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의례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지내는 의례. 평생 의례는 사람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혼인하여 자식을 낳고 사망하는 일생의 전 과정에 거치는 의례를 말한다. 이를 ‘일생 의례’라고도 한다. 또한 이를 크게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제례(祭禮)로 나누어 관혼상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인간의 일생은 연속적인 과정이지만 몇 가지의 단계로 구성...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아이가 커서 성인이 되었음을 인정해 주는 성년식. 관례는 청소년기를 지나 어른으로 진입하는 사회적 의미를 가지는 의례로서 15~20세가 되면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옛날 풍속은 남녀가 관례 이전까지는 머리를 길러 땋고 다녔으며, 남자는 관례를 행한 후 땋아 내렸던 머리를 올려 상투를 틀고 갓을 썼다. 여자는 쪽을 찌고 비녀를 꽂는 계례(筓禮)를 하였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아들을 낳기 위해 행하는 여러 가지 의례. 기자 의례는 아들을 낳지 못한 부인이나 집안에서 이를 기원하는 습속이다. 이를 ‘기자 풍속’, ‘기자 신앙’이라고도 한다. 자식 얻기를 기원하는 주체자의 행위에 따라 치성 기자(致誠祈子), 주술 기자(呪術祈子), 주물 기자(呪物祈子)로 분류할 수 있다. 아들을 갖고자 하는 개인이 행하는 의례이기 때문에 정해진 의식...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상례는 죽은 사람을 장사 지낼 때 수반되는 의례이다. 죽음을 현실로 수용하는 초종례부터 시신을 처리하는 습과 염의 의례, 죽은 자를 저승으로 보내는 발인과 매장에 따르는 의례, 상주들이 현실 사회로 복귀하는 매장 후부터 탈상까지의 과정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고창군에서 행해지는 전통적인 상례는 임종(臨終)→ 수시(收屍)→...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돌아가신 조상이나 특정한 신명(神明)을 받들어 복을 빌기 위해 행하는 추모 의례. 제례란 제사를 지내는 예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관행되고 있는 가정 제례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인 기제(忌祭), 고조 이상 불천위까지 지내는 시제(時祭), 명절에 지내는 차례(茶禮)로 나누고 있다. 오늘날 대개 제사라고 하는 것은 선조의 사망한 날을 맞아...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아이의 출산을 전후하여 행하는 의례. 출산 의례는 한 개인의 생이 시작되는 통과 의례의 첫 번째 의례이다. 출산 의례는 일반적으로 기자 의례부터 출산 전후의 의례, 즉 임산부의 행위 및 음식 금기, 치성 드리는 방법, 태를 처리하는 방법, 해산 시의 주의사항 및 그에 포함된 금기, 출산 이후의 삼칠일, 백일, 돌 등을 포함한다. 이를 출산속(出産俗)이라고도...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혼인과 관련하여 행해지는 일련의 의례. 혼례란 두 남녀가 결합하여 가족을 구성하는 의식이다. 가족을 구성하는 최초의 절차인 혼례는 남녀 두 사람의 사회적·경제적인 결합을 기본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혼례를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라고 하여 중요시했는데, 이는 개인의 입장에서는 가족을 이룬다는 지위의 변화를 의미하지만, 사회적으로는 두 가문(家門)의 결...
세시풍속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하여 행하는 의례적인 생활 풍속. 세시 풍속은 한 해를 주기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주기적·전승적·반복적·의례적으로 거행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행위를 말한다. 즉 세시 풍속은 순환형 시간관을 기저로 행해지는 것으로, 한 해의 일정한 날에 일정한 행사를 매년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시 풍속은 그것이 행해지는 사회적·지리...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대보름은 정월 보름을 말하며,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대보름은 새해가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맞는 명절이다. 따라서 각종 놀이나 명절음식에는 한 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미 그 해 여름을 생각하며 더위에 대비하고, 가을의 풍작을 기원하며 한 해를 마음으로부터 준비하는 것이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 새벽에 각 가정 마당에서 대나무를 태우는 세시 풍속. 대불튀기는 대보름날 새벽이 되면 자기 집 마당에서 대나무를 태우는데, 이때에 나는 소리에 때문에 집안의 잡귀가 놀라서 달아나게 하는 풍속이다. 이를 ‘댓불 피우기’라고도 일컫는다. 댓불을 피우면서 집안이 불같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의미 역시 가지고 있다. 고창군 성내면 지역에서는 대보름날...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12월 22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동지는 12월 22일로서 ‘아세(亞歲)’, ‘작은설’이라고도 일컫는다. 음력으로는 11월에 해당하므로, 11월을 동짓달이라고 한다. 동지는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동짓날에는 팥죽을 쑤어 조상을 위하는 차례를 지내고, 마당 등에 팥죽을 뿌려 잡귀의 출입을 막는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고대인...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백중(百中)은 음력 7월 보름에 드는 속절(俗節)이다. 이 시기는 온갖 곡식이 마련되는 때라서 백종(百種)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일 년을 반으로 나눌 때 처음 시작되는 달이기 때문에 중원(中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백중날은 여름 농한기로 하루를 쉬면서 놀고, 각 가정에서는 조상을 위하여 차례를 지낸다. 백중은 우란분회...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고 하는 삼짇날은 봄철에 양의 수가 겹치는 길일이라 하여 다양한 풍속이 전해진다. 이때 제비를 맞이하는 풍속이 있으며, 진달래가 만발하고 날씨가 따뜻하여 화전놀이를 즐기기도 한다. 삼짇날은 3이라는 양수(陽數)가 겹치는 날로서 봄철의 시작을 장식하는 명절이다.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10월에 지내는 세시 풍속. 