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고 고창군에 있는 주요 도로와 교통수단 및 관련 시설 교통은 사람이나 물건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모든 활동이나 과정, 절차를 말하며 인류 문명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유사 이래로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인간의 경제 활동이나 사회 활동은 거의 전적으로 교통이라는 수단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교통수단의 발달은 지역의 산업 발전은 물론, 주거 생활의 향상과 직...
도로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사람이나 차들이 다니는 비교적 넓고 큰 길. 도로는 관리 주체 및 기능에 따라 고속 도로, 국도, 지방도, 시·군도 등으로 구분된다. 이를 중심으로 전라북도 고창군의 도로 현황을 알아본다. 1993년 6월에 개정된 6등급 도로법을 기준으로 2009년 12월 31일 현재 고창군의 등급별 도로 현황을 보면 고속 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고창담양고속도로, 일반 국도는...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남산리에서 은사리까지 연결되는 고속 도로. 전라북도 고창군을 기점으로 하고 전라남도 담양군을 종점으로 하는 호남고속도로의 지선으로 시작점인 고창과 종착점인 담양의 이름에서 유래한 고속 도로이다.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에서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까지 전 구간 왕복 4차선이다. 총 연장은 42.4㎞이고 제한 속도는 전 구간 최고 속도 100㎞/h, 최저 속도 5...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춘산리에서 흥덕면 신덕리까지 연결되는 고속 도로. 전라남도 무안군과 목포시에서 경기도 광명시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잇는 총 연장 340.9㎞의 4차선 도로이다. 고창 구간은 대산면 춘산리~흥덕면 신덕리로 총 31.51㎞이며 4차선이다. 나들목은 선운산나들목과 고창나들목이 있다. 제한 속도는 목포나들목~매송나들목이 최고 110㎞/h, 최저 60㎞/h이며, 고...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조동리에서 공음면 장곡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22호선은 전라남도 순천에서 시작하여 승주, 화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영광을 지나 전라북도 정읍에 이르는 국도이다. 총 길이 180.38㎞로 왕복 2차선은 67.03㎞, 왕복 4차선은 98.33㎞, 6차선은 7.49㎞, 8차선은 7.56㎞이며 도로 포장률은 100%이다. 각 지방국토관리청이 관리한다. 이중...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용반리에서 대산면 갈마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23호선은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서 충청남도 천안시에 이르는 국도이다. 총 길이 370.64㎞로, 왕복 2차선은 184.23㎞, 4차선은 186.41㎞이고, 도로 포장률은 100%이다. 각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한다. 이중 전라북도 구간은 전체 120.45㎞이며, 2차선은 36.03㎞, 4차선은 84.42㎞이...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에서 왕촌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연결하는 일반 국도이다. 2008년 12월 31일 현재 총 길이는 1,288.13㎞ 중에서 기존 국도와 겹치는 중복 구간을 제외하면 1,137.34㎞이다. 이중 2차선은 704.22㎞, 4차선은 271.68㎞, 6차선은 96.46㎞, 8차선은 64.98㎞이다. 이중 비포장도로는 전체의...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방축리에서 고창읍 월산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15호선은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에서 고창군 해리면 방축리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고창 구간 30.71㎞ 중 2차선은 19.60㎞, 4차선은 11.11㎞이다. 1996년 7월 「국가지원지방도 노선제정령」이 수립되었고, 1997년 6월 중장기 사업 계획을 시행하였다. 이어 2002년 7월 국가지원지방도 1차...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석정리를 통과하는 지방도. 지방도49호선은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강원도 원주시까지 이어지는 지방도이다. 총 길이 145.16㎞ 중 미개통 도로 4.6㎞를 제외하고 전체 136.06㎞이다. 이중 대부분이 2차선이고, 일부 구간이 4차선이다. 고창 구간은 2.19㎞이다. 지방도 49호선 중 고창 통과 구간은 지방도 898호선과 중복되어 석정리 지역을 통과하여 전라...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구시포에서 아산면 하갑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전체 20.3㎞ 중 3㎞가 국도 22호선과 중복된다. 전체가 2차선으로 되어 있다. 지방도733호선은 1989년 12월부터 1994년 9월까지 공사가 진행되었다. 지방도733호선은 상하면 구시포해수욕장에서 상하면 소재지로 나와 국도 22호선, 국도 77호선과 중복되어 북으로 올라가다가 아산면 하갑리에서 지방도 1...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서 심원면까지 이어지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734호선은 단독 구간 83.27㎞, 중복 구간 15.3㎞이며, 전체 구간이 2차선이다. 이중 고창군 아산면 남산리 3.1㎞는 미개통 구간이며, 아산면 성산리 3.35㎞, 아산면 계산리 3.1㎞, 부안면 용산리 8.02㎞는 비포장도로이다. 지방도734호선은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공사가 진행되었다. 지방도734...
