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1706 |
---|---|
한자 | 禁忌語 |
영어음역 | Geumgieo |
영어의미역 | Taboo Word |
이칭/별칭 | 속신어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주경미 |
[정의]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피하거나 금기시되는 말과 행동.
[개설]
금기어는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속신으로, 일상생활이나 종교적 의례에서 관습적으로 사용하기를 꺼리는 말이나 행동을 표현한 말이다. 이를 ‘속신어’라고도 한다. 금기어는 보통 관습적인 민간신앙의 하나로 사람들이 해서는 안 되는 행위나 말들을 표현하고 있다. 대부분 “무엇을 하면 어떻게 된다.”, “어떻게 하면 무엇이 나쁘다.” 등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일상생활이나 종교적 의례에서 어떤 대상에 대한 접촉이나 언행을 제한한다. 흔히 터부(taboo)와도 같은 뜻으로 쓰인다. 보통은 ‘가리는 일’이나 ‘금하는 일’ 혹은 ‘지키는 일’, ‘삼가는 일’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고창 지역의 금기어]
1. 혼속(婚俗)과 관련한 금기어
-결혼식 날 신부가 눈물 흘리면 뒤에 잘 살지 못한다.
-결혼하는 첫날밤에 촛불을 입으로 불면 복이 달아난다.
-가마가 들어올 때 굴뚝 뒤에 서 있으면 해롭다.
-결혼식 날 그릇을 깨면 불길하다.
-바가지[바구니]를 머리에 쓰면 장가갈 때 호랑이가 쫓아온다.
-첫날밤에 밖에 나가면 복이 달아난다.
2. 산속(産俗)과 관련한 금기어
-어린애 난 집의 물건을 내가든지 또는 그 집에 상제가 들어가면 젖이 모자란다.
-임신한 여자가 방에 앉아 있을 때 방고래를 쑤시면 언청이를 낳는다.
-초하룻날 계집애를 낳으면 언짢다.
-산후에 볶음질 하면 어린애 얼굴에 두드러기 난다.
-어린애 낳고 못질 하면 어린애의 눈이 먼다.
-우물 속에 있는 고기를 잡아먹으면 소경 아이를 낳는다.
-해산할 달에는 남의 집 잔치에 가지 않는다.
3. 상사속(喪死俗)과 관련한 금기어
-기름병을 입으로 핥으면 죽을 때 유언을 못하고 죽는다.
-동네에 초상이 났을 때 머리를 빗으면 해롭다.
-두 손을 머리에 베고 자면 어머니가 돌아가신다.
-상여 나갈 때 길을 건너면 나쁘다.
-송장을 보고 냄새난다고 하면 늘 코에서 그 냄새가 난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지팡이를 주면 아들이 먼저 죽는다.
-누워서 신발을 갖고 놀면 죽을 때 오랫동안 앓다가 죽는다.
-땡감 먹고 기름 먹으면 죽는다.
-방을 들여 쓸면 친정에 가서 딸이 죽는다.
-지게를 방문 앞에 세워 놓으면 사람이 죽는다.
-해 진 뒤에 빨래 방망이질을 하면 동네 늙은이가 죽는다.
-앞산에서 여우가 울면 동네에 초상이 난다.
4. 민간신앙과 관련한 금기어
-대문을 함부로 내면 해롭다.
-저녁에 손톱이나 발톱을 깎으면 달걀귀신이 나온다.
-밤이슬을 맞고 자면 입이 돌아간다.
-정월에 개고기를 먹으면 그해 재수가 없다.
5. 여성과 관련한 금기어
-떡 찌다가 변소 가면 떡이 설익는다.
-여자가 밤에 거울을 보면 곰보 신랑 얻는다.
-베개를 깔고 앉으면 소박맞는다.
-어른에게 드릴 물을 먼저 마시면 입술이 붓는다.
-여자가 비오는 날에 머리 빗으면 시부모 장삿날에 비가 온다.
6. 일상생활과 관련한 금기어
-갓난아이에게 꿀을 많이 먹이면 말을 더디 배운다.
-남에게 침을 뱉으면 버짐이 난다.
-낮에 대문을 잠가 놓으면 재산이 늘지 않는다.
-다듬잇돌에 앉으면 앉은뱅이 된다.
-마을의 당산나무를 베면 동티난다.
-모자를 쓰고 식사하면 가난해진다.
-간장독을 깨뜨리면 집안이 망한다.
-갓을 비뚤어지게 쓰면 상처한다.
-고목이 쓰러지면 흉사가 생긴다.
-9월에 문을 달면 해롭다.
-그릇을 포개서 가지고 다니면 빚을 많이 진다.
-봄에 흰나비를 먼저 보면 상복을 입는다.
-세숫물을 많이 쓰면 죽을 때 물에 빠져 죽는다.
-실패에 실이 감겨 있지 않으면 부모가 헐벗는다.
-쪽 밤을 나눠 먹지 않으면 결혼을 두 번 한다.
-옛날이야기를 좋아하면 가난하게 산다.
-토끼 새끼 낳을 때 들여다보면 토끼가 새끼를 잡아먹는다.
-밥 먹고 바로 누우면 위(밥통)가 처진다.
[의의와 평가]
우리 조상들에겐 오랜 옛날부터 일상생활에서 얻어진 경험을 진리로 믿어 왔던 속신들이 가슴 깊이 뿌리박혀 전해 오고 있다. 이렇게 오랜 전통에서 얻어진 교훈들을 우리 조상들이 금기어로 다듬어 내고 간직하면서 긍정적으로 믿고 받아들여 인간교육·사회교육의 하나로 간주하여 금기어를 후세대에 전하고 있다. 따라서 금기어는 조상의 귀중한 생활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