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진주 난봉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790
한자 晋州-歌
영어음역 Jinju Nanbongga
영어의미역 Housewife's Song of Hard Life
이칭/별칭 「첩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
집필자 김익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서사 민요|부녀요|시집살이요
기능구분 서사 민요
형식구분 독창
가창자/시연자 최기루[무장면 무장리 시거마을]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에서 시집 살이의 고통을 노래한 대표적인 서사 민요.

[개설]

「진주 난봉가」는 고창군 무장면 시거리에 전해 내려오는 시집 살이의 고달픔을 노래한 부녀요이다. 일반적으로 시집살이요는 시집 식구나 시어머니가 직접적인 갈등의 대상이 되나 「진주 난봉가」는 남편의 외도가 직접적인 갈등의 원인이 된다.

[채록/수집상황]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다. 이는 박순호가 1990년 2월 22일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 시거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최기루[여, 75]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몇 절로 된 가사이든 가사의 처음부터 끝까지 다른 가락으로 노래하도록 만든 통절 형식의 독창이다. 「진주 난봉가」는 남편에게 외면을 당함, 남편의 외도를 목격함, 남편이 아내의 죽음을 안타까워함 등의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산도 좋고 물도 좋은디/ 진주 남강 빨래 가네/ 진주 남강 빨래 가니/ 흰 빨래는 희게나 빨고/ 거멍 빨래 검게나 빨니/ 하늘 같은 말을 타고/ 절컥절컥 들려오네/ 집이라고 돌아가니/ 아가 아가 메누리 아가/ 진주낭군 오신다네/ 문을 열고 바라보니/ 진주낭군 오신다고/ 사랑방이 분주하네/ 기상첩을 옆에 찌고/ 어영구영 하는구나/ 아랫방으로 들어가니/ 명지 수건 석 자 세 치/ 목 매달아 죽었다네/ 진주낭군 그 말 듣고/ 버선발로 뛰어 나와/ 여기저기 내 사랑아/ 본댁의 정은 백년이라/ 기상첩은 석달인디/ 그리그리 죽었는가.

[현황]

「진주 난봉가」는 전승 현장의 변화로 전승이 단절된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고창 지역에서 채록된 대표적인 서사 민요인 「진주 난봉가」는 본처의 입장에서 시댁·남편·첩 등과의 관계 속에서 벌어지는 시집 살이의 고통을, 특히 처첩 간의 갈등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비극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