제와 무장읍성축제
      • 고창해풍고추축제
      • 고창 모양성제
      • 고창예술제
      • 고창갯벌축제
  • 통합검색

    인기검색어 :
    고창읍성, 선운사, 고창, 고인돌, 유학자
    인기콘텐츠 :
    풍천장어, 하늘부모님교단, 참외장아찌, 고창 청보리밭축제, 작설차
  • 디렉토리분류

      • 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 기타
      • 지리
      • 역사
      • 문화유산
      • 성씨·인물
      • 정치·경제·사회
      • 종교
      • 문화·교육
      • 생활·민속
      • 구비 전승·언어·문학
      • 개념 용어
      • 기관 단체
      • 놀이
      • 동물
      • 문헌
      • 물품·도구
      • 사건
      • 성씨
      • 식물
      • 유물
      • 유적
      • 음식물
      • 의례
      • 인물
      • 작품
      • 제도
      • 지명
      • 특산물
      • 행사
  • 추천콘텐츠

    •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고창읍성이 언제 축조되었는가에 대한 확실한 기록은 없고, 성벽의 ‘계유소축송지민(癸酉所築宋芝玟)’이라는 각명(刻銘)과 고창읍성에 대한 기록을 담은 것 중 가장 오래된 책인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이 1486년(성종 17)에 나왔다는 점에서 1453년(단종 1)에 세워지지 않았을까 추정한다.

    • 고창 웰파크시티

      고창 웰파크시티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석정리 에 있는 국내 최초 은퇴자를 위해 조성한 리타이어먼트 빌리지

    • 고창 오거리 당산

      고창 오거리 당산

      고창 오거리 당산은 1803년 3월에 고창현 중심지 세 곳에 동시에 조성되었다. 처음에는 오거리가 아니라 삼거리 당산이었다. 삼거리는 상, 중, 하 세 곳을 가르킨 말인데, 세 곳에 화표석주의 당산을 세운 것이다.

    • 문수사

      문수사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의 말사

    • 고창청보리밭축제

      고창청보리밭축제

      고창청보리밭축제는 넓고 아름다운 보리밭이 사진작가들과 여행 동호인들에게 알려지면서 관광객이 늘어나 행정력으로 질서 유지를 해야 할 정도에 이르자 방문객들의 불편 해소와 지역 문화를 체계적으로 소개할 필요가 커지면서 지역 주민과 고창군청이 합의하여 2003년부터 축제를 개최하였다.

    • 미당시문학관

      미당시문학관

      미당시문학관은 20세기 한국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인 미당 서정주 업적을 보존, 선양하기 위하여 고창군과 제자 및 유족들의 뜻에 따라 개관되었다.

    • 동리시네마

      동리시네마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작은 영화관

    •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이 언제 축조되었는가에 대한 확실한 기록은 없고, 성벽의 ‘계유소축송지민(癸酉所築宋芝玟)’이라는 각명(刻銘)과 고창읍성에 대한 기록을 담은 것 중 가장 오래된 책인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이 1486년(성종 17)에 나왔다는 점에서 1453년(단종 1)에 세워지지 않았을까 추정한다.

    • 판소리박물관

      판소리박물관

      고창판소리박물관은 특수하게 인간의 가치 있는 음향, 즉 음악을 다루는 소리 음향 박물관이고, 인간의 유산 가운데 무형문화재를 다루고 있으므로 무형문화재 박물관이며, 전통 음악의 다양한 장르 가운데 하나를 다루고 있으므로 전통 음악 박물관이다.

    • 선운산

      선운산

      선운산은 도솔산이라고도 불리는데, ‘선운’이란 구름 속에서 참선한다는 뜻이고 ‘도솔’이란 미륵불이 있는 도솔천궁이라는 뜻으로 선운산이나 도솔산 모두 ‘불도를 닦는 산’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 선운사

      선운사

      선운산 북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선운사는 김제의 금산사와 함께 전라북도의 2대 본사이며, 고창 지역의 대표적인 산사이다.

    • 선운산 도립공원

      선운산 도립공원

      선운산은 도솔산이라고도 불리는데, ‘선운’이란 구름 속에서 참선한다는 뜻이고 ‘도솔’이란 미륵불이 있는 도솔천궁이라는 뜻으로 선운산이나 도솔산 모두 ‘불도를 닦는 산’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1 /
  • 동영상특별한 이야기

    • 고창읍성과 모양성제 썸네일 이미지
      고창읍성과 모양성제
    • 귀농의 천국 고창,  농가소득 1억원시대를 열다 썸네일 이미지
      귀농의 천국 고창, 농가소득 1억원시대를 열다
    • 복분자술과 풍천장어가 만나다 썸네일 이미지
      복분자술과 풍천장어가 만나다
    • 고창의 숨결을 만나다 썸네일 이미지
      고창의 숨결을 만나다
    1 /
  • 내가 쓰는 고창백과

    • 영선중학교 영문명 변경 20.07.30
    • 문화재 명칭 통일 요청 20.07.06
    • 울산김씨 (전라북도 고창군) 19.02.20
    • 울산김씨 입향경위 수정 19.04.03
  • 전자지도

    • 고창읍
    • 고수면
    • 공음면
    • 대산면
    • 무장면
    • 부안면
    • 상하면
    • 성내면
    • 성송면
    • 신림면
    • 심원면
    • 아산면
    • 해리면
    • 흥덕면
  • 관광안내

    관광안내 지도로
    관광명소의 위치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 관광안내 리플렛
  • 배너모음

    많이 사용하는
    메뉴를 한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동여도보기
    • 고문서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고창현 / 무장현 / 흥덕현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고창군청
  • 사이트 소개
  • 저작권 정책

COPYRIGHT (C) 2010. 한국학중앙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대표전화: 031-709-8111

디지털고창문화대전

전체메뉴

  • 콘텐츠 목차
    • 고창향토문화백과
    • 고창의 특별한 이야기
    • 고창의 마을 이야기
  • 디렉토리분류
    • 표제어
    • 분야
    • 유형
    • 시대
    • 지역
    • 집필자
    • 참고문헌
  • 콘텐츠색인
    • 인명
    • 지명/기관명
    • 서명/작품명
  • 전자지도
  • 전자연표
  • 시청각자료
    • 동영상
    •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