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중정남한지』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0308
한자 -重訂南漢誌-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기도 성남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은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찬읍지|필사본
저자 홍경모
편자 홍경모
편찬연도/일시 1862년연표보기
권수 13권
책수 6책
가로 19.3㎝
세로 31.3㎝
표제 南漢志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관악로 1]

[정의]

1846년(헌종 12) 광주부윤 겸 수어사이던 홍경모(洪敬謨)가 편찬한 경기도 광주 읍지.

[개설]

1779년(정조 3)에 서명응(徐命膺)이 수어사 재직 중에 왕명을 받고 착수하여 미완으로 그친 『남성지(南城志)』와 『여지승람』 등 여러 사서와 지리지를 참고, 수정, 보완하여 홍경모가 편찬한 것으로 사찬읍지에 속한다. 남한산성을 주로 다루었기 때문에 『남한지』라 하였고, ‘남한(南漢)’이란 용어를 책머리에 써서 광주부를 대표하는 뜻으로 사용하였다.

[편찬/발간경위]

조선 초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지리지가 편찬되었지만, 이후 4백여 년의 사실이 기록되지 못하였기에 『남한지』에서 이를 보완하여 모든 조목을 빠짐없이 망라하여 서술하였다. 앞서 만들어진 『남성지』의 조목에 18조목이 첨가되어 모두 13권, 63개 조목으로 구성된 매우 상세한 지리지로 만들어졌다. 광주부의 역사와 군현의 경계, 관속, 고금의 연혁 등이 상술되어 있고 남한산성의 역사가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반면, 이후로 발간된 관찬읍지인 『광주읍지』[1871년본, 1899년본]의 내용은 『남한지』에 비해 상당히 간략하다.

[서지적 상황]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州衍文長箋散稿)』에 의하면, 안정복(安鼎福)이 편찬한 구지도 있었다고 하나 그 관계는 불명하다. 『남한지』는 1862년에 중정본(重訂本, 13권 6책)이 간행되어 그 중정본이 현재 서울대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2005년 하남역사박물관에서 번역본을 발간하였다.

[형태]

『중정남한지』는 필사본 13권 6책으로, 크기는 가로 19.3㎝, 세로 31.3㎝이다.

[구성/내용]

내용 서(序)와 서례(敍例)‚ 총목(總目)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에 남한(南漢)‚ 성도(星度)‚ 분야(分野)‚ 산천(山川)‚ 형승(形勝)‚ 건치(建置)‚ 성지(城池)‚ 강역(疆域)‚ 방리(坊里)‚ 군명(郡名)‚ 성씨(姓氏)‚ 직관(職官) 순으로 되어 있다. 이 중 남한은 남한산성의 유래에 대해서 서술한 것이고, 성지(城池)에는 남한산성의 개축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

권2에는 궁실(宮室)‚ 관해(官廨)‚ 누정(樓亭)‚ 능침(陵寢)‚ 단묘(壇廟)‚ 학교(學校), 권3에는 관방(關防)‚ 진도(津渡)‚ 봉수(烽燧)‚ 역전(驛傳)‚ 참원(站院)‚ 장시(場市)‚ 목장(牧場)‚ 불우(佛宇)‚ 분묘(墳墓)로 되어 있는데, 관방에는 영애(嶺隘)‚ 요망(瞭望)‚ 척후(斥堠)‚ 복로(伏路) 등이‚ 진도에는 위치 및 선척 수와 교량이‚ 참원에는 발소(撥所)와 주점의 위치가‚ 장시에는 소속 처와 개시일이 각각 실려 있다.

권4에는 영제(營制)‚ 군제(軍制)‚ 공간(公幹)‚ 조련(操鍊)‚ 시예(試藝)‚ 군물(軍物)‚ 군기(軍器)‚ 군수(軍需)로 되어 있는데, 공간은 이, 호, 예, 병, 형, 공으로 구분하여 분장을 실었고‚ 군물은 수기(手旗) 사령기(司領旗) 중에 유고(留庫)한 것과 갑주(甲胄), 군복(軍服), 기치(旗幟), 고각(鼓角), 등촉(燈燭), 군막지속(軍幕之屬) 등을 분류하여 기록하고‚ 군기는 궁전(弓箭), 창검, 화포, 약환(藥丸), 화병(火兵), 잡기계, 잡종으로 열거하고‚ 군수에서는 공물, 군향(軍餉) 및 군수물자의 내용이 있다.

권5에는 공헌(供獻)‚ 영저(營儲), 경비(經費)‚ 지방(支放)‚ 공름(公廩)‚ 창고(倉庫)‚ 조적(糶糴)‚ 둔전(屯田)‚ 제언(堤堰)‚ 전결(田結)‚ 결전(結錢)‚ 부역(賦役)‚ 호구(戶口)‚ 풍속(風俗)‚ 물산(物産)으로 되어 있는데, 영저는 영고(營庫)‚ 보장고(保章庫)‚ 보향고(補餉庫)‚ 보관고(補關庫)‚ 성기고(城機庫)‚ 군기고(軍器庫)‚ 병방소(兵房所)‚ 복호소(復戶所)‚ 고마소(雇馬所)‚ 조량소(助粮所)‚ 환두소(圜頭所)로 나누고‚ 경비는 세입‚ 세비로 나누고 있다. 지방에서는 고별(庫別)로 다루고 있으며, 창고는 영창 24고‚ 동창 15고 외에 훼손된 창고를 모두 기록하였고, 그 외에 수창(稤倉)‚ 승창(僧倉) 등이 있다.

권6에는 명환(名宦), 권7에는 인물(人物)‚ 우거(寓居)‚ 절의(節義)‚ 효자(孝子)‚ 열녀(烈女), 권8에는 제영(題詠), 권9~10에는 성사(城史), 권11에는 시여(史餘)‚ 일사(逸事)‚ 승적(勝蹟), 권12~13에는 고실(故實)로 되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