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192
한자 箕山書院
영어음역 Gisanseowon
영어의미역 Gisanseowon Shrine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대동리 산 3[쌍천길 13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최범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당
양식 맞배지붕
건립시기/일시 1932년연표보기
정면칸수 3칸
측면칸수 2칸
소재지 주소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대동리 산 3[쌍천길 131]지도보기
소유자 평산신씨 문중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대동리에 있는 신한균, 김두안, 강수흠 등의 인물을 향사하는 일제 강점기 사당.

[개설]

기산서원평산신씨(平山申氏)의 사우로, 1932년에 신현중(申鉉中)이 창건하고 신한균(申漢均), 김두안(金斗安), 강수흠(姜隨欽) 등을 향사해 오다가 뒤에 신명동(申命東), 신지인(申志仁), 신택렬(申宅烈), 김용수(金容洙), 신현중(申鉉中) 등을 추배(追配)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명동은 조선 후기 효자로 자는 군실(君實), 호는 성암(誠菴)이고, 본관은 평산으로 1727년(영조 3)에 나주 월전리에서 출생하였다. 효성이 지극하여 부친이 병에 들어 위독하자 허벅지 살을 베었고 또한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여러 날을 연명하였다. 장례 이후에도 매일 새벽에 큰 재를 넘어 성묘하기를 3년 동안 하루도 거르지 않았다. 또한 학행이 뛰어나 칭송이 자자했다.

신지인은 조선 후기 효자로, 자는 인수(仁守), 호는 경와(敬窩)이며, 신명동의 아들로 1767년(영조 43)에 나주 월전리에서 출생하였다. 천성적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부친의 병에 하늘에 빌고 대소변을 맛보았으며, 병세가 위급해지자 허벅지 살을 베고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여러 날을 연명하게 했으며 모친이 병에 걸렸을 때도 작지주혈(斫指注血)하여 3일을 연명하게 하였다. 상을 당하자 아침저녁으로 성묘하기를 6년 동안을 하루같이 하였다.

신택렬은 조선 후기 효자로 자는 덕유(德裕), 호는 연호(煙湖)이며, 1817년(순조 17)에 아산면 오정동에서 출생하였다. 강재(剛齋) 송치규(宋穉圭)의 문인으로 학문은 체용(體用)을 겸전(兼全)하고 충효에 독실(篤實)하였다. 순조헌종이 세상을 떠나자 봉소산(鳳巢山)에 단을 쌓고 통곡하였으며, 부친이 병이 들었을 때 한겨울에 붕어가 먹고 싶다고 하자 눈 속에서 붕어가 튀어나왔으며, 모친이 병에 들어 비둘기 고기가 먹고 싶다고 하자 산비둘기가 부엌에 날아들었다. 1891년(고종 28)에 효자 정려가 내려졌다.

김용수는 조선 후기 학자로 자는 대규(大奎), 호는 송계(松溪), 본관은 김해로 1849년(헌종 15)에 신림면 벽송리에서 출생하였다.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으로 최익현과 교유하여 문명(文名)이 있었다. 흉년이 들자 여러 차례 가난한 사람을 도와 칭송이 자자하였다. 1889년(고종 26)에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의 벼슬을 내렸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신한균은 조선 후기 효자로 자는 여의(汝儀), 호는 오정(梧汀)이고, 신택렬의 아들로 1852년(철종 3)에 아산면 오정동에서 출생하였다. 기정진의 문인으로 스승에게서 시(詩)와 예(禮)를 이어받아 이름이 있었다. 효성이 지극하여 부친의 병으로 등창이 생기자 고름을 입으로 빨고 대소변을 맛보았으며, 전후 상에 6년을 읍혈(泣血)하였다.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자 흥덕현감(興德縣監) 윤석진(尹錫禛)과 함께 의병을 도모하다가 중앙군이 이르자 선악(善惡)을 구분하였고, 1906년(고종 43)에 장릉참봉(章陵參奉)으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은거하며 시서(詩書)를 즐겼다.

김두안은 개항기 의사(義士)로 자는 소원(素園), 호는 호은(湖隱)이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1851년(철종 2)에 미면(米面) 미룡리(米龍里)에서 출생하였다. 효성이 지극하고 학문이 깊었다. 벼슬은 통정대부(通政大夫), 궁내부참서관(宮內府參書官)에 이르렀다. 1906년에 최익현, 임병찬과 더불어 창의하였고 옥구향교에서 10년간 봉직하였다.

강수흠은 조선 후기 효자로 자는 내호(乃豪), 호는 신재(愼齋), 본관은 진주로 1858년(철종 9)에 아산면 상갑리에서 출생하였다. 효성이 지극하여 부친이 병에 걸리자 하늘에 빌어 대신하기를 원하였고, 병세가 위급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여러 날을 연명하게 하였으며, 상을 당하여서는 애통이 지극하여 아침저녁으로 곡읍하고 성묘하기를 3년을 하루같이 하다가 이것이 병이 되어 세상을 떠났다. 이에 사람들이 그의 효성에 감복하여 동구(洞口)에 비를 세워 찬양하였다.

신현중은 개항기 선비로 자는 경일(景一), 호는 율봉(栗峯), 미산(薇山)이고 신한균의 아들로 1877년(고종 14)에 성균박사(成均博士)에 천거되었으나 나가지 않았고 대성문학원(大聖文學院) 강사로 불렀으나, 또한 나가지 않았다. 부친이 병에 걸리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3일 동안 연명하게 하였다. 경술국치를 당하자 의병을 일으키려다 미수에 그치고 통곡하였다.

고종이 세상을 떠나자 덕산(德山)에 단(壇)을 설치하고 복수를 도모하며, 이후 평량갓을 쓰고 상인의 모습으로 평생을 지냈다. 부흥산(賦興山)에 들어가 기동강당(箕東講堂)을 지어 ‘단기강산한선일월(檀箕江山韓鮮日月)’이라 크게 써서 세우고 후학을 양성하였다. 강당 뒤에 영광단(永光壇)과 서산단(西山壇)을 세우고 봉향하였으며, 기산서원을 건립하여 충효와 거행(擧行)을 추모하였다.

[위치]

기산서원은 쌍천마을에서 오른쪽 산길을 따라가다 보면 기산 아래 고창강변에 위치하고 있다.

[변천]

1932년에 창건하여 중·개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형태]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고, 3칸의 신문(神門), 기동강당(箕東講堂)과 교직사(校直舍)로 이루어져 있다. 강당 뒤에 영광단과 서산단을 세웠다. 영광단은 단군과 기자의 제사를 지내기 위한 단이고, 서산단은 백이와 숙제의 제사를 지내기 위한 단이다.

[현황]

음력 10월 상정[上丁: 음력으로 매달 초순에 드는 정(丁)의 날. 대개 이날에 나라나 개인의 집에서 연제(練祭), 또는 담제(禫祭) 등의 제사를 지냄]에 향사를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