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0718 |
---|---|
한자 | 崔鳳儀 |
영어음역 | Choe Bongui |
이칭/별칭 | 오월(梧月) |
분야 |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효자·열녀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재영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오월(梧月). 아버지는 만오(晩悟) 최후경(崔候慶)이다.
최봉의(崔鳳儀)는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평소 아버지의 효행을 본받아 그대로 실천했는데, 아침저녁으로 어머니의 안부를 묻고 고기를 잡고 땔감을 채취하며 극진하게 공양하였다. 어머니가 죽자 무덤 옆에 움막을 짓고 3년 동안 시묘를 한 뒤, 아버지를 추모하는 3년상을 다시 이행하였다. 어려서 못다 한 도리를 다하고자 한 것이다.
최봉의의 효행이 알려지자 1885년(고종 22) 아버지와 함께 명정(命旌)되고 동몽교관과 좌승지에 증직되었다.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에 정려가 있으며,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이 「양세정려기(兩世旌閭記)」를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