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0485
한자 順天松廣寺華嚴經變相圖
영어공식명칭 Buddhist Painting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영어음역 Buddhist Painting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영어공식명칭 Buddhist Painting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장모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70년연표보기 -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조성
문화재 지정 일시 2009년 9월 2일연표보기 -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국보 제314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국보 재지정
현 소장처 송광사성보박물관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지도보기
원소재지 순천 송광사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지도보기
성격 불화
작가 화연|붕찰|안성|성평|성옥|덕함|육성|재선|영의|원혜|설징
서체/기법 견본채색
소유자 순천 송광사
관리자 순천 송광사
문화재 지정 번호 국보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

[형태 및 구성]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는 화주인 비구 태옥과 치기에 의해 1770년(영조 46)에 복천[화순군 지역에 있던 동복현의 옛 이름]에 있는 무등산 안심사에서 미타회와 함께 조성하여 송광사로 옮겨졌으며, 제작 화승은 화연(華蓮), 붕찰(朋察), 안성(安性), 성평(性平), 성옥(性玉), 덕함(德箴), 육성(六性), 재선(在禪), 영의(永宜), 원혜(元慧), 설징(雪徵), 관여(寬如), 준한(峻閑) 등 13명이 참여하였다.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는 9회를 장소로 헤아리면 7처가 되기 때문에 7회상으로 나누었다. 하반부에 제1회 적멸도량을 가운데 두고 오른쪽에 2회, 7회, 8회의 보광법당, 왼쪽에 제9회 서다림회를 두었는데 이들은 모두 지상에서 베풀어진 회상이다. 상반부에는 천상에서 베풀어진 회상으로 왼쪽에 3회 도리천회와 4회 야마천궁회, 오른쪽에 5회 도솔천궁회와 6회 타화자재천궁회를 그렸다. 각 화상 사이에는 두 가닥의 붉은 선 사이에 금색을 칠해 구분하였다. 전체 화면의 아래에는 커다란 연꽃이 있고 붉은 연꽃 밑에 회색 파도와 나뭇결을 그렸으며 연꽃 위에 111개의 크고 작은 원을 그려 글자를 써넣었다.

[특징]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은 황토색 바탕에 주홍색 구름으로 이루어진 안정된 색채를 바탕으로 투명한 홍색과 녹색을 주조색으로 하고, 파란색과 짙은 남색으로 색채의 변화를 주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관이나 의복, 대탑 등에 금색을 사용하고 있어 화면이 밝고 화려하다. 설법회의 나무도 전체적인 분위기에 맞추어 수묵담채(水墨淡彩)로 표현하였다. 필선은 가늘고 섬세하며 인물의 표정, 의복의 장식문양, 대탑의 탑신부의 묘사 등 세부표현이 뛰어나다. 인물은 18세기 불화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를 작게 표현한 인물상으로 표현되었다.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의 수많은 불보살, 화엄성중이 비슷한 이목구비와 형상을 하고 있어 명문이 없다면 각 존상 파악이 어렵다. 7개의 각 회상은 하나하나 독자적인 회상을 구성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방대한 화엄회상을 연출하고 있다.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는 2009년 9월 2일 국보 제314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보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는 국내에 알려진 채색 화엄경변상도 중 연대가 가장 앞서며, 『화엄경』의 칠처구회의 복잡한 설법장면을 한 화면에 빈틈이 없을 정도로 밀도 높게 묘사하였다.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는 정확한 표현력과 계획적이며 완벽한 구성력, 그리고 빼어난 필력과 조화로운 색채감을 극대화해 맑고 산뜻한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들어낸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불화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