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1541 |
---|---|
한자 | 中興里德興堂山祭 |
영어음역 | Jungheung-ri Deokheung Dangsanje |
영어의미역 | Village-Ritual Ceremony of Deokheung Village in Jungheung-ri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중흥리 덕흥마을![]() |
집필자 | 황금희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중흥리 덕흥마을에서 정월 초사흘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중흥리 덕흥마을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사흘에 당산나무와 당산석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덕흥마을 앞에 팽나무 거목이 한 그루 있었고 마을 뒤쪽에 3그루가 함께 있었는데, 1970년대에 새마을운동을 하면서 경지를 정리할 때에 없애 버렸다. 당산제는 예전에는 지냈지만 그 무렵에 인구가 감소하면서 흐지부지 되었고, 당산이 없어지면서 지내지 않게 되었다.
마을의 북동쪽에 높이 약 6m, 둘레 1.2m 정도의 괴목(槐木)이 한 그루 있고, 높이 50cm, 둘레 20cm의 입석이 1기 있다. 이를 앞 당산이라고 부른다. 마을의 북서쪽에도 높이 5.5m, 둘레 1.5m 정도의 괴목이 한 그루 서 있는데, 이를 뒤 당산이라고 한다. 앞뒤 당산은 옛날부터 마을에서 제사를 지내 왔으며, 마을을 수호해 주는 신목이라고 여긴다.
마을에서 깨끗한 사람으로 진하주와 건하주 2명을 선출한다. 진하주는 직접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고, 건하주는 밖에서 심부름을 하는 사람이다. 제를 지내기 전에 등을 달고 제주는 목욕 후 제상을 차린다. 음력 1월 3일 밤 12시 경에 술, 과일, 포, 떡, 밥 등을 차린 상을 하나 놓고 방안 제사처럼 지낸다. 앞 당산에서 먼저 제축(祭祝)을 한 뒤에 뒤 당산에 가서 제를 지낸다. 제가 끝나고 나면 마을 사람들이 골고루 제물을 나눠 먹는다.
중흥리 덕흥마을 당산제는 한국 근현대사의 흐름에 따라 마을의 당산과 당산제가 사라지는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