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0093
한자 古阜川
영어음역 Gobucheon
영어의미역 Gobucheon Stream
이칭/별칭 눌제천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흥덕면|성내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정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면적 119.6㎢
길이 20.7㎞[유로 연장]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도림리에서 발원하여 동림저수지를 지나 동진강과 합류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개설]

동진강 제2지류인 고부천신림면 도림리 무명산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약 3㎞를 흘러 내려가서 신림면 송용리를 지나 북쪽으로 급회하여 흐르며, 약 6㎞ 흘러 내려가서 좌안으로 가서 동림저수지로 유입한다. 성내면 덕산리를 지나 정읍시를 좌측으로 흐른뒤 동진강과 합류한 뒤 부안군 동진면에서 동진강 하구에서 합류된다. 그 뒤 새만금 지역의 서해로 흘러든다. 고부천은 고창군 내에서 신림면·흥덕면·성내면을 지난다.

동진강 유역은 전라북도의 벼농사 문화의 발상지이자, 중심지이다. 이는 김제(金堤)의 옛 이름인 벽골(碧骨)이 화향(禾鄕)의 이두음(吏讀音)이었고, 김제도 벼를 황금과 같이 귀하게 여겼던 농본사상에서 연유된 이름이라고 한다. 삼국 시대에 축조된 김제시 부량면의 벽골제(碧骨堤)와 정읍시 고부면의 눌제(訥堤) 등은 벼농사에 필요한 물을 저수하기 위한 수리 시설이다. 예로부터 벽골제와 눌제는 익산의 황등제와 함께 삼호(三湖)로 불렸다.

동진강 유역은 동학 농민 혁명의 봉기 발단이 된 주 무대이기도 하는데, 고부군수 조병갑이 만석보를 쌓고 수세를 너무 많이 거두어 들인데서 발단이 된 동학 농민 혁명이었다. 정읍시 신태인읍에서 정읍시 고부면 방향으로 가다가 동진교를 건너 하류쪽으로 바라보면 만석보를 쌓았던 흔적을 대할 수 있다.

[지명유래]

하천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부천이 정읍시 고부면을 관통하여 흐르고 있어, 고부면 지명이 반영된 듯 하다. 고부천(古阜川)에 눌제가 있어서 눌제천(訥堤川) 이라고도 한다. 상류는 옛 이름이 오천(烏川) 즉 가무내인데 현재의 이름은 흥덕천이라고 해야 옳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현황]

2006년 발행된 『고부천 하천대장』에 따르면 과업 유역 면적은 17.51㎢[성내면 1.08㎢, 흥덕면 6.67㎢, 신림면 9.76㎢] 중 임야 면적은 2.94㎢, 밭 5.31㎢, 논 7.33㎢이며 유역 대부분이 경작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부 주거지가 분포하고 있다.

유역 내에는 창효사신광사 등 2개소의 사찰이 위치하고 있고 홍성동헌, 흥덕향교, 효감천 등의 문화재가 있다. 유역을 중심으로 하여 남북 방향으로 국도 23호선과 동서 방향으로 국도 22호선이 연결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