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산물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생산되는 장미과 딸기속 농작물. 우리가 먹고 있는 일반적인 딸기는 양딸기이다. 양딸기는 1920~1930년대 무렵 한국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서양의 딸기가 처음으로 동양에 전해진 것은 19세기 말에 네덜란드를 통해 일본에 관상용으로 처음 전해진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한국이나 중국에서 딸기를 먹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반이다. 한국에서는...
-
전라남도 순천시 일대에서 생산되는 배나무의 열매. 삼한시대와 신라의 문헌에 배에 관한 기록이 있고, 고려시대에 배 재배를 장려했다는 기록을 보면 배에 관한 역사는 길다. 일제강점기에는 배의 품종 중 장십랑과 만삼길을 재배하였고 새로운 품종인 신고 등이 보급되었다. 1919년 이전까지 재래종 배나무가 자가소비용으로 심어졌으나 1919년 순천군 동초면 이곡리[현 순천시 낙안...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생산되는 송이버섯과 농산물. 1980년대 초반 느타리버섯 재배 희망 농가를 중심으로 느타리버섯작목반을 중심으로 느타리버섯 공동재배가 시작되었으며, 재배 성공으로 인근 각지에 느타리버섯 재배 붐이 일어났다. 적극적인 홍보 노력으로 순천, 전라남도 여수[특히 여천공단]지방에 1일 300㎏ 정도의 소비시장을 개척하여 판로의 애로를 극복하였다. 그 후 생산과...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재배되는 밤나무에 열리는 농산물. 순천시는 송광면 지역에서 생산되는 우량 품종인 대보 밤을 지역 대표상품으로 육성하고 있다. 순천시 송광면 200여 밤 생산 농가는 주암호 상류에 있는 까닭에 병충해 항공 방제를 하지 않고 460만 ㎡에서 친환경적으로 우수 품종의 밤을 생산하고 있다. 대보 밤은 당도가 높고 좋은 밤으로 알려졌지만, 수매 가격...
-
전라남도 순천시 일대 매화나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매실은 매화나무의 열매로, 원산지는 중국이며 3,000년 전부터 건강보조 식품이나 약재로 사용하였다. 매실 원산지는 중국의 쓰촨성[四川省]과 후베이성[湖北省]의 산간지로 알려져 있고, 한국에서는 중부 이남 지방에서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거나 과수원에서 재배한다. 순천시 농산물 공동브랜드 ‘순천미인매실’은 2008년 순천시...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재배하는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농산물. 50년 전통의 순천만 미나리는 순천을 대표하는 고부가가치 창출 고소득 전략 작목이다. 순천만 천혜의 자연이 미나리 재배에 좋은 환경이 되어주면서 순천미나리는 그 독특한 향과 함께 식감도 부드러우면서 섬유질이 풍부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식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미나리는 높이 20~50㎝로 자라며, 줄기 속이 비어...
-
전라남도 순천시 일대 감나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고려 1183년(명종 13)에 흑조(黑棗)[고욤]에 대한 기록과 1273년에 편찬된 『농상집요(農桑輯要)』에 감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감은 고려시대부터 재배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나라 고유의 단감은 지리산 남부 지역에 산재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현재 재배되고 있는 단감은 1910년경...
-
전라남도 순천시 일대에서 생산되는 곡물류 농산물. 순천시의 고품질 쌀 생산 추진계획에 따라 조생종 햅쌀 특화사업은 참여 농가 70 농가, 재배면적 100㏊[100만 ㎡], 품종 고시히까리, 생산예상량 30만㎏/조곡[20만㎏/정곡]이다. 친환경고품질 쌀 생산사업은 참여 농가 1,465 농가, 재배면적 1,063㏊[1063만 ㎡], 품종 황금누리, 생산 예상량 3...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 식물에서 재배되는 농산물. 순천은 전국 최대의 오이 생산지역으로 깨끗한 공기와 맑은 물, 풍부한 햇볕, 기름진 땅 등 자연환경이 좋고 천적 농법, 친환경 유기질 퇴비 사용, 토양개선 등 친환경 농업으로 재배된다. 1968년 오이의 촉성 재배가 시작되어 점차 비닐하우스 등을 이용한 가온과 보온으로 촉성 및 억제 재배 등을...
-
전라남도 순천 지역 다래나무과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참다래는 외국품종을 1970년대 후반부터 재배한 이후 2010년경 국산 품종이 개발되어 농가 보급 중이다. 하지만 수십 년 재배·검증한 외국품종과 달리, 국산 품종은 농가가 직접 품종별 재배 요령을 터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참다래에 함유된 비타민 C는 오렌지의 2배, 비타민 E는 사과의 6배, 식이 섬유는 바나나의...
