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0517 |
---|---|
한자 | 龍華寺彌勒佛像 |
영어공식명칭 | Maitreya Buddha Statue of Yonghwasa Temple |
영어음역 | Yonghwasa Mireukbulsang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연동리 686-13[연화길 88-56]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전경미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2년 11월 15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용화사미륵불상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성격 | 석조 불상 |
제작시기/일시 | 조선 시대 |
제작지역 | 고창 |
재질 | 화강암 |
높이 | 약 185㎝ |
소장처 | 용화사 |
소장처 주소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연동리 686-13[연화길 88-56]![]() |
소유자 | 용화사 |
문화재 지정번호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연동리 용화사에 있는 조선 시대 불상.
용화사미륵불상은 두툼한 돌을 이용하여 뒷부분은 다듬지 않은 자연석 상태이고, 앞부분은 조각하여 전체적으로 평면적인 느낌을 풍긴다. 그러나 측면에서 보면 상당한 중량감이 느껴지는 불상으로 조선 시대 불교의 민간 신앙적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조각상이다. 2002년 11월 15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8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용화사미륵불상은 머리에 옥개형의 커다란 보관을 쓰고 있는데, 윗부분은 보주형으로 처리하였다. 육계는 분명하지 않으나 정수리 부분이 높이 솟아 보관을 받고 있다. 전체적으로 얼굴은 긴데, 귀가 유난히 크고 얼굴은 마모가 심하다. 다만 눈 부분은 움푹하게 들어갔으나 상대적으로 눈동자가 튀어나왔고, 약간 벌어진 입은 작으면서 해학적으로 표현되었다. 가슴 부근에 두 손을 모으고 있으나 수인은 정확치 않으며 어색하다.
불신이 허리 아래 부분에서 두 부분으로 깨어져 시멘트로 붙인 상태이다. 또한 전체적으로 얼굴이 크고 신체 표현을 간략화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동그란 눈, 벌린 듯한 입이 표현되었고, 신체에 비해 손가락이 작다.
조선 후기 불의 양식을 잘 나타내주고 있으며, 민간 불교와 무속 신앙의 혼재를 보여주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