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올빼미과에 속하는 조류. 몸길이는 18.5~21.5㎝, 부리 1~1.2㎝, 날개 13.7~14.7㎝, 꼬리 5.9~6.8㎝, 부척 22.5~27.5㎝ 정도이다. 회색형과 감색형이 있는데, 회색형의 겨울 깃은 암컷과 수컷 모두 이마·머리꼭대기·목이 엷은 잿빛 갈색으로 벌레 먹은 모양의 어두운 갈색 무늬가 있고, 머리에는 우각[귀털]이 잘 발달되어 있다. 등...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 속하는 법정리. 뚜렷한 명칭유래는 확인되지 않는다. ‘자여포(自予浦)’라 부르다가 1592년 이후에 자룡으로 불렸다.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자룡리’이라 바꿔 불렀다고 한다. 한편, 산에 나무가 없고 헐벗은 붉은 산이라 ‘자룡(紫龍)’이라는 의견도 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남양방씨(南陽房氏)가 터를 잡아 살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하나,...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가. 본관은 청도(淸道)이며, 자는 자범(子範), 별호(別號)는 병운(丙雲)이다. 1843년 무장현 하이면 고산[현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장산리 장암마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김이진(金以珍)이다. 김규일은 일찍이 동학에 입교(入敎)한 뒤 손화중(孫華仲) 포에 소속되어 동생 김천일(金千一)과 함께 활동하였다. 1894년 3월 20일 무장 1차...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의병이자 독립운동가.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자는 희제(希齊), 이명(異名)은 자성(子聖)이다. 1875년 12월 12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가평리 554번지[가평1길 51-3]에서 태어났다. 고제천은 1906년 4월 최익현(崔益鉉)이 전라북도 태인[현 정읍]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숙부인 고석진(高石鎭)을 쫓아 의병으로 참여하였다. 19...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고창 출신의 실학자. 강후진(康候晋)은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 이재(頥齋) 황윤석(黃胤錫) 등과 더불어 호남 실학자로 평가된다. 한국의 상고사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 특이한 관점과 식견을 지녔으며, 문헌을 널리 읽고 유적을 답사하여 확인하고 기록한 대표적인 실학자이다. 본관은 신천(信川). 자는 자순(子順)·순보(順甫), 호는 태평산인(太平散人)...
-
조왕은 부엌에서 모시는 신으로, 부엌의 부뚜막 위에 작은 선반을 만들어 놓고 그 위에 물 한 그릇을 받쳐 놓는 형태로 모신다. 지금은 부엌을 입식으로 개조하면서 싱크대 위에 물 한 그릇을 받쳐 놓은 것으로 대신하고 있다. 조왕은 자식의 건강과 무사안일을 기원하는 가신(家神)으로, 집집마다 모두 모셨던 것은 아니다. 그래서 조왕을 모시는 집은 따로 있다고 한다. 조왕 역시 오늘날까지...
-
적당한 일조량과 강우량으로 복분자 재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고창군은 전국 재배 면적의 40%를 차지할 만큼 이젠 복분자 산업의 메카로 자리를 잡았다. 여기에 폴리페놀 성분이 다른 지역의 복분자보다 2배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고창 복분자는 하루가 다르게 그 인기를 더해 가고 있다. 고창의 복분자 산업은 2009년 현재 1300억 원[생과, 술, 한과 등...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목우리에 있는 천연 염색 관련 체험 학습장. 문화의 고장 고창을 알리고 전통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황토, 복분자, 감, 쪽 등 고창군 토산인 농업 부산물을 활용하는 천연 염색과 관련된 지역 관광 상품 및 문화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전라북도 고창군 천연 염색 시범 사업의 일환으로 고창군 농업기술센터의 지원을 받아 2006년 12월 13일...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기상·지변·생물 등에 나타난 급격한 변화나 특이한 현상으로 인한 인명·재산상의 피해. 자연재해에는 기상 작용으로 인한 태풍·홍수·가뭄·폭설 등과 지질 작용으로 인한 산사태·지진·지진 해일[쓰나미]·화산 활동, 우주 작용으로 인한 혜성 충돌 등이 있다. 그 중 혜성 충돌 같은 경우는 재래 주기가 수천만 년에서 수억 년에 이를 정도로 아주 길기 때문에 재해의 위험은...
-
전라북도 고창 지역의 지질, 지형, 기후 등의 지리적 조건. 고창 지역은 지리적으로 전라북도 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부는 서해, 북서쪽으로는 선운산 도립공원과 접하며, 동남쪽은 노령산맥의 서쪽 기슭에 놓여 있다. 노령산맥은 고창 지역의 등마루를 이루는데, 방장산[734m]에서 시작하여 고산을 지나 장성군의 고성산[546.7m]에 이른다. 등마루 구실을 하는 원줄기는 방장산의...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문수사 인근에 있는 동굴. 자장굴은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590~658년]가 선덕여왕의 명을 받고, 제자 10명과 중국 청량산에서 수도한 뒤 귀국하던 길에 머물며 기도를 하던 석굴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문수사의 사찰 연기 설화에 의하면 자장이 당나라에서 귀국길에 이곳을 지나다가 당나라의 수도인 청량산과 같은 느낌을 주어서, 석굴에서 7일간 정성껏...
