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1613 |
---|---|
한자 | 民謠 |
영어음역 | Minnyo| |
영어의미역 | Folk So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익두 |
전라북도 고창 지역의 민중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고창 지역은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지역의 경계로서, 전라남도권 민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민요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풍부한 곳이기도 하다. 민요 속에는 그 지방 사람들의 소박한 정서와 생활상이 깃들어 있기 때문에 향토애가 느껴지는 노래가 많다. 특히 서정적이고도 꾸밈이 없는 소박한 아름다움, 흥겹고 경쾌하며 생동감 있는 가락 등이 특징이다.
고창 지역은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지만 해안 지역에서는 어업에도 종사하고 있어서, 농업 노동요와 어업 노동요가 함께 나타나고 있다. 북쪽에서 부안군 지역까지 내려온 ‘메나리조’ 창법의 요소가 이 지역에서는 더욱 더 약화되고, ‘육자배기조’ 창법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다른 전라북도 서부 평야 지역과 같은 ‘교환창’ 노동요는 찾아볼 수 없고, 대부분의 노동요가 ‘선후창’ 노동요로 불리고 있다.
「모심는 소리」의 경우, 전라북도 다른 서부 평야 지역의 「상사 소리」와 함께 전라남도 영광·함평 일대의 「모심는 소리」와 같은 유형의 「상사 소리」가 혼재하고 있다. 후자는 북장단[이를 ‘모방구’ 장단이라 함]이 꼭 들어가고, 곡조가 전라북도의 「자진 상사 소리」 정도로 빨리 진행되며, “아나 농부야 말 들어…….”라는 관용구의 구절이 없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일부 「논매는 소리」의 경우는 한시(漢詩) 구절이 상당이 많이 나타나는 특징도 볼 수 있다.
제의요는 「고사풀이」·「성주풀이」·「액맥이 타령」·「상여 소리」 등이 채록되었다. 고창 지역에서는 「상여 소리」가 가장 많이 채록되고 있다. 이 지역의 「상여 소리」는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관음보살’이라는 후렴과 ‘어-노 어-노 어-노 어허노’라는 후렴이 거의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공통 표지를 보여주면서, 지역에 따라 다소간의 지역적 변이가 나타난다.
노동요로는 「물푸는 소리」·「모심는 소리」·「논매는 소리」·「장원질 소리」·「벼베는 소리」 등의 도작농업 노동요와, 「그물당기는 소리」 등의 어업 노동요, 그리고 「지경다지는 소리」·「물레질 소리」·「등짐 소리」와 같은 일종의 잡역 노동요 등이 채록되었다.
노동요, 특히 도작 노동요[논일노래] 속에는 지역에 따라 매우 독특하게 발달한 곡조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어 흥미롭다. 또한 이 노동요들은 각 기능에 따른 곡조의 분화가 매우 다양한 특징도 지니고 있다.
예컨대 「모심는 소리」의 경우도 ‘진소리’[느린소리]와 ‘잘룬소리’[빠른소리] 등으로 분화되고, 「논매는 소리」도 ‘진소리’와 ‘잘룬소리’, ‘미도지기’ 등으로 분화된다. 이러한 분화는 모든 고창 지역에서 같거나 유사한 곡조들이 다소간의 변이를 일으킨 것이 아니라, 각 지역의 도작 노동요 특히 「논매는 소리」의 곡조는 완전히 다르게 발달하였다. 또한 도작 노동요에는 「물푸는 소리」도 여러 곡 채록되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것은 고창 지역이 상당히 높은 구릉성 지형들이 많아, 이러한 지형에서는 논농사를 짓기 위해 수면보다 높은 위치로 물을 품어 올리는 작업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이 필요한 데에도 그 원인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 지역의 노동요 중에는 어업 노동요도 상당수가 채록되고 있는데, 그것은 이 지역의 서쪽 사면이 서해 바다와 잇닿아 있기 때문이다. 이 지역의 어업 노동요는 특히 해리면 일대, 그 중에서도 바닷가와 인접해 있는 사반리 미산·작동마을에서 집중적으로 수집되고 있다. 그 중에는 「그물당기는 소리[어기야하 소리]」와 「술배 소리」 등이 있는데, 이 두 가지 노래는 모두 그물을 당길 때 부르는 어업 노동요이다. 전자는 그물을 천천히 당길 때 부르고, 후자는 그물을 좀 더 빨리 당길 때 부른다.
놀이요로는 「강강수월래」·「애기어르는 노래」·「각설이 타령」·「어름마 타령」·「흥타령」·「산아지 타령」·「똥그랑땡」 등의 민요들이 채록되었다.
특히 이 지역에서 많이 채록된 노래들로는, 각종 동물들에 관한 민요들이 많이 보인다. 「거무 타령」·「꿩타령」·「소타령」·「물메기 타령」·「두꺼비 타령」·「개미 타령」·「말타령」·「새타령」·「사슴 타령」·「이타령」 등등 매우 다양하고 재미있는 가사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종 동물 및 생활 물품들에 관한 노래들은 그 가사가 상당히 길고 내용이 매우 풍부하게 발달하여 문학적인 흥미를 유발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 외에도 「강실도령」·「강남땅 강처녀」 등과 같은 서사 민요도 보이고, 「음식타령」·「엿타령」·「담바구 타령」 등 일상생활의 낯익은 사물들을 노래한 민요도 나타난다. 그리고 이 지역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중타령」·「토끼 타령」·「새타령」·「방아 타령」·「박타령」·「심청가」 등과 같이 판소리와 관련되어 파생된 장편 민요들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