음력 10월을 상달이라고 하여 중요하게 여긴다. 10월 달에는 다른 달에 꺼리는 일을 하더라도 탈이 붙지 않는다. 대개 10월에 문중 단위로 시제를 모신다. 음력 10월을 상달이라고 하며, 10월 보름은 하원(下元)이라고 한다.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에 상달을 일 년 내의 농사가 마무리 되고 햇곡식과 햇과일을...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명절. 음력으로 1월 1일을 설이라고 부른다. 설이라는 말의 어원은 삼간다, 새해가 시작되어 서럽다, 본래 처음을 뜻하는 말이다. 설은 한 해가 시작되는 날이기 때문에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고, 행동거지를 조신하게 하며, 또한 가정 단위로 조용히 지낸다. 설에는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며, 집안 어른들에게는 세배를 드린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2월 1일에 영등이 하늘에서 내려오는 날. 음력 2월 l일이 되면 영등이 하늘에서 내려와 2월 15일에서 20일 사이에 다시 올라간다. 영등은 바람을 관장하는 신이다. 바람이 생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바닷가 지역에서 영등을 모시기도 한다. 영등날에 행하는 세시풍속으로는 콩 볶아 먹기, 썩은 새끼줄로 목매기, 노래기 쫓기, 주머니 세우기 등이 전한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 새벽에 마을의 공동 우물에서 행하는 세시 풍속. 용알뜨기는 대보름에 부녀자들이 닭이 울 때를 기다렸다가 서로 앞을 다투어 물을 길어 오던 풍속이다. 이를 ‘우물 먼저 긷기’라고도 한다. 대보름날은 본격적인 농사철을 앞두고 농사를 준비하는 시기이다. 농사를 짓는데 있어서 물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농사를 짓는데 필요한 물을 확보하기...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6월 15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음력 6월 15일인 유두(流頭)에는 조상들에게 차례를 지내며, 일을 하지 않고 하루를 쉰다. 유두날은 용신이 곡식의 수확량을 정하는 때라고 하여 들에 나가 일을 하지 않는다. 만약 이날 들일을 하면 농사를 망친다고 한다. 유두는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목욕한다는 뜻의 ‘동류두목욕(東流頭沐浴)’에서 나온 말이다. 김극기(金...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일 년 열두 달 외에 더 있는 달에 행해지는 세시 풍속. 윤달은 달력의 계절과 실제 계절과의 차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1년 중의 달의 수가 어느 해보다 많은 달을 이른다. 윤달은 공달이라고도 하며, 무슨 일을 해도 해가 없는 달이다. 이장을 하거나 묘소에 상석을 세우기도 하고, 수의를 만들거나 집안 수리, 혹은 이사를 가기도 한다. 윤달은 무엇을 해도 탈이 없...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2월 4일이나 5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입춘은 천세력에 정해져 있는데 봄이 시작하는 날로서, 음력으로는 대개 설과 대보름 사이이다. 입춘은 봄을 상징하며, 24절기 중 첫째로 새로운 해의 시작을 의미한다. 예전에는 입춘이 되면 여자들은 집안 곳곳에 쌓인 먼지를 털어내고, 남자들은 농기구를 꺼내 손질하는 등 한 해 농사를 지을 준비를 했다. 일 년 농사의 시...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9월 9일에 지내는 세시풍속. 중구는 음력 9월 9일로, 중양·중양절 등이라고도 한다. 이는 양수 둘이 겹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중구에는 추석 때 하지 못한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기도 하며, 오리심리를 하기도 한다. 고창군 고창읍에서는 8월 추석에 오리심리[추석을 전후하여 잘 익은 벼나 수수, 조 이삭을 한 줌 가량 베어다가 묶어서 방문 위나...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4월 8일 석가모니의 탄생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음력 4월 8일 초파일은 부처님오신날로 많은 사람들이 절에 가서 연등을 단다. 초파일의 연등회는 오늘날 성대하게 벌어지는 의식이며, 주로 여자들이 참여하여 집안 식구들의 무병과 성공을 염원한다. 『고려사(高麗史)』에 의하면, 연등 행사는 정월 대보름에 하던 것을 고려 고종 때 권신 최이[1356~1426...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추석은 음력 8월 보름으로 ‘한가위’, ‘가위’, ‘가우’, ‘가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도 덜도 말고 이날만 같아라.”라는 말과 같이 가장 풍성한 시기에 지내는 명절이다. 추석에는 조상을 위하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간다. 추석 음식으로는 송편을 만들어 먹는다. 송편은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그 해 수확한 쌀로...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7월 7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음력 7월 7일은 칠석이라 하여 으레 비가 오는 날이라고 하며, 이와 관련하여 견우와 직녀의 전설이 전한다. 칠석은 칠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 각 가정에서는 칠성신에게 치성을 드린다. 간단히 떡과 나물을 준비하거나, 깨끗한 물을 떠다가 장독대나 우물가에 올려놓고 칠성신에게 가족의 명과 복을 비는 것이다. 집안에서 뿐...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에 지내는 세시풍속. 한식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청명절(淸明節) 다음날이거나 같은 날에 든다. 이때는 한 해 농사가 시작되는 시기로 겨울 동안에 무너져 내린 산소를 돌보기도 한다. 한식은 원래 중국에서 들어온 절기로 한국에서 토착화된 명절이다. 한식의 유래는 중국의 옛 풍속에 “이날은 풍우가 심하여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
자치조직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상조를 목적으로 하는 마을의 조직. 상포계는 상사(喪事)를 공동 부조하기 위해 만든 협동 조직이다. 이를 위친계, 유촌계, 만사계 등이라고도 한다. 상포계는 부모와 본인·아내 등의 상(喪)에 필요한 경비와 노동력을 충당할 목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상례 시 일어나는 모든 경비 및 노동력, 방문, 애도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계칙에 따라 범위가 장인·장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