-
신라 시대 문수사를 창건한 승려. 자장율사(慈藏律師)의 생애를 알게 해 주는 주요한 문헌으로는 『당고승전(唐高僧傳)』과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있다. 『당고승전』에 수록되어 있는 「자장전(慈藏傳)」은 자장이 생존해 있던 645년(선덕왕 4)에 지어진 것으로서 당나라에서의 자장의 활동을 상세하게 적고 있다. 『삼국유사』에는 「자장정율(慈藏定律)」, 「황룡사구층탑(黃龍寺九層塔)」,...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자평(子平)이고, 호는 취은(醉隱)·해광(海狂). 평해군 황숙경(黃淑卿)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첨정 황처중(黃處中)이고, 할아버지는 의병장 황이후(黃以厚)이며, 아버지는 황종혁(黃宗爀)이다.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이 증손자이다. 황세기(黃世基)는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외조부가 글자를 가르쳤는데. 7세 때 시를 지어...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포리는 주변 지형이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 있는 형국이라 하여 ‘자포실’ 또는 ‘자포(子包)’라고 하였다. 1750년경 광산김씨(光山金氏)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흥덕군(興德郡) 이남면(二南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석암리(石岩里)·해암리(海岩里)·해월리(海月里)·...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자포리 신촌마을에 있는 당산나무. 자포리 신촌마을에는 동서 양쪽에 당산나무가 있다. 30여 년 전에는 그 아래에서 정월 대보름에 주과포혜(酒菓脯醯) 등 제물을 놓고 당산제를 지냈는데, 지금은 하지 않는다. 마을 동쪽에 높이 7m, 둘레 1m 정도의 정자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정자나무 밑에 돌로 제단을 마련해 두었는데 이를 상당산(上堂山)이라고 부른다. 마...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포리는 주변 지형이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 있는 형국이라 하여 ‘자포실’ 또는 ‘자포(子包)’라고 하였다. 1750년경 광산김씨(光山金氏)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흥덕군(興德郡) 이남면(二南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석암리(石岩里)·해암리(海岩里)·해월리(海月里)·...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일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차나무과의 상록 활엽 관목. 차나무는 다수(茶樹), 가다(家茶), 고다(古茶), 작설(雀舌) 등으로도 불렸다. ‘茶’는 다 또는 차라고 발음하는데, 당나라 때까지 다로 쓰이다가 송나라 때에 이르러 차로 변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차라는 말이 구어로 먼저 들어오고, 다는 후에 들어와 자전(字典)의 음이 되었다....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선운사에서 차나무의 어린잎으로 만든 녹차. 작설차(雀舌茶)라는 이름은 차나무의 어린잎이 참새 혀끝만큼 자랐을 때 채취하여 만드는 데서 연유하였고 연한 잎을 채취하는 시기는 봄철의 곡우(穀雨) 전후로, 이때가 어린잎의 길이가 참새 혀끝만큼 자랐을 무렵이다. 선운사 작설차는 선운산 3대 진미 중에 으뜸으로 꼽히는 진귀한 식품으로서, 이미 불교계 및 작설차 맛을...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신평리에서 정읍시 입암면 연월리로 넘어가는 고개. 소갈재는 고창과 정읍의 경계로 소가 짐을 지고 가다가 목이 말라 위경련을 일으킨다고 하여 소갈재라고 부르게 되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보면 신림면 신평리와 정읍시 입암면 연월리를 잇는 고개는 갈대가 많은 작은 고개라는 의미의 소위령(小葦嶺)으로 나와 있다. 소갈재는 우리말로 ‘작은갈재’인데 한자...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12월 22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동지는 12월 22일로서 ‘아세(亞歲)’, ‘작은설’이라고도 일컫는다. 음력으로는 11월에 해당하므로, 11월을 동짓달이라고 한다. 동지는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동짓날에는 팥죽을 쑤어 조상을 위하는 차례를 지내고, 마당 등에 팥죽을 뿌려 잡귀의 출입을 막는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고대인...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초상난 곳 등의 궂은 장소에 다녀온 뒤 아팠을 때 행하는 치병 의례. 잔밥맥이기는 발병의 원인이 객귀의 한 종류인 ‘잔밥각시’의 소행으로 의심될 때 거행하는 주술적인 치병 의식이다. 이를 ‘객귀물림’이라고도 한다. 가족 중에서 초상이나 혼례 등 사람이 많은 부정한 곳에 다녀온 뒤 특별한 까닭 없이 몸이 아플 경우, 아픈 사람을 낫게 하려고 단골을 불러다 잔밥...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어리는 풍수지리상 마을 형국이 누에머리와 같다고 해서 잠두(蠶頭)라고 불렀다. 한편, 마을 앞 바다 속에 검은 가마귀 바위가 발견되었는데, 누에는 가마귀에게 먹힌다는 설이 있어서 지명을 두리(斗里)라고 바꿨다. 마을 뒤 고개가 풍수지리상 머리 형상이리서 두리(斗里)라 한 것이다. 물고기라 많이 잡힌다하여 두어(斗漁)라고도 하였는데 어감이...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곡리는 긴 골짜기 안에 마을이 있어 ‘장곡(長谷·壯谷)’이라고 했다고 한다. 1800년대 초 남양홍씨(南陽洪氏)가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동음치면(冬音峙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회룡리(回龍里)·내대리(內垈里)·양동리(良洞里)와 전라남도 영광군...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곡리는 긴 골짜기 안에 마을이 있어 ‘장곡(長谷·壯谷)’이라고 했다고 한다. 1800년대 초 남양홍씨(南陽洪氏)가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동음치면(冬音峙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회룡리(回龍里)·내대리(內垈里)·양동리(良洞里)와 전라남도 영광군...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두리는 마을 뒷산이 노루의 형국이라 ‘장머리’ 또는 ‘장두(獐頭)’라고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장두(長斗)’로 개칭하여 불리게 되었다. 1600년대 초 밀양박씨(密陽朴氏) 박서봉(朴瑞鳳)이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수곡면(水谷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선운사에 있는 조선 후기 전각. 선운사 영산전은 석가모니의 일생을 기리고 , 그 행적을 보여주는 전각이다. 신라 시대에 창건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본래 이름은 장륙전(丈六殿)이었다. 선운사 대웅전 왼쪽에 있다. 신라 시대에 창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 후에 1471년(성종 5) 2층 전각으로 중건하였다가, 1713년(숙종 39)에 2층을 단층으로...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두리는 마을 뒷산이 노루의 형국이라 ‘장머리’ 또는 ‘장두(獐頭)’라고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장두(長斗)’로 개칭하여 불리게 되었다. 1600년대 초 밀양박씨(密陽朴氏) 박서봉(朴瑞鳳)이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수곡면(水谷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신천(信川). 자는 구부(懼夫), 호는 장봉(莊峰). 전라남도 영광에 정착한 강유(康旒)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강응성(康應星)이다. 강흔(康訢)은 4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16세 때 어머니를 여의었다. 이후 성장하여 상례와 여묘(廬墓)를 다시 갖추는 효행을 지켜 냈다. 학덕이 높은 수은(睡隱) 강항(姜沆)과 사귀면서 널리 배우고...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호리는 마을 뒤편에 긴 벌[명사십리]이 있어 ‘장불’ 또는 마을 앞쪽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마을에서 보면 호수처럼 보여 ‘장호(長湖)’라고 불렀다 한다. 약 30년 전 긴 개울이 있어 ‘장호’라 칭하였으나 지금은 간척으로 인해 개울의 흔적은 없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철원주씨(鐵原周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검산리·송곡리와 공음면 두암리에 걸쳐 있는 산. 고려 말의 지명인 장사현[현재 무장면]에서 따온 이름이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과 『문헌비고(文獻備考)』에 “고장사재금치북이십리유석성기(古長沙在今治北二十里有石城基)”라고 쓰인 기록으로 보아 장사산 정상에 산성 터가 있었음을 말해준다. 정상의 넓은 터에는 고려 말에 축성한 장사산성의 성터였음을 증...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수령 약 600년의 반송 노거수.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은 높이 23m, 가슴높이 둘레 3.07m이다. 지상 2.2m 높이에서 줄기가 두 갈래로 갈라졌고, 그 위에서 다시 여덟 갈래로 크게 갈라져 자라고 있다. 동서 16.8m, 남북 16.7m로 가지가 퍼져 있으며, 지하고(枝下高)가 높아서 소나무처럼 보이나 지상 40㎝쯤에서 가지가 난 흔...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하장마을에 있는 김안절의 위패를 모신 개항기 사당.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하장마을은 상산김씨(商山金氏) 집성촌으로 현재 19가구가 살고 있으며 인근 면소재지 등지에 거주하는 수를 합하면 50여 호에 달한다. 하장마을에는 제각이 두 군데 있는데, 그중 하장리 하장마을 장사재(長砂齋)에서는 매년 음력 10월 16일에 상산김씨 후손들이 시제를 지낸다. 사헌...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석남리에 있는 국궁 시설. 국궁은 한국인의 전통 궁술로 일제 강점기 일제의 영향을 받아 ‘궁도’라고 부르다가 현재는 ‘국궁’이라 부른다. 장사정은 전통 무예인 국궁을 통해 심신을 수련하고 더불어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만든 고창군의 체육시설이다. 화랑도의 상무적 정신을 계승하고, 궁도의 발전과 사원의 심신을 연마하며, 민족정신의 앙양과 지역문화 발전에 기...
