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0241
한자 茂長面
영어음역 Mujang-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상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면적 43.79㎢[2014년 12월 31일 기준]
총인구(남, 여) 3,157명[남 1,580명, 여 1,577명][2016년 7월 31일 기준]
가구수 1,661세대[2016년 7월 31일 기준]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행정구역.

[명칭유래]

1417년 무송현장사현을 합병할 때 두개의 현의 중간 지점에 해당된 곳에 무장현이 자리를 잡으면서 생긴 지명이다.

[형성 및 변천]

백제 시대에 송미지현과 상노현에 속하였고, 757년(경덕왕 16) 송미지현을 무송현으로, 상노현을 장사현으로 각각 개칭하였으며, 1417년(태종 17) 무송현장사현무장현으로 통합하였다. 조선 말기에는 무장군 이동면(二東面) 지역으로, 안정(安亭)·백양(白羊)·고라(古羅)·온금(溫金)·하거(下巨)·덕림(德林)·사죽(射竹)·신촌(新村)·석동(石洞)·평장(平章)·연방(演坊)·중거(中巨)·정거(井巨)·이동(泥洞)·상성(上城)·성내(城內)·내동(內洞)·송암(松岩)·만화(萬化)·매산(梅山)·사미(士美)·복흥(福興)의 22개 동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일동면(一東面)의 신촌(新村)·송현(松峴)·궁동(弓洞)·교촌(校村)·덕흥(德興)·월구(月句)·내동·금곡(金谷)·송산(松山)·원촌(院村)·통정(通井)·도산(道山)·양곡(良谷)·죽림(竹林)·정동(井洞)의 15개 동리, 청해면(靑海面)의 송암·용계(龍溪)를 병합하여 무장면이라 하고 송현·교흥·원촌·도곡·원림·고라·백양·신촌·무장·성내·송계·만화의 12개리로 개편하였다.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석곡면(石谷面)의 강남(江南)·목우(牧牛)·옥산(玉山)·덕림의 4개리를 편입하였다.

[자연환경]

무장면 북서쪽에 송림산[295.3m]이 있고 북쪽에 한제산[209.7], 지장제산[148m], 대맷산[119.7m] 등이 있다. 해리천무장면 북쪽에 흐르고 동쪽으로는 강남천, 고라천 등이 흐른다. 관개 시설로는 무장리에 고라저수지, 옥산리에 옥산저수지, 덕림리에 덕림저수지 등이 있다.

[현황]

무장면은 고창군의 중심에 있다. 2014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43.79㎢이며, 2016년 7월 31일 현재 인구는 총 1,661세대에 3,157명[남 1,580명, 여 1,577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송현리·교흥리·원촌리·도곡리·월림리·고라리·백양리·신촌리·무장리·성내리·송계리·만화리·강남리·목우리·옥산리·덕림리 등 16개 법정리 39개 행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동쪽으로 성송면, 서쪽으로 공음면, 남쪽으로 공음면·대산면, 북쪽으로 해리면·아산면과 이웃하고 있다.

교육 기관이 5개소가 있고, 아동 보호 시설인 요엘원, 청소년 교화 시설인 희망샘학교가 있으며, 의료 시설로는 고창효자노인병원·황의원·건강의원·무장의원·무장면보건지소·강남보건진료소 등이 있다. 주요 재배 작물은 벼, 수박, 멜론, 인삼, 고추, 무, 복분자 등이다. 문화 유적으로는 사적 제346호인 무장읍성,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4호인 고창 무장객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5호인 무장동헌,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91호인 용오정사,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07호인 무장향교 대성전 등이 있다.

무장면 남북으로 지방도 15호선이 지나고 성내리에서 북동쪽의 아산면을 향해 간다. 지방도 15호선성내리에서 남서쪽으로 지방도 796호선과 이어지는데, 공음면을 향해 간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양* 2020년 5월 28일 기준 면적은 43.78㎢이며, 2020년 5월 28일 현재 인구는 총 1,580세대에 2,815명[남 1,386명, 여 1,429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은 수정증보 사업을 통해 반영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5.29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