포구·항·나루터
-
조선 시대 고창 지역의 배가 드나드는 개의 어귀. 포구(浦口)는 바닷물이나 강물이 드나드는 ‘개[浦]’ 중에서 배가 입·출항하는 곳을 말한다. 위치에 따라 바닷가에 있는 해상 포구와 강가에 있는 강상 포구로 나눌 수 있고, 기능에 따라 비교적 가까운 거리를 건너는 나루와 배가 입·출항하는 포구로 나누어진다. 조선 시대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는 서쪽 해안의 무장현과 흥덕현을 중심으로...
-
조선 시대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월산리 검당마을에 있었던 해상 포구. 검당포(黔堂浦)는 조선 시대에 농도가 진한 소금물[염탕수]을 큰 솥에 넣고 불을 지펴 다려 만드는 화염의 생산지로 유명하다. 검당포의 지명 유래는 두 가지가 있는데 선운사를 창건한 검당선사 또는 화염을 굽는 벌막에서 나오는 검은 연기[검당]와 관련된다는 설이 있다. 전언에 의하면 1400여 년 전 검당선사가 선...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에 있는 포구. 구시포(九市浦)는 조선 전기부터 확인되는 옛 포구이며 한자로 구시포(仇時浦)로도 표기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등에 의하면 구시포의 위치는 “무장현의 북쪽 30리에 있다”고 하였는데, 지금의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 구시포마을 앞 동쪽에 있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3월에 법성포를 출발한 세곡 선단이 첫 번째 정...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에 있는 조선 시대 봉수대 관련 포구. 조선 시대 고리포는 봉화를 올렸던 고리포 봉수대가 있었던 포구로 유명하며 봉군들이 머물렀던 마을로 추정된다. 봉수대는 포구 북동쪽 600여m 지점의 안산[120m]의 정상에 있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고리포의 봉수가 무장현의 서쪽 20리에 있다고 했는데, 이는 구시포의 남서쪽 약 1.8...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사포리에 있는 포구. 사진포(沙津浦)는 흥덕 북쪽, 부안으로 향하는 반도 안에 자리 잡은 포구이다. 예부터 주위의 들이 넓어 물산이 모여들고 해산물이 풍성하게 잡혀서 일찍이 해창이 설치되었다. 이 때문에 수확기가 되면 왜구가 침입하여 노략질을 일삼았다. 1397년(태조 6) 삼도수군절제사와 병조판서를 지낸 뒤 고창에 은거하던 김빈길(金贇吉)은 사진포에 왜구가...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에 있는 포구. 동호항은 조선 시대에 동백정포(冬柏亭浦)와 영신당이 있었던 곳이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무장군읍지(茂長郡邑誌)』 등에 의하면 조선 시대에 동백정포는 “무장현의 북쪽 30리에 있다”고 했으며, 그 지형은 바다로 깊숙이 들어가 삼면이 바다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지금의 동호마을 일대와 일치 한다. 동백정포는 동호마을의 북쪽...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용기리와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 고룡동을 연결하던 조선 시대 나루의 터. 좌치나루터는 옛 무장현[현 무장면]과 흥덕현[현 흥덕면]의 해안을 연결하는 나루로, 외부 소금장수들이 질마재를 넘어 무장현의 해변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사러 다니거나 심원면 사람들이 부안면 난산장[알뫼장]을 오가는 데 이용되었다. 풍수로 꿩이 앉은 형국이어서 좌치나루터라고 한다. 나루 양쪽...