-
고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고창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地理志)」 무령군조에 "본시 백제의 상로현(上老縣)으로, 경덕왕이 장사(長沙) 개명하여 지금도 그대로 하고 있다[長沙縣 本百濟上老縣 景德王改名 今因之]."라고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무장현 건치 연역조에는 "본래 백제의 상로현(上老縣)이었는데, 신라가 장사라고 고쳐서...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산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장암리(壯岩里)와 기산리(旗山里)에서 ‘장(壯)’자와 ‘산(山)’의 이름을 따 ‘장산(壯山)’이 되었다. 마을의 형성에 대한 기록이 확실하지는 않으나, 1749년경 창원황씨(昌原黃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상리면(上里面)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장산리에 있는 김기성을 기리는 영당. 김기성은 현대 지사로, 호는 은암(隱巖),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김석원(金錫元)의 후예 김상학(金相學)의 아들이다. 무장(茂長)의 주부(主簿) 여의(麗義)의 후예이며,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의 문인으로, 안빈호학(安貧好學)하여 성리학을 깊이 탐구하였던 성리학자 김수익(金秀益)과 고석진(高石鎭)을 스승으로 수학하였...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장산리에 있는 김기성을 기리는 영당. 김기성은 현대 지사로, 호는 은암(隱巖),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김석원(金錫元)의 후예 김상학(金相學)의 아들이다. 무장(茂長)의 주부(主簿) 여의(麗義)의 후예이며,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의 문인으로, 안빈호학(安貧好學)하여 성리학을 깊이 탐구하였던 성리학자 김수익(金秀益)과 고석진(高石鎭)을 스승으로 수학하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칠성마을 산기슭에서 발원하여 고창군 심원면 용기리 서해안으로 흘러드는 하천. 주진천[인천강]은 우리나라 남서부에 위치하는 지방 관리 하천으로서 심원면 용기리에서 서해안으로 유입되고, 중상류 유역은 대부분 농경지, 하류 유역은 대부분 산지로 형성되어 있는 지역이다. 주진천[인천강]의 발원지는 고수면 은사리 수량동 명매기골에 있는 명배기샘이다. 주진천은...
-
황경을 시조로 하고 황효원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장수황씨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부마로 시중(侍中)을 지낸 황경(黃瓊)을 시조로 한다. 장수황씨 고창군 입향조 황효원(黃孝元)은 파조(派祖) 황치신(黃致身)의 5대손으로 광주 당대면(唐大面) 효동(孝洞)에서 삼형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삼형제는 임진왜란을 피하여 각각 분산하기로 하여, 황효원은 공음면 덕암리(...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사람들이 몸을 치장하는 데 쓰인 도구. 장신구란 신체 일부에 직접 쓰거나 걸거나 또는 끼는 장식품과 의복을 치장하기 위해 붙이거나 매거나 하는 소품이다. 그리고 모든 장식 목적에 필요한 소품까지를 일컫는다. 장신구는 실용성과 장식성을 겸하여 신분이나 길흉사에 따라 색과 재료가 다르게 쓰이기도 하였다. 고창 지역에서 사용했던 장신구에는 비녀, 화관, 댕기, 반...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각종 채소 및 과채류를 된장, 고추장, 간장 등에 삭혀 먹는 향토 음식. 장아찌는 고대부터 전해 오는 저장 식품의 하나로 재료가 무척 다양해 200여 종이 넘는다고 알려져 있다. 고창의 장아찌는 제철에 많이 나는 채소류를 이용하여 소금에 절이거나 된장, 고추장, 간장에 넣어 알맞게 삭혔다가 꺼내 각종 양념을 하여 무쳐 먹는다.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 일부러 짭...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서 장자못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무장군 장자면의 유래」는 나쁜 짓을 해서 돈을 벌면 천벌을 받는다는 내용과 약자에게 베풀지 못하고 인색한 사람은 재물이 아무리 넘친다 한들 결국에는 화를 당한다는 징계의 의식을 나타내는 응보담이다. 「무장군 장자면의 유래」와 같은 장자못 전설은 인색한 장자(長者)의 악행은 놀부의 모습과 겹치고, 장자의 악행을 수...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송현리에 있는 김문기(金文起), 김영년(金永年), 김헌을 기리는 일제 강점기 단비. 장절단은 원래 단종 때의 절신(節臣)인 김문기(金文起)와 임진왜란 때 창의한 김영년(金永年) 및 김헌을 기리기 위하여 1942년에 세운 사당이었는데, 지금은 사당 건물은 사라지고 단비만이 남아 있다. 김문기는 조선 세조 때에 순절(殉節)한 문신으로 초명은 효기(孝起), 자는...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호리는 마을 뒤편에 긴 벌[명사십리]이 있어 ‘장불’ 또는 마을 앞쪽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마을에서 보면 호수처럼 보여 ‘장호(長湖)’라고 불렀다 한다. 약 30년 전 긴 개울이 있어 ‘장호’라 칭하였으나 지금은 간척으로 인해 개울의 흔적은 없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철원주씨(鐵原周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 있는 산이나 언덕을 넘어 다니도록 길이 나 있는 비탈진 곳. 고창군은 산이 낮고 들녘이 많은 지역으로, 고개의 경우 대부분 500m 미만의 작은 고개로 이루어져 있다. 시인 미당(未堂) 서정주(徐貞柱)의 고향으로 시집 『질마재의 신화』의 무대인 질마재, 고창 사람 박의(朴義)가 수원 광교산 전투에 참여하여 적장 양고리(陽古利)를 사살한 것을 기념하여 이름을 붙...
