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0611
한자 輪圖匠
영어음역 Yundojang
영어의미역 Traditional Compass Craftsman
이칭/별칭 패철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
집필자 유영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6년 12월 31일연표보기 - 윤도장 국가무형문화재 제11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윤도장 국가무형문화재 재지정
문화재 지정번호 국가무형문화재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 낙산마을에서 풍수 지남침을 제작하는 장인.

[개설]

윤도장은 24방위를 원으로 그려 넣은 풍수 지남침(指南針)을 제작하는 전문 기술자이다. 윤도[전통 나침반]는 남북 방향을 가리키는 자석 바늘을 이용하여 지관이 음택과 양택 등 풍수[묘 또는 집터 자리를 정함]를 알아볼 때나 천문과 여행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수 도구이다. 명칭의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시대 문헌에 처음 나오며, 몸에 차고 다닌다하여 이를 ‘패철(佩鐵)’이라고도 한다.

[윤도장 김종대]

성내면 산림리 낙산마을에서 나침반을 만들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320여 년 전, 이 동네에 살던 김씨 가문에서 ‘지윤도’라는 나침반 기본 설계도와 자석을 만들 수 있는 원석을 구해 와서 최초로 만들었다. 이 기술이 한씨, 서씨 집안을 거쳐 김종대의 조부 김권삼과 백부 김정의에게 전해졌고, 어릴 때부터 손재주가 뛰어났던 김종대가 나침반 가업을 이어 받았다. 김종대[남, 66]는 1996년 12월 3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10호 윤도장 기능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윤도장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근거하여 문화재위원회에서 종목을 지정하였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무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윤도의 제작]

윤도의 재료는 주로 대추나무나 회양목을 사용하는데, 이는 눈매가 곱고 단단하여 정교한 조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추나무는 충청북도 보은의 것이 좋다고 한다. 특히 오랜 대추나무일수록 빛깔이 비단 쪽 같이 윤이 나며 터짐이 없다. 나침반의 재료는 150년 이상 된 대추나무를 둥글게 잘라 쪄서 그늘에 건조해서 만든다.

[현황]

윤도가 사양길을 걷게 된 것은 6·25전쟁을 거치면서 미제 군용 나침반이 밀려들면서부터이다. 그러나 흥덕 패철의 전통을 믿는 지관 및 풍수가들이 꾸준히 찾고 있어 전량 주문 제작만 하고 있다. 일 년에 약 30~40개의 나침반을 만든다. 나침반의 종류에는 부채 끝에 매달아 장식품과 나침반 역할을 하는 선추, 거울과 나침반의 기능을 조합한 명경철, 지관들이 가장 많이 찾는 전통 패철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