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앉은굿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1441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경기도 성남시
집필자 최진아

[정의]

독경(讀經)을 주로 하는 법사들이 앉아서 하는 굿.

[개관]

서울과 경기 지방의 굿이 무당에 의해 춤과 노래로써 주로 선채로 굿을 하는데 반해 법사가 북이나 꽹과리를 두드리면서 독경을 하기 때문에 생겨난 충청지역의 무속용어이며, 성남지역에서는 충청도에서 이주해 온 법사류의 무당에 의해 앉은굿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내용 및 특징]

앉은굿에서 의례를 이끌어나가는 법사들은 강신무라 불리는 무당들과 똑같이 신내림을 받아서 법사가 된 경우도 있지만, 경을 배우고 외워내야 하는 특성상 스승 법사에게 배우는 과정인 학습을 통해 법사가 된 경우도 많다. 법사는 선굿과는 달리 법사가 혼자서 징을 두드리면서 자신의 반주에 맞춰서 경을 읽어나간다. 충청도에서는 ‘굿’이란 용어보다는 ‘경을 읽는다’라는 말로 표현되며, 안택경(安宅經), 우환경(憂患經), 병경(病經), 미친경 등과 같이 ‘경’으로 불려진다.

현재 성남지역에서는 1970년대 이후의 이주정책의 일환으로 지방에서 이주민들이 대거 이동하면서 경을 읽는 법사들도 함께 유입되어 무업을 하고 있다. 또는 선굿을 하는 무당들 중에서도 앉은굿을 배워서 선굿과 함께 병행하는 경우가 있다. 충청도에서 이주 후 성남지역에서 신내림을 받은 만신 여윤정이 이러한 사례에 해당된다. 여윤정에 의하면 앉은굿은 주로 살풀이를 할 때, 부정과 상문, 삼재를 풀 때 하는 굿이며, 또한 경제적으로 형편이 어려운 제갓집에서 선굿의 비용을 대기 어려울 경우에 이 굿을 주로 하고 있다. 순서는 부정→12신령 축원→제갓집공수→조상→뒷전 순이다.

[현황]

성남지역의 앉은굿은 충청도의 앉은굿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선굿을 하는 무당이 좀 더 저렴한 비용의 굿을 원하는 단골들을 위해 혹은 보다 간소한 의례를 원하는 단골들을 위해 앉은굿을 배워서 의례를 행하기에, 전통적인 법사들의 앉은굿보다는 그 의례 형식이 정형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