-
고려 시대 고창 지역에 설치된 특수 행정구역. 소(所)는 고려 시대 있었던 말단 행정구역의 하나로 향(鄕)·부곡(部曲)·장(莊)·처(處)와 함께 부곡제(部曲制)를 구성한다. 주로 왕실과 관아에서 필요로 하는 광물이나 수공품의 생산을 맡아 하던 곳이다. 생산물의 종류에 따라 금소(金所), 은소(銀所), 동소(銅所), 철소(鐵所), 사소(絲所), 주소(紬所), 지소(紙所), 와소(瓦所...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인공 저수 시설. 저수지란 일반적으로 상수도용, 수력 발전용 또는 관개용의 물을 하천이나 계류에서 끌어들여 저장할 목적으로 만들어 놓은 커다란 못을 지칭한다. 하천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수 용수원으로 하천에서 충분한 용수를 확보할 수 없을 때 중요하게 이용된다. 하천 용수보다 시설비가 비싸고 수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풍부한 수량을 확보할 수 있고 수온도...
-
조선 시대 전라북도 아산면 하갑리에 있던 마을. 저촌(猪村)은 조선 시대 고창현에 속했던 마을로 저촌은 지금의 아산면 하갑리 독곡(篤谷)이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따르면, 서교천은 수곡동을 거쳐서 죽천과 만나는데, 수곡동은 지금의 고수면 일대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고창현 산천조에 "서교천은 현의 남쪽 25리에 있는데, 근원은 구왕산에서 나와서 저촌(猪村)에 이르러 죽천...
-
전라북도 고창군에 분포하고 있는 수령 약 200~350년 된 9그루의 소나무 노거수. 소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로 한국, 중국 북동부, 우수리,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솔, 소나무, 소오리나무라고 한다. 줄기는 높이 35m, 지름 1.8m 정도이며 나무 껍질은 붉은빛을 띤 갈색이나, 밑부분은 검은 갈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서 나고 길이 8~9㎝, 너비 1.5㎜이다. 현...
-
전라북도 고창군 지역에서 활동한 우도농악 상쇠 명인. 전경환은 1921년 지금의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남천리에서 태어났다. 17세 되던 해 장성에 사는 상쇠 명인 최화집(崔化集)에게 쇠치는 법을 익히고, 20세 때는 고창군 성송면 남창리[현 성송면 하고리]에 사는 강성옥(姜聲玉)에게 배웠다. 또한 23세에 고창군 아산면 목동리 남촌에 사는 박성근(朴成根)에게 배우고, 33세에 영...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열린 갯벌스포츠 행사. 2008년 서해안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 오염 사고 피해 지역의 이미지 개선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토해양부에서 2009년 3월 ‘서해안 명품 브랜드화’ 사업 대상지 충청남도 3곳, 전라남북도 각 1곳을 선정하였다. ‘서해안 명품 브랜드화’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고창군이 고창수산물축제와 더불어 2009년 9월 개최하였다....
-
전라북도 고창군의 동리문화사업회에서 매년 열고 있는 초등학생 대상 판소리 경연 대회. 전국어린이판소리왕중왕대회는 1988년부터 어린이들에게 판소리를 널리 보급하고 어린이 소리꾼을 발굴 양성할 목적으로 개최하였다. 처음에는 KBS 전주방송총국과 한국국악협회 전북지부의 주최로 전북학생회관, 동리국악당 등지에서 전국어린이판소리경연대회라는 이름으로 열렸다. 이후 횟수를 거듭하면서 고창의...
-
전라북도 고창군의 동리문화사업회에서 매년 열고 있는 초등학생 대상 판소리 경연 대회. 전국어린이판소리왕중왕대회는 1988년부터 어린이들에게 판소리를 널리 보급하고 어린이 소리꾼을 발굴 양성할 목적으로 개최하였다. 처음에는 KBS 전주방송총국과 한국국악협회 전북지부의 주최로 전북학생회관, 동리국악당 등지에서 전국어린이판소리경연대회라는 이름으로 열렸다. 이후 횟수를 거듭하면서 고창의...
-
전라북도 고창교육지원청에서 매년 주최하는 학생 과학 축전. 전국창의축전은 전국 초·중학생, 교원, 학부모,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전라북도 고창교육지원청이 주최하고 전라북도 교육청이 후원하는 과학 축전이다. 창의성 교육의 저변을 확대하고 체험 활동을 통한 창의성 교육, 창의성 교육의 정보 공유, 창의성 교육의 본질을 추구하는 창의성 교육을 목표로 하여 추진되고 있다. 전국창의축전은...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열렸던 판소리 경연 대회. 1989년 동리국악당 준공을 1년 앞두고 고창의 국악을 활성화하고 동리 신재효의 업적을 영구히 기념하기 위해 고창모양성제전위원회에서 전국판소리경연대회를 기획하였다. 주최는 고창모양성제전위원회가 하였으며, 고창문화원에서 주관하였다. 종목은 판소리 일반부와 학생부가 있었으며, 예선과 본선 두 번의 경연을 거쳐 일반부와 학생부로 나누어 시상...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고창군 관할 교육 행정 기관. 전라북도 고창교육지원청은 고창군의 교육, 과학, 기술, 체육, 기타 학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각 급 학교의 교육 현장을 관리·지도·감독하며, 교육 환경 개선 및 발전을 통하여 학생들의 교육 복지와 학습권 구현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9년 법률 제86조로 교육법이 공포되고, 1952년 시·군 교육자...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고창군 관할 교육 행정 기관. 전라북도 고창교육지원청은 고창군의 교육, 과학, 기술, 체육, 기타 학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각 급 학교의 교육 현장을 관리·지도·감독하며, 교육 환경 개선 및 발전을 통하여 학생들의 교육 복지와 학습권 구현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9년 법률 제86조로 교육법이 공포되고, 1952년 시·군 교육자...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2001년과 2010년에 개최된 전라북도민들의 체육 대회. 고창군에서는 2001년 제38회 전라북도민체육대회를 개최한 적이 있으며, 9년 만에 제47회 전라북도민체육대회를 유치하게 되었다. 고창군은 2010년 10월 25일부터 27일까지 고창군 일원과 고창공설운동장 외 보조 경기장에서 열렸다. 제47회 전라북도민 체육대회 개최 100여일 전인 7월 16일 고창문...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군. 전막동은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사점(沙店)에서 태어났다. 생년월일은 알 수 없는데, 이는 아마도 후손이 없이 죽었기 때문에 기록이 남아 있지 않거나 신분이 낮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1899년에 일어난 정읍 농민 봉기에 참가하여 4월 23일 고창군 부안면 중흥리의 알뫼 장터 싸움에서 체포된 뒤, 같은 날 27일 고창옥에서 죽었다....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접주이자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천안(天安)이며, 자는 명숙(明淑), 호는 해몽(海夢)이다. 몸이 왜소하여 흔히 녹두(綠豆)라 불렸는데, 이 때문에 뒷날 녹두장군(綠豆將軍)이란 별명이 생겼다. 출생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나 1855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에서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전봉준은 어려서 전주 구미리[현 전라북도 완주...