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1239 |
---|---|
한자 | 晋州鄭氏三鋼閣 |
영어음역 | Jinju Jeongssi Samganggak |
영어의미역 | Memorial Gate for Jinju Jeong Clan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군유리 345-1[비석중화길 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주명준 |
성격 | 의사|효자|열녀 |
---|---|
양식 | 정려 비각|팔작지붕 |
건립시기/일시 | 1958년![]() |
정면칸수 | 3칸 |
측면칸수 | 1칸 |
소재지 주소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군유리 345-1[비석중화길 1]![]() |
소유자 | 진주정씨 종중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군유리에 있는 진주정씨 가문의 정문.
진주정씨(晉州鄭氏) 가문의 충신, 효자, 열녀들이 누대에 걸쳐 정려를 하사받았다. 진주정씨 삼강각에는 하나의 비석과 열세 개의 현판이 있어 이들의 활동 사항을 자세히 알려주고 있다. 정흘(鄭屹)은 정유재란 때 창의하여 의진에 임했으나, 전라감사가 무장현[현 무장면]에 현감 자리가 공석이자 현감 직책을 맡아 성을 지키면서 그 소임을 감당하여 충신으로서 진주정씨 삼강각의 수위에 올랐다.
정흘의 손자 정희주(鄭熙周)와 그의 아들 정민상(鄭敏相), 정유상(鄭有相) 3부자는 효우문학(孝友文學)으로 도봉사에 배향되었고, 정근일(鄭根日)은 부모상에 6년을 여묘하였으며, 정근수(鄭根秀)는 종신토록 부모에게 효도하였다. 정의원(鄭義源)의 처 천안전씨(天安全氏)는 무신란[戊申亂: 이인좌의 난] 때 병화를 피하여 시아버지를 업고 피난하여 목숨을 보존하였다.
정동찬(鄭東燦)의 처 신평송씨(新平宋氏) 역시 무신란 때 시조부를 업고 피난하다가 함께 죽었고, 정희철(鄭曦哲)의 처 청송심씨(靑松沈氏)는 남편이 죽자 못에 빠져 의로운 죽음을 택하였으며, 정낙원(鄭洛源)의 처 창녕성씨(昌寧成氏)는 남편이 병에 걸리자 손가락의 피를 남편의 입에 흘려 명을 늘렸고, 이조참판 정계천(鄭桂天)의 처 정부인(貞夫人) 여주이씨(驪州李氏)는 남편을 예로 도와 규범을 지키는 의표(儀表)가 되었다.
정근철(鄭根哲)의 처 능성구씨(綾城具氏)는 남편이 병에 걸리자 허벅지를 베어 구완하였고, 시아버지가 병에 누웠을 때는 손가락을 찢어 피를 흘려 구완하였다. 정계두(鄭桂斗)의 처 김해김씨(金海金氏)는 시부모가 살아 있을 때나 죽은 뒤에도 예를 다해 섬겼고, 정근석(鄭根碩) 처 함평이씨(咸平李氏)와 정금묵(鄭金默)의 처 장흥고씨는 지혈로 남편의 수명을 늘렸다.
정근수(鄭根秀)의 처 청도김씨(淸道金氏)는 남편이 10년 동안 병에 걸려 눕게 되자 변을 맛보거나 하늘에 기도하여 낫기를 원하였다. 이렇게 한 가문이 정려 하나 하사받기도 어려운데, 13위의 충효열이 세상에 이름을 날린 예는 드물다.
이렇게 모두 열 세 사람이 정표되었는데 이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의사표북헌 정공흘지려(義士尨北軒鄭公屹之閭)’, ‘효자송포 정공근일지려(孝子松圃鄭公根日之閭), 효자광남정공근수지려(孝子光南鄭公根秀之閭)’, ‘학생정공의원배효부천안전씨지려(學生鄭公義源配孝婦天安全氏之閭)’, ‘학생정공동찬배효부신평송씨지려(學生鄭公東璨配孝婦新平宋氏之閭)’, ‘학생정공희철배열부청송심씨지려(學生鄭公曦澈配烈婦靑松沈氏之閭)’, ‘학생정공낙원배열부창녕성씨지려(學生鄭公洛源配烈婦昌寧成氏之閭)’, ‘이참정공계천배열부정부인여주이씨지려(吏參鄭公桂天配烈婦貞夫人驪州李氏之閭)’, ‘학생정공근철배열부능성구씨지려(學生鄭公根哲配烈婦綾城具氏之閭)’, ‘학생정공근석배열부함평이씨지려(學生鄭公根碩配烈婦咸平李氏之閭)’, ‘참봉정공계두배열부숙인김해김씨지려(參奉鄭公桂斗配烈婦淑人金海金氏之閭)’, ‘학생정공금묵배열부장흥고씨지려(學生鄭公金默配烈婦長興高氏之閭)’와 정흘의 손자 정희주 및 아들 정민상, 정유상 3부자이다. 「진주정씨삼강려기」를 후손 정익환(益煥)이 썼다.
고창군 공음면에서 지방도 796호선을 따라 무장면 쪽으로 가면 군유리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 다다른다. 버스 정류장 바로 앞에 진주정씨 삼강각이 있다. 정려각 주변에는 민가가 들어서 있다.
1958년에 건립하였다.
정면 3칸, 측면 1칸이며, 팔작지붕에 겹처마이다. 진주정씨 삼강각 안 네 벽에 현판열세 개가 있고, 담장 안에 비석이 있다. 내삼문을 시작으로 시멘트 벽돌담이 둘러 있다.
건축 연대가 오래되지 않았음에도 보존 상태가 좋지 않다. 여기저기 훼손된 부분이 보인다.
열세 명의 정려를 한 집안에서 하사받았다는 사실은 국가적으로 볼 때 유례가 드물다. 이는 비단 진주정씨 가문만의 자랑이 아니라 고창의 자랑거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씨 가문에서 제대로 보존하지 못하고 있어, 고창군이나 공음면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