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0777
한자 李文彦
영어음역 Yi Muneon
이칭/별칭 사박(士博),성음(星陰)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학자
출신지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성별
생년 1724년 7월 7일연표보기
몰년 1793년 8월 12일연표보기
본관 전주

[정의]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가계]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박(士博), 호는 성음(星陰). 장천군(長川君) 이보생(李普生)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어모장군 이형(李逈)이고, 할아버지는 진사 이시휘(李時輝)이다. 친아버지는 통덕랑 이인(李潾)이며, 양아버지는 통덕랑 이용(李溶)이다.

[활동사항]

이문언(李文彦)은 성장하여 수촌(壽村) 백시덕(白時德)과 진사 백시명(白時明)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재종형 모호(茅湖) 이문형(李文衡), 처사 이진복(李鎭福), 진사 변치도(邊致道)와 오여옥(吳汝玉) 등과 교유하며 학문과 인격을 연마했다. 1758년(영조 34) 감시(監試)에서 「발서문향남산문신왕평사(發書閿鄕南山問訊王評事)」를 지어 차하(次下)로 합격하고, 1759년(영조 35) 회시(會試)에서 「송진탕구공석노기돈황(訟陳湯舊功惜老棄敦煌)」으로 차하를 받아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았다. 1773년(영조 49)에는 동당시(東堂試)에서 「지여암근지(至如黯近之)」 부로 장원하였으나 오직 성리학을 연구하여 심오한 경지에 이르렀다.

이문언의 학문이 어느 정도의 수준인가는 속단하기 어려우나 그의 시 「우차이승음(又次理乘吟)」의 “이와 기가 서로 따르니 체와 용이 갖추었고, 원래 하나의 사물이 아니며, 또 둘도 아니지[理氣相隨體用備 元非一物又非二]”라는 구절만 보아도 이미 도학의 오묘한 경지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재종형 이문언이 당시 호서 지방에서 학행으로 숭앙받고 있던 도곡(陶谷) 이양원(李養源)을 찾아갈 때 지은 「송재종형왕도곡(送再從兄往陶谷)」이란 시에 “학문은 사우의 연원이 있는 것이니 주자가 처음에는 호중(胡仲) 유언충(劉彦冲) 등의 문하에서 공부했고, 나중에는 정호(程顥)·정이(程頤)의 학통을 이어받은 이동(李侗)에게 사사하여 유학을 집대성하였으니, 형이 도곡을 찾는 것은 훌륭한 스승을 찾는 근본이라.”고 칭찬하였다. 율곡(栗谷) 이이(李珥)우계(牛溪) 성혼(成渾)의 학설을 신봉하였다. 1793년(정조 17) 8월 12일 고향 집에서 70세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1749년(영조 25) 5월 「기사단월일위적우소상와상신음단율유수(己巳端月日爲積雨所傷臥床呻吟短律遺愁)」·「차매창집운송사문우장하산(次梅窓集韻宋斯文宇章下山)」·「선계폭포(仙溪瀑布)」 등의 시를 지었다. 1752년(영조 28) 3월에 시 「서반계수록서후(書磻溪隨錄序後)」·「문왕세손성탄근차수촌백장지희단율(聞王世孫聖誕謹次壽村白丈志喜短律)」을 지었고, 1753년(영조 29) 10월에는 「유변산연해기(遊邊山沿海記)」를 지었다.

1754년(영조 30) 9월에 「송재종형왕도곡병서(送再從兄往道谷幷序)」를, 1756년(영조 32) 봄에 「차연동십경운(次蓮洞十景韻)」과 12월에 「우차제야운(又次除夜韻)」 등의 시를 지었다. 1761년(영조 37) 시 「궁추야음(窮秋夜吟)」을 지었으며, 1765년(영조 41) 「중추종대부수연시(中樞從大父壽宴詩)」를 지었다. 1766년(영조 42) 「삼청동상춘(三淸洞賞春)」을 지었다.

1774년(영조 50) 3월에 「택아관례일차모호형운(宅兒冠禮日次茅湖兄韻)」을 지었고, 다음해 「제사마재벽상(題司馬齋壁上)」과 「제모호재종형문(祭茅湖再從兄文)」을 지었다. 1778년(정조 2) 「동양중추(東洋仲秋)」를 지었으며, 1788년(정조 12) 「증소진사수중문(證蘇進士洙中文)」과 「여도곡이집하문(與道谷李集夏文)」을 지었다. 저서로 『성음유고(星陰遺稿)』 1권 1책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