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래 사회를 주도할 자랑스러운 고창 사람을 기르기 위해 바른 성품을 지닌 어린이, 창의적인 어린이, 탄탄한 학력을 지닌 어린이, 국제적 의사소통 능력이 있는 어린이, 도전 정신이 강한 어린이, 특기와 소질이 탁월한 어린이, 몸이 튼튼하고 건강한 어린이, 마음이 아름답고 건전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12년 3...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에 있는 4년제 국립 전북대학교의 고창캠퍼스. 전북대학교의 교시는 자유·정의·창조이다. 전문적인 학술 이론과 응용 방법의 연구 개발, 최고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국립대학교로서 전라북도 지역의 전통문화 계승 및 창달과 주민의 교육 복지를 구현하며, 민주시민의 덕목을 갖춘 교양인, 자유와 정의를 구현하는 지성인, 진리를 부...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2001년과 2010년에 개최된 전라북도민들의 체육 대회. 고창군에서는 2001년 제38회 전라북도민체육대회를 개최한 적이 있으며, 9년 만에 제47회 전라북도민체육대회를 유치하게 되었다. 고창군은 2010년 10월 25일부터 27일까지 고창군 일원과 고창공설운동장 외 보조 경기장에서 열렸다. 제47회 전라북도민 체육대회 개최 100여일 전인 7월 16일 고창문...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강남리에 있는 아동 보호 치료 시설. 희망샘학교는 아동 보호 치료 시설이다. 아동복지법에 의거하여 불량 행위를 하거나 불량 행위를 할 우려가 있는 아동으로서 보호자가 없는 아동, 친권자나 후견인이 입소를 신청한 아동, 또는 가정법원·지방법원·지방법원 소년부지원에서 위탁한 아동과 학교 부적응 아동을 위탁받아 보호 교육하기 위한 사회 복지 시설이다. 희망샘학교는...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전북은행 지점. 전북은행은 전라북도 전주에 본점을 두고 있는 지방 은행으로 일반 은행 중 유일하게 고창군에 진출하여 지점을 두고 있다. 지방 은행은 금융 사업의 지역적 분산과 지역 경제의 균형된 발전을 도모하고 경제 발전에 필요한 내자 동원의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1967년부터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전라북도에서는 1969년 12월 1...
-
이한을 시조로 하고 이배·이호·이문량·이현·이총·이후명·이형덕·이종정·이득진·이경기·이소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전주이씨는 신라 시대 사공공(司空公) 이한(李翰)을 시조로 한다. 고창군의 전주이씨는 완풍대군파(完豊大君派), 양도공파(襄度公派), 장천군파(長川君派),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경녕군파(敬寧君派), 의창군파(義昌君派), 익양군파(益陽君派) 등이 알...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등기 사무를 담당하는 국가 기관. 전주지방법원 고창등기소는 전주지방법원의 관할 구역 중 고창군의 등기 사무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원칙적으로 고창군 내에 소재하는 부동산, 법인, 상업등기 전부를 관할한다. 고창 지역의 부동산에 관한 등기 사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6년 11월 25일 광주지방법원 고창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22년 7월...
-
최순작을 시조로 하고 최선준·최진계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전주최씨는 완주백(完州伯) 문열공(文烈公) 최순작(崔純爵)을 시조로 한다. 고창군의 전주최씨는 월당공파(月堂公派), 첨추공파(僉樞公派)가 알려져 있다. 전주최씨 고창군 입향조 최선준(崔善峻)은 월당공 최담(崔曇)의 6대손으로 1507년(중종 2)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德川面) 만무에서 태어났다. 아버...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학전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전주최씨 가문의 충효열 삼강문. 최선준(崔善峻)은 벼슬이 도사(都事)였다. 최선준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창의하여 큰 공을 세우고 웅치(熊峙)에서 순국하여 호조참판(戶曹參判)에 증직되었다. 최선준의 9세손 최백원(崔伯源)의 처 상주주씨(尙州周氏)는 주도선(周道先)의 딸로서, 남편이 병에 걸리자 손가락을 찢어 피를 흘려 남편의 입에 넣...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중흥리에 있는 음식점. 전주회관은 2000년 4월 권영출이 참게장 요리를 전문으로 하여 개업하였다. 좌석은 80여 석 규모이며, 주차 시설은 약 15대를 동시에 주차할 수 있다. 전주회관은 선운사 나들목 부근에 위치하며, 전라북도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되어 있다. 참게장은 양파·청양고추·마늘·파 등의 온갖 양념으로 버무려져 나오며, 생김에 싸서 먹는다. 이외에...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남편에 대한 정절을 지켜 포상을 받은 여자. 위난을 당하여 목숨으로 정조(貞操)를 지켰거나 또는 오랜 세월에 걸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守節)한 부녀자들을 일반적으로 열녀라 부른다. 열녀는 고대에도 보이는데,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 등에 나오는 신라 진평왕 때의 설씨녀(薛氏女) 이야기, 백제 개루왕 때의 도미(都彌) 처 이야기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고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남편에 대한 정절을 지켜 포상을 받은 여자. 위난을 당하여 목숨으로 정조(貞操)를 지켰거나 또는 오랜 세월에 걸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守節)한 부녀자들을 일반적으로 열녀라 부른다. 열녀는 고대에도 보이는데,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 등에 나오는 신라 진평왕 때의 설씨녀(薛氏女) 이야기, 백제 개루왕 때의 도미(都彌) 처 이야기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고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고유의 명절에 특별히 만들어 먹는 음식. 고창 지역에서 부족 국가 시대부터 내려온 제천 의식과 관련한 식생활 풍속은 명절 음식이나 계절 식으로 이어져 계절의 미각을 즐기는 세시 풍속이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또한 태음력을 바탕으로 하여 24절기에 따라 농사를 지었고, 풍작을 위한 염원이 의례로 이어졌다. 이 의례에 차려졌던 음식이 바로 명절 음식이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계절별로 각기 만들어 먹는 음식. 고창의 계절 음식은 일 년 중 계절별로 먹는 음식으로, 고창 지역도 향토 음식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타 지역과 대동소이하다. 이를 ‘시절 음식’, ‘절식’ 등이라고도 한다. 계절 음식은 사계절이 뚜렷이 구분되는 우리나라의 전통 음식 문화 중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그때그때 계절에 따라 생산되는 식재료에 따라...