교량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지형지물의 위로 건널 수 있도록 만든 인공 구조물. 교량은 아주 옛날부터 사람들이 하천을 건너기 위해서 만들기 시작하였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고창 관련 읍지에도 여러 개의 교량이 확인된다. 『고창읍지』에는 청산교, 주진교, 신월교, 반룡교가 기록되어 있고[靑山橋(在官門西北距十里), 舟津橋(在官門西距二十里), 新月橋(在官門東距二里), 盤龍橋(在官門北距一里)]...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도천리 도천마을에 놓인 다리. 도천마을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천 위에 설치되어 있어 도천교라는 이름이 붙었다. 전설에 의하면 ‘도천’은 마을 앞까지 바다물이 들어와 선창(船艙)이 만들어져 배형국이 형성되었다고 해서 거룻배 도(舠)와 통할 천(穿)을 붙여서 도천(舠穿)이라 했다. 일제 강점기 때 도로가 개설되면서 도천(道川)으로 불렀다고 한다. 교장[댜리의 전...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용기리와 부안면 선운리를 연결하는 다리. 교장[교량의 전체 길이] 180m, 총폭[교량 상부 구조에서 교축 직각 방향으로 최연단까지의 폭] 10m, 유효 폭 9m, 높이 7m이다. 기둥 사이[徑間] 수는 6개이며, 최대 경간 길이는 30m이다. 상부 구조 형식은 PSC[Prestressed Concrete] I형이고, 하부 구조 형식은 강관파일[TP]이다....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에 놓인 다리. 인천강[주진천이 공식 지명]을 통과하기 때문에 인천강교라는 이름이 붙었다. 교장[교량의 전체 길이] 365.3m, 총폭[교량 상부 구조에서 교축 직각 방향으로 최연단까지의 폭] 19.7m, 유효 폭 19.7m, 높이 11.9m이다. 기둥 사이[徑間] 수는 7개이며, 최대 경간 길이는 55m이다. 상부 구조 형식은 강상자형교[STB]이고,...
터미널·정류장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공용 버스터미널. 정병직 대표가 1973년 5월 16일 면허 인가를 받아 1974년 고창공용버스터미널로 건립하였으며, 1985년 시설을 증축하였다. 부지 면적은 4,720㎡이며, 건물 면적 1,514㎡ 규모의 2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1층은 대합실·승강장·승차장·화장실·주차장·하차장·매표실 창구·사무실·안내실·승무원 휴게실·개찰구·배차실·간...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산정리에 있는 종합 버스 정류장. 1982년 면허 인가를 받아 대산공용정류장으로 건립되었다. 부지 면적은 1,300~1,700㎡이다. 전체 2층 상가 건물 중 1층의 일부 공간[약 33㎡ 내외]을 대산공용정류장의 대합실·매표소·사무실·안내실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외부에 승강장·승차장·주차장·하차장 등이 마련되어 있고, 상가 건물 내에 화장실이 있다. 터미널...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고성리에 있는 공용 버스 터미널. 김균태 대표가 1972년 1월 14일 면허 인가를 받아 현재 위치에 해리공용터미널을 건립하였다. 1987년 2층 건물로 새롭게 건립하였다. 1990년대 초반 대표가 김재두로 변경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 현재의 1층 건물로 새롭게 리모델링하였다. 부지 면적은 2,456㎡이며, 건물 면적 491㎡ 규모의 1층 건물로 이루어져...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흥덕리에 있는 종합 버스 터미널. 흥덕공용버스정류장은 고석원, 김영탁, 유완종 대표가 1986년 8월 8일 면허 인가를 받아 같은해 8월 18일 현재의 위치에 건립하였다. 2009년 건물 증축 및 리모델링을 하였다. 부지 면적은 2,615㎡이며, 건물 면적 992㎡ 규모의 1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대합실·승강장·화장실·주차장·하차장·매표실 창구·사무실·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