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매기노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1226
영어공식명칭 Nonmaegi Norae(A Song that weed a rice paddy, Farmers' Song)
영어음역 Nonmaegi Norae(A Song that weed a rice paddy, Farmers' Song)
영어공식명칭 Nonmaegi Norae(A Song that weed a rice paddy, Farmers'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옥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3년 3월 - 「논매기노래」 박순호가 김석권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5년 - 「논매기노래」 『한국구비문학대계』 6-4 전라남도 승주군에 수록
채록 시기/일시 1986년 8월 - 「논매기노래」 지춘상이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7년 - 「논매기노래」 『전남의 농요』에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논매기노래」 『한국민요대전』2-전라남도민요해설집에 수록
채록지 「논매기노래」 - 전라남도 순천시 쌍암면 지도보기|주암면 창촌리지도보기|낙안면 신기리지도보기
채록지 「승주 논매는소리」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갈마리 지도보기
성격 노동요
토리 육자배기
형식 구분 선후창
가창자/시연자 홍관순

[정의]

전라남도 순천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개설]

「논매기노래」는 모를 심은 뒤 논에 나는 잡초를 제거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논매기는 보통 2~3회를 하는데 호미로 맬 때도 있고, 손으로 맬 때도 있다. 논매기는 모심기보다 오래된 논농사 방식으로 각 지역에 따라 다양한 소리가 존재한다. 순천에서는 「논매기노래」로 주로 「산아지타령」을 불렀다. 「산아지타령」은 「에야디야」로 불리기도 하는데, 전라남도 동부 지역에서는 「논매기노래」로 불리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유희요로 불리는 민요이다. 「논매기노래」를 부르며 김을 매면 지겨움을 덜 수 있고 일의 능률도 높일 수 있다. 「논매기노래」의 가사는 남녀의 연정, 인생무상, 작업의 독려, 농군들 격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채록/수집 상황]

순천의 「논매기노래」는 1985년 간행된 『한국구비문학대계』6-4 전라남도 승주군에 「논매기노래」라는 제목으로 1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박순호가 1983년 3월 승주군 쌍암면에서 김석권 구연자로부터 채록하였다. 『전남의 농요』에는 순천시 주암면 창촌리순천시 낙안면 신기리「논매기노래」가 수록되었는데, 1986년 8월 지춘상이 채록한 것이다. 『한국민요대전』2-전라남도민요해설집에는 1990년 3월 순천시 주암면 갈마리에서 홍관순이 구연한 「승주 논매는소리」가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순천의 「논매기노래」는 선후창 형식[앞 사람이 한 구절을 부르면 다른 사람들이 함께 뒷 구절을 노래 형식]으로 불린다. 앞소리꾼이 사설을 메기면 논을 매는 사람들이 후렴을 받는다. 선율 구조는 전형적인 육자배기토리[전라도에서 많이 보이는 음악어법]이며, 중모리장단[민속음악에서 쓰이는 보통 빠르기 12박의 장단]에 맞다.

[내용]

1990년 3월 25일 순천시 주암면 갈마리에서 홍관순[남, 1930년생]과 주민들이 구연한 「논매기노래」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에야디야 나허허허야 /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구나

에야 디냐 나허허허야 /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구나

저건네 갈대봉에 비 묻어온데 / 허리에다 우장을 걸케나 메세

에야디야 나허허허야 /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구나

잘도나 허네 잘도나 허네 / 우리 호미군들 잘도나 허네

에야디야 나허허허야 /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구나

돌아가네 돌아가네 보머리 가네 / 호미를 찍고서 보머리 가네

에야디야 나허허허야 /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구나

매세 매세 호미를 씻고 / 정전에 툭수발 술이 나를 기다리네

에야디야 나허허허야 /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구나

꼿감 맛이 지가 좋아도 / 특수바리 막걸리가 제일 좋네

에야디야 나허허허야 / 에야 디여루 산아지로구나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순천시 주암면 갈마리에서는 논매기할 때 ‘호미질’, ‘중벌’, ‘만드리’ 세 차례 논을 맸다. 「논매기노래」는 일이 가장 힘든 ‘호미질’을 할 때 많이 불렀다.

[현황]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순천에서도 현재는 논농사 현장에서 들노래가 불리지 않고 있다. 1980년대 후반에 발행된 책을 보면, 당시 순천에 조사갔을 때도 논농사요를 조사하기가 쉽지 않다고 기록되어 있어, 「논매기노래」가 현장에서 사라진 지 오래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전라남도 동부 지역에서는 「논매기노래」로 「산아지타령」을 부르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순천의 「논매기노래」로도 「산아지타령」만이 채록되었다. 보통 평야 지역에서는 초벌, 두벌, 만드리[마지막 세번째 김매기]에서 각각 다른 「논매기노래」를 부르는 것에 비하면 형식이 단조롭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