-
전라남도 순천시 일대 벚나무속에 속하는 복사나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복숭아는 일제강점기부터 재래종이 재배되기 시작하였고, 순천시에서는 1973년 이후부터 승주군 월등면, 승주군 황전면, 승주군 낙안면 등지에 개량종이 주로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주로 식용으로 애용되는데 복숭아 열매는 변비와 폐 기능 강화, 니코틴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잎도 곽란[갑자기...
-
전라남도 순천시 지역에서 생산되는 한약재 일종의 특산물. 택사는 예전에 경상도 지역에서 재배하였지만, 지금은 이모작이 가능한 순천시 해룡면에서 택사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해룡면이 택사의 주생산지가 된 것은 1959년 해룡면 호두리 구상마을의 농민 신준호가 쌀을 조기에 재배하여 추석 햅쌀로 판매하고, 유휴 기간에 한약재 등의 특용 작물을 재배하는 이모작 재배...
-
전라남도 순천시 지역에 분포하는 다양한 야생화에서 채취한 토종꿀. 양봉은 고구려 태조왕[47~165] 때 동양종 꿀벌[Apis cerana]을 인도로부터 중국을 거쳐 들여와 기른 것이 최초라고 전한다. 이것이 ‘자연산 한봉’의 시작이 되었다. 자연산 한봉(韓蜂)을 하려면 나무와 꽃이 풍부한 깊은 골짜기가 알맞아서 한봉의 명맥을 이어 오고 있는 곳은 산세가 깊고 자연경관이...
가공 식품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고들빼기로 담은 김치. 고들빼기는 허준(許浚)[1539~1615]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열을 내리고 독을 없애며 혈액순환을 돕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인삼에 함유된 성분과 같은 사포닌 성분이 풍부해서 맛과 영양이 인삼을 닮았다고 해서 고들빼기김치를 ‘인삼김치’라고도 한다. 고들빼기의 이름은 19세기 초에 맛이 쓴 풀로 번역되는 한자 ‘고채(苦...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생산한 감의 껍질을 벗겨 말린 특산물. 순천시는 ‘승주꿀곶감’을 승주읍 1특품으로 육성하기 위해 2004년부터 2008년까지 5년간 212개 농가에 묘목 식재 등 28종에 대해 5억 2700만 원을 지원하였고, 2009년에는 건조장 10동, 저온 저장고 10동을 건설 지원하였다. 곶감은 감이 완숙되기 전에 따서 껍질을 벗겨 건조시킨 전통식품...
-
전라남도 순천시의 잠업 농가에서 생산하는 특산품. 잠업은 누에를 치는 일로, 1년에 봄·가을 두 번 누에 농사를 짓는다. 누에를 기르는 먹이로 쓰이는 뽕나무는 열매인 오디와 뿌리 등 다양한 부가 상품을 창출할 수 있다. 『중외일보』의 1928년 10월 4일 「잠업전습소 수업증수여식」 기사에서 전라남도 순천군 주암면[현 순천시 주암면] 주암면립잠업전습소 학교가...
-
전라남도 순천시 특산물 중 하나인 단감에서 나오는 천연당을 이용하여 만든 전통재래식 고추장. 콩을 이용한 발효 식품인 장류의 문헌상 첫 등장은 『삼국사기(三國史記)』「신라본기」 신문왕 3년(683년)의 폐백 품목에 나오는 장시해(醬豉醢)이며, 이 시(豉)가 콩에 곰팡이가 착색된 것을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시는 콩으로만 만든 식품이고 장(醬)은 콩에 다른 곡류를...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와 주암호, 조계산 일대에서 자란 토종 녹차로 만든 특산물. 명설차는 1985년 10월 순천녹차로 설립하였고, 2000년 1월 명설차로 법인 전환하였다. 이후 2001년 5월 순천 직매점 명설원 개원하였고, 2002년 12월 순천시 송광면에 가공공장을 준공하였다. 2003년 11월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인사아트플라자에 직영점을 개설하였...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영지버섯을 이용하여 담은 술. 술도가 밀림산업은 녹차주 전문 생산업체로서 1995년 순천시 별량면에서 영지버섯술로 사업자 등록 후 술도가를 순천시 외서면으로 이전하여 운영하고 있다. 영지버섯은 예로부터 산삼과 더불어 신비의 생약으로 이름나 있어 액체로 마시는 산소라고도 한다. 영지버섯은 담자균류 구멍장이버섯목 불로초과에 속해있는 1년생 버섯으로 영지버...
-
전라남도 순천 지역에서 자라는 차나무의 어린 잎으로 만든 녹차. ‘작설차(雀舌茶)’라는 이름은 차나무의 어린잎이 참새 혀끝만큼 자랐을 때 채취하여 만드는 데서 연유하였다. 이미 수백 년 전부터 기후풍토가 좋고 산과 물이 기이하고 고와서 작은 강남이라고 일컫는 순천 지역에서 생산되는 작설차가 으뜸이라고 알려져 왔다. 조선시대 교산 허균(許筠)[1569~1618]이 지은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