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0571 |
---|---|
한자 | 羅漢殿 |
영어공식명칭 | Nahanjeon Hall |
영어음역 | Nahanjeon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616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안후상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5년 8월 14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나한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성격 | 불전 |
양식 | 익공계 맞배지붕 |
건립시기/일시 | 조선 후기 |
정면칸수 | 3칸 |
측면칸수 | 1칸 |
소재지 주소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616
![]() |
소유자 | 선운사 |
문화재 지정번호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선운사 도솔암의 16나한상이 안치된 불전.
나한전은 석가모니불과 제자들의 상을 안치한 법당이다. 도솔암은 원래 용문암(龍門庵)이라는 암자였다. 용문암 옆 용문굴(龍門窟)의 이무기가 주민들을 괴롭히자, 이를 쫓아내기 위해 인도에서 가져온 나한상(羅漢像)을 용문암 자리에 안치하였다. 그러자 이무기가 사라졌다고 한다. 이때 다시는 이무기가 나타나지 못하도록 이무기가 뚫고 간 바위 위에 나한전을 건립하고 나한상을 안치하였다고 전한다. 이 나한전이 바로 도솔암 나한전이다.
도솔암은 선운사의 산내 암자로, 선운사 대웅전에서 서쪽으로 2㎞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원래는 여섯 개의 도솔암이 있었으나 현재는 상·하 두 개의 도솔암만 남아 있다. 선운사 마애석불좌상에서 천인암(千仞岩)으로 오르기 이전 평평한 바위 위에 있다.
낮은 기단 위에 세운 정면 3칸, 측면 1칸의 일자집 익공계 맞배지붕 형태다. 건물의 공포(栱包)는 간략화한 주심포 양식이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건물은 전체적으로 단아하다. 정면에는 각 칸마다 연화문을 투각(透刻)한 두 짝의 분합문을 달았다. 내부에는 석가모니불상과 16나한상이 안치돼 있다.
나한전 앞면에는 폐기한 탑재로 쌓은 작은 석탑 하나가 있다. 나한전은 1985년 8월 14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나한전은 건축 수법으로 보아 조선 후기의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의 건축 양식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