-
신림면 가평리 가평마을 이장 고남규 씨와 함께 현재 마을을 이끌어 가는 중요한 한 사람이 바로 고복상[1941년생] 씨다. 고복상 씨도 1969년부터 1972년까지 4년간 이장을 맡아 마을 일을 했고, 이후에도 반장과 개발위원장과 같은 여러 직함으로 마을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그리고 2009년 그의 공식 직함은 고색창연테마마을 운영위원장이다[2008년 12월 선...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올빼미과에 속하는 조류. 몸길이는 18.5~21.5㎝, 부리 1~1.2㎝, 날개 13.7~14.7㎝, 꼬리 5.9~6.8㎝, 부척 22.5~27.5㎝ 정도이다. 회색형과 감색형이 있는데, 회색형의 겨울 깃은 암컷과 수컷 모두 이마·머리꼭대기·목이 엷은 잿빛 갈색으로 벌레 먹은 모양의 어두운 갈색 무늬가 있고, 머리에는 우각[귀털]이 잘 발달되어 있다. 등...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생선의 살, 알, 창자 등을 소금에 절여 발효시킨 음식. 젓갈은 어패류에 소금을 가하여 저장함으로써 어패류 자체의 효소 작용으로 자가 소화 작용을 일으켜 독특한 풍미가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발효 식품이다. 고창 지역에서는 등피리젓, 세하젓, 조기젓, 고노리젓, 화란젓, 백하젓, 벌떡젓, 토하젓, 밴댕이젓, 꼴뚜기젓, 굴젓, 속젓, 백어젓, 민새우젓, 뱅어젓,...
-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공일은 1890년 10월 5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덕천리에서 태어났다. 1938년 4월경 전라북도 정읍에서 정창묵(鄭昌默)·정휴규(鄭休圭) 등과 함께 독립을 목적으로 비밀 결사 조직인 신인동맹(神人同盟)을 조직하고 동지 규합과 하부 조직 결성 및 자금 조성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신인동맹은 보천교도(普天敎徒)들이 독립운동을 목적으...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남편에 대한 정절을 지켜 포상을 받은 여자. 위난을 당하여 목숨으로 정조(貞操)를 지켰거나 또는 오랜 세월에 걸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守節)한 부녀자들을 일반적으로 열녀라 부른다. 열녀는 고대에도 보이는데,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 등에 나오는 신라 진평왕 때의 설씨녀(薛氏女) 이야기, 백제 개루왕 때의 도미(都彌) 처 이야기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고려...
-
근대와 현대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영광(靈光)이며, 자는 사중(士中), 호는 양천(陽泉)이다. 1882년(고종 19)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해룡리에서 태어났다. 감찰을 지낸 정극명(丁克明)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정영희(丁永喜)이다. 정대수(丁大秀)는 25세 때인 1906년(고종 43) 경의책(經義策)으로 박사 초시에 합격했으나, 동생이 죽자 벼슬할 뜻을 버리고 주경...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강남리에 있는 유창, 유한량을 향사(享祀)하기 위하여 세운 사당. 덕산단은 1955년에 유창(劉敞), 유한량(劉漢良)을 향사(享祀)하기 위하여 단(壇)을 설치하여 정덕단(鼎德壇)이라고 하였다가, 1970년에 유림의 결의에 의하여 덕산단으로 개칭하였다. 유창은 조선 전기의 개국공신으로, 본관은 강릉이고, 초명은 경(敬), 자는 맹의(孟義), 호는 선암(仙庵)이...
-
조선 시대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충신, 효자, 열녀에게 나라에서 정표하여 세운 집. 정려란 효자나 열녀, 충신 등의 행적을 높이 기르기 위해 그들이 살던 집 앞에 문(門)을 세우거나 마을 입구에 작은 정각(旌閣)을 세워 기념하는 것을 말한다. 이 정려는 ‘정문(旌門)’. ‘정표(旌表)’라고도 부른다. 건물이 아닌 문을 세우게 되면 정려문이고, 건물을 세우게 되면 정려각이...
-
1627년 후금이 침입해 일어난 전쟁. 만주에 흩어져 살던 여진족은 조선과 명나라가 임진왜란으로 국력이 피폐해진 틈을 타 건주위(建州衛) 여진의 추장 누르하치를 추대해 여러 부족을 통합, 1616년(광해군 8) 후금을 세우고 비옥한 남만주의 농토를 탐내어 명나라와 충돌하게 되었다. 명나라는 양호(楊鎬)를 요동경략(遼東經略)으로 삼아 10만 대군으로 후금 토벌에 나서는 한편, 조선에...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휘는 근영(根永), 호는 진암(眞庵)이다. 백현(伯賢)은 자이다. 1869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예전리에서 태어났다. 정백현은 농민 봉기 와중에 잡히지 않은 몇 안 되는 지도자급 인사 가운데 한 명이었다. 정백현은 1894년 3월에 일어난 동학 농민 운동 때, 전봉준(全琫準)의 처 칠촌으로 뒷날 전주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월암리는 달밤에 바위 모양을 이루었다고 하여 부르게 된 이름이다. 이전에는 ‘정산(鼎山)’·‘검암(儉岩)’ 등으로도 불렀다고 한다. 조선 전기에 마을 터가 이루어졌다고 하나,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되지 않고, 조선 중기 창녕조씨(昌寧曺氏) 조여흠(曺汝欽)이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천북면(川北面)의 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암리에 있는 조서(曺庶), 조의기(曺義起), 조언징(曺彦徵)을 향사하는 조선 후기 사당. 정산사는 창녕조씨(昌寧曺氏)의 사우(祠宇)로, 조선 전기의 문신인 조서(曺庶)와 조선 후기의 학자인 조의기(曺義起), 조선 후기의 효자 조언징(曺彦徵)을 향사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서의 자는 여중(汝衆), 호는 청간(淸澗)이고, 본관은 창녕으로 경기도 부천군 계...
-
공음면 구암리 마래마을에서는 해마다 음력 2월 초하루에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2010년 3월 15일[음력으로 정월 그믐] 해가 질 무렵 마을회관을 찾았더니, 마을 주민들이 모두 모여 저녁식사를 하고 있었다. 오전부터 마을 이곳저곳과 당산제 지낼 장소인 할머니당산 주변을 청소한 후 할머니당산, 할아버지당산, 말바위당산, 큰샘당산에 인줄[새끼를 왼쪽으로 꼬아 백지를 끼운...
-
전라북도 고창군 출신의 정치가. 정세환은 1915년 12월 16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연동리 160번지[장동길 33-11]에서 태어났다. 일본 니혼대학[日本大學] 정치과를 졸업하고, 고창중학교 재단 이사장과 대산금융조합장·중산수리조합장·재단법인 정치학원 이사·국민회 전북도지부장을 지냈다.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고창 갑구에서 당선되었으며, 4대 국회...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율촌리에 있는 정세환이 살았던 일제 강점기 가옥. 3, 4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세환의 가옥으로 1934년에 지어진 건물이다. 정세환 가옥은 율촌리 율촌마을경로회관에서 동남쪽 방향에 있다. 안채는 일자형 건물로 정면 7칸, 측면 3칸이며, 팔작지붕에 홑처마인데, 처마 끝부분을 양철로 덧대어놓았다. 내부는 가운데 6칸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방이 연결되어...
