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1628 |
---|---|
한자 | 喪輿- |
영어음역 | Sangyeo Sori |
영어의미역 | Song of Funeral Procession |
이칭/별칭 | 「상부 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대동리 |
집필자 | 김익두 |
성격 | 민요|제의요|장례 의식요 |
---|---|
토리 | 육자배기 토리 |
기능구분 | 의식요 |
형식구분 | 선후창 |
가창자/시연자 | 박병노[아산면 대동리]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대동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장례 절차 중에서 출상 당일 상여를 메고 출발하기 전이나 상여를 메고 갈 때에 상여꾼이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이를 「상부 소리」라고도 한다.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다. 이는 박순호가 1990년 2월 24일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대동리 43번지에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박병노[남, 68]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한 사람이 선창하면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후렴 따위를 이어 부르는 선후창 형식의 노래이다. 상여소리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부분은 상여를 메고 출발하기 전에 부르는 노래로, 이 부분의 후렴[받는 소리]은 ‘관음보살’이다. 뒷부분은 상여를 메고 무덤으로 가면서 부르는 노래로, 이 부분의 후렴은 ‘어-노 어-노 어-노 어-허노’이다.
[메]어-어-어허-이허-허 삼천갑자 동방삭이 살았었고 전후 팔십 강태공 살았건만 자식의 인생들은 단 팔십을 못다 사니 이 아니 서러운가/ [받]관음보살/ [메]어-어-어허-이허-허 영리기가 왕정유택 개긴견례 영결존천 떠나시니 아미보살/ [받]관음보살/ [메]어-어-어허-이허-허 화태 시절 번잭이는 약명 몰라 죽었으며 천하 갑부 석숭인들 금전이 묻혀 죽었을까/ [받]관음보살/ [메]에헤-허 에-허이-허 허 황천길이 머다더니 바로 대문 밖으가 황천일래/ [받]관음보살/ [메]에헤-허 에-이-허 허 천리행을 일석지지 인시하관 묘시발복 백자천석 부귀영화지로 찾어가니/ [받]관암보살/ [메]어-노 어-노 어-노 어-허노/ [받]어-노 어-노 어-노 어-허노/ [메]원노로구나 원노로구나 멀 원자 질 노자 원로로구나/ [받]어-노 어-노 어-노 어-허노/ [메]화태시절 변잭이는 약명을 몰라서 고원일까/ [받]어-노 어-노 어-노 어-허노/ [메]명사십리 해당화야 니 꽃 진다고 설워를 마소/ [받]어-노 어-노 어-노 어-허노/ [메]니 꽃일랑은 명년 춘삼월이 오며는 니 꽃일랑은 다시나 피고/ [받]어-노 어-노 어-노 어-허노.
「상여 소리」는 농어촌 전통 사회에 아직도 장례 풍속이 남아 있어 다른 민요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전승력이 나은 편이다.
고창 지역에서 채록된 대표적인 「상여 소리」는 죽은 사람의 시신을 상여 위에 싣고 묘소까지 운구할 때 상두꾼들이 부르는 노래로, 장례 민속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