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연정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622
한자 戀情謠
영어음역 Yeonjeong-yo
영어의미역 Love Song
이칭/별칭 「참깻잎도 나풀나풀」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집필자 김익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애정요|여흥요
기능구분 여흥요
형식구분 독창
가창자/시연자 김순남[심원면 하전리 상전마을]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에서 애정을 표현한 민요.

[개설]

「연정요」고창군 심원면 하전리에서 이성을 그리워하고 사모하는 마음을 노래한 여흥요이다. 이를 「참깻잎도 나풀나풀」이라고도 하는데, 남녀 간 특히 처녀 총각 사이의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채록/수집상황]

1994년 김익두 등이 집필하고 문화방송에서 발행한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편 해설집 577쪽에 실려 있다. 이는 1991년 3월 18일 문화방송조사팀이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마을 주민 김순남[여, 69]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대화체 독창으로 되어 있다.

[내용]

참깻잎도 나풀나풀/ 들깻잎도 나풀나풀/ 우리 동네 한 처녀는/ 머리만 살짝 넹겨 빚고/ 새암으 질어를 썩 나서니/ 남의 집 사는 총각놈이 비누 주께 니 몸 팔래/ 댕기 주께 니 몸 팔래/ 댕기 비누 돈 닷돈에/ 나의 몸을 팔을 소냐/ 밍경 한경을 사다 주리/ 밍경 한경은 내게 있고/ 연지 분통 사다 주리/ 연지 분통도 내게 있고/ 날과 같은 반달을 주리/ 니가 무슨 반달이냐/ 초승에 달이 반달이제.

[현황]

「연정요」는 전승 현장의 악화로 거의 단절되고 있다.

[의의외 평가]

남녀의 애정을 표현한 노래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연정요」의 경우와 같이 처녀 총각의 애정 표현의 기미를 잘 묘사한 노래는 흔치 않다. 고창 지역에서 채록된 대표적인 사랑 노래로서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