-
개항기 고창 출신의 의병장.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자는 낙언(樂彦). 호는 일광(一狂)이다. 1872년 3월 26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하고리 453번지에서 태어났다. 정시해는 기우만(奇宇萬)과 최익현(崔益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양친 상을 당하여 6년 동안 계속하여 시묘살이를 했다. 1905년 을사 보호 조약에 분개하여 영남 일대...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무송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충효비. 의병장 일광(一狂) 정시해[1872~1906]는 면암 최익현의 휘하에서 활동하다 1906년(고종 10) 6월 총탄에 맞아 순국하여 1990년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정시해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낙언(樂彦), 호는 일광(一狂)이다. 전라북도 고창 출신으로 부친은 정종택(鄭鍾澤)이며, 모친은 거창신씨(居昌愼氏)이다....
-
개항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동학 대접주이자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이름은 정식(正植), 자는 화중(華仲)[또는 和中·化中), 호는 초산(楚山)이다. 1861년 정읍현 남일면 과교리[현 전라북도 정읍시 과교동]에서 아버지 손호열(孫浩烈)과 어머니 평강채씨(平康蔡氏) 사이에서 큰아들로 태어났다. 임진왜란 당시 전주사고에 보관되어 있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의병이자 독립운동가.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자는 정여(貞汝), 호는 수남(秀南)이다. 1856년 1월 11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가평리에서 태어났다. 고석진은 최익현(崔益鉉)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1906년 최익현이 전라북도 태인에서 의거를 일으킬 때 참모로서 최제학(崔濟學)·최학령(崔鶴齡)·이용길(李容吉) 등과 함께 각 지방을 돌...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자는 대서(大敍), 호는 태호(颱湖)이다. 1853년(철종 4)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서 태어났다. 충장공 정황(鄭璜)의 후손이다. 정영원(鄭榮源)은 일찍이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과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아 경전에 해박하였다. 바른 학행을 몸소 실천하여 주변에 명성이 높았고...
-
부안면 선운리 진마마을에서는 설날이 되면 정성껏 제물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낸다.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은 풍경이다. 하지만 많이 간소해진 것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진마마을에서는 차례를 지내는 데도 집안에 따라 순서가 정해져 있다. 가장 먼저 장손 집에 모두 모여 차례를 지낸 다음, 서열에 따라 순서대로 차례를 지낸다. 그러면 오전 10시경에나 모든 집안의...
-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진주(晋州)이고, 자는 사겸(士謙), 호는 덕헌(德軒)이다. 충장공(忠莊公) 정황(鄭璜)의 후손으로 극재(克齋) 정방규(鄭枋珪)의 아들이다. 1920년 무장면 덕림리(德林里)에서 출생하여 2000년에 죽었다. 선비 가문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한학에 전심했고 명륜학원[성균관대학 전신]을 졸업하여 일찍 시문(時文)으로 알려졌으며 서화에도 조예가 깊어 조선미술...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에 있는 음식점. 정자나무횟집은 1980년 김이차와 김경숙이 개업할 때는 작은 규모로 상호 없이 시작하였으나 입소문이 나면서 정자나무횟집이라는 상호를 걸고, 주꾸미와 아나고[붕장어] 등의 각종 생선회와 생선탕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으로 성장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정자나무횟집은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 구시포해수욕장 부근에 위치하며, 주꾸미 전문집이다. 주...
-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창묵은 1884년 5월 26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광대리에서 태어났다. 1938년 4월경 전라북도 정읍에서 정공일(鄭公一)·정휴규(鄭休圭) 등과 함께 독립을 목적으로 비밀 결사 조직인 신인동맹(神人同盟)을 조직하고 동지 규합과 하부 조직 결성 및 자금 조성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평소 항일 의식이 투철했던 정창묵은 신인동맹 설립...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지역민을 통해 획득한 권력을 행사하여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총체적 활동. 공동 생활을 영위하는 인간 사회에는 다양한 이해 관계로 인하여 항상 희소 자원의 획득과 배분을 둘러싼 대립이나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대립이나 투쟁을 조정하여 통일적인 질서를 유지하는 주요 수단으로서 정치라는 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정치는 주로 국가나 정부라는 제도...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성은 박씨(朴氏)이다. 자는 한영(漢永), 호는 영호(映湖)·석전(石顚)이다. 석전산인(石顚山人)이라고도 불렸다. 1870년(고종 7) 8월 18일 지금의 전라북도 완주군 초포면 조사리에서 태어났다. 정호(鼎鎬)는 나라 안팎으로 어렵고 혼란스러웠던 시기에 살았으나, 학문은 물론이고 교(敎)와 선(禪)에 정통...
-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상쇠 명인. 정호풍은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서 태어났으나 언제 태어나고 죽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전혀 없다.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농악·풍어제·민요 편에서 영광·무장·장성농악[호남우도농악]의 두 갈래의 전승 계보 중 박귀바위·최화집·강성옥·정호풍·박성근(朴成根)·나덕복·전경환(全敬煥)으로 이어지는 한 축을 담당했던 인물로 조사되어 있다....
-
일제 강점기와 현대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유학자. 본관은 하동(河東)이며, 자는 용부(容夫), 호는 일재(逸齋)이다. 1901년 전라남도 장성에서 태어났다. 하곡(霞谷) 정운룡(鄭雲龍)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난파(蘭坡) 정요현(鄭堯鉉)이고, 아버지는 노수(蘆叟) 정순영(鄭淳榮)이다. 정홍채(鄭弘采)는 어려서 아버지를 따라 외가가 있는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석정리로 이사를...
-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휴규는 1904년 4월 20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춘산리 602번지[입암길 33-19]에서 태어났다. 1938년 4월경 전라북도 정읍에서 정공일(鄭公一)·정창묵(鄭昌默) 등과 함께 독립을 목적으로 비밀 결사 조직인 신인동맹(神人同盟)을 조직하고 동지 규합과 하부 조직 결성 및 자금 조성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평소 항일 의식이 투...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하고리에 있는 정휴탁이 살았ㄴ던 조선 시대 고가. 조선 후기 장수군수를 지낸 정휴탁의 고가로, 조선 시대에 지어진 반가(班家)의 건물이다. 성송면 하고리 삼태마을 개천을 끼고 길을 따라 경로회관을 지나 서쪽으로 가면 솟을대문이 보인다. 원래 여러 채의 건물이 있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구조가 바뀌어 현재는 건물 4채만 남아 있다. 정휴탁 고가는 안채, 사랑채...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晋州). 호는 종모재(終慕齋). 절제사를 지낸 정종순(鄭宗舜)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정기현(鄭期顯)이다. 정희주(鄭熙周)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어버이를 지성으로 모시어 뜻을 받들어 봉양을 다하였다. 부모의 병이 위중하자 변을 맛보고 하늘에 빌어 대신하기를 원했으며,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마시게 하여 아버지는 16년을, 어머니는 6일...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돌아가신 조상이나 특정한 신명(神明)을 받들어 복을 빌기 위해 행하는 추모 의례. 제례란 제사를 지내는 예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관행되고 있는 가정 제례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인 기제(忌祭), 고조 이상 불천위까지 지내는 시제(時祭), 명절에 지내는 차례(茶禮)로 나누고 있다. 오늘날 대개 제사라고 하는 것은 선조의 사망한 날을 맞아...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각종 제례를 올릴 때 장만하는 음식. 제례 음식은 제례 과정에 따르는 음식의 총칭으로서 이를 ‘제사 음식’, ‘제수 음식’ 등이라고 일컫는다. 조선시대의 유교 사상은 제례 음식에 큰 영향을 끼쳤다. 고창에서는 조선시대 이래로 유교 의례를 중히 여겨서 통과 의례로 잔치나 제례 음식의 차림새가 정해졌으며, 집안의 경사나 제사 같은 의례가 있을 때에는 음식을 풍성...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각종 제례를 올릴 때 장만하는 음식. 제례 음식은 제례 과정에 따르는 음식의 총칭으로서 이를 ‘제사 음식’, ‘제수 음식’ 등이라고 일컫는다. 조선시대의 유교 사상은 제례 음식에 큰 영향을 끼쳤다. 고창에서는 조선시대 이래로 유교 의례를 중히 여겨서 통과 의례로 잔치나 제례 음식의 차림새가 정해졌으며, 집안의 경사나 제사 같은 의례가 있을 때에는 음식을 풍성...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각종 제례를 올릴 때 장만하는 음식. 제례 음식은 제례 과정에 따르는 음식의 총칭으로서 이를 ‘제사 음식’, ‘제수 음식’ 등이라고 일컫는다. 조선시대의 유교 사상은 제례 음식에 큰 영향을 끼쳤다. 고창에서는 조선시대 이래로 유교 의례를 중히 여겨서 통과 의례로 잔치나 제례 음식의 차림새가 정해졌으며, 집안의 경사나 제사 같은 의례가 있을 때에는 음식을 풍성...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리제(古里堤)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제하촌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일남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제하(堤下)·내고(內古)·외고(外古)·성암(星巖)·종송 일부를 병합하여 제하리라 하고 고창군 신림면에 편입하였고,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2호에 따라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리제(古里堤)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제하촌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일남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제하(堤下)·내고(內古)·외고(外古)·성암(星巖)·종송 일부를 병합하여 제하리라 하고 고창군 신림면에 편입하였고,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2호에 따라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
2009년에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열린 전라예술제. 전라예술제는 전라북도 예술인들의 종합 예술 축제로 각 협회별로 1년 동안 갈고닦은 창작품을 전북도민에게 선보이며, 전라북도 예술 문화의 수준과 깊이를 평가하고 비교할 뿐만 아니라 예술인들의 화합과 결속을 다지고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매년 사단법인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전북연합회에서 주최하고 각 산하 부문 협회에서 주관하여...
-
근대와 현대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백거(伯據), 호는 흠재(欽齋)이다. 1873년(고종 10)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고산서원(高山書院)에 배향된 동오(東塢) 조의곤(曺毅坤)이고 아버지는 무우당(無憂堂) 조석휴이고 어머니는 탐진안씨 안기순의 딸이다. 아들은 조병후(曺秉厚)이다. 조덕승(曺悳承)은 4세 때부터 18세까지 할아버지 밑에서...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동리는 마을 앞산이 굽들이며 자귀바락[바가지]으로 소[牛]의 구시[구유의 사투리, 구유 조(槽)] 형국이라고 한다.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조동(槽洞)과 동촌(東村)에서 ‘조(槽)’자와 ‘동(東)’자를 따 ‘조동(槽東)’이 되었다. 고려 중기 흥덕장씨(興德張氏)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흥덕군(興德郡)...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내리는 새가 숲으로 날아드는 형국이라 하여 ‘새나리’·‘조비리’·‘새내’·‘초내’·‘사내(沙乃)’라고 하였다 한다. 설립 시기가 뚜렷하지 않으나, 조선 중기에 여러 성씨들이 모여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성동면(星洞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포동리...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상평리에 있는 유창, 유한량, 길사순(吉師舜)을 기리는 사당. 유창은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개국공신이다. 강릉유씨(江陵劉氏)의 시조로, 자는 맹의(孟義), 호는 선암(仙庵)이고, 강릉부 우계현(羽溪縣) 출신으로 아버지는 지군사(知郡事) 천봉(天鳳)이다. 1371년(공민왕 20)에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학유(成均學諭)가 되었고, 전공좌랑(典工佐郎)...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두평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고수저수지는 고창군 고수면 상평리와 고창읍 일대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건립된 저수지로서, 1952년 착공하여 1956년에 준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죤형]이며, 제방 체적은 5만 5,680㎥, 제방 길이는 231.7m, 제방 높이는 20.56m이다. 총저수량은 2556.7천t, 유효 저수량은 2556.7천t이며,...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암리 정산사에 배향된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여중(汝衆). 창녕 조씨 시조인 조계룡(曺繼龍)과 평장사(平章事) 조자기(曺自奇)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소감(少監) 조준(曺俊)이고, 할아버지는 소감 조인취(曺仁取)이며, 아버지는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 조원유(曺元宥)이다. 조서(曺庶)는 야은(壄隱) 전녹생(田祿生)의 문하에서 수학하였...
-
1392년에서 개항기까지의 전라북도 고창 지역의 역사. 현재의 고창은 고창현과 무장현(茂長縣), 흥덕현(興德縣)이 통합되어 성립되었다. 고창현은 고려 시대에 상질감무가 겸무하였다. 조선 초기인 1401년(태종 1)에 비로소 고창현에 감무를 두었으며, 1455년(세조 1) 지방 방위 조직의 개편에 따라 나주진관(羅州鎭管)의 속읍이 되면서 현감을 파견했고, 속오군(束伍軍)은 입암산성에...
-
1942년~1943년 일제가 조선어학회 회원을 투옥한 사건. 일본은 1939년 4월부터 학교의 국어 과목을 폐지하고 신문과 잡지를 점차 폐간하였다. 이에 조선의 한글학자 등 조선어학회 회원들은 일제의 탄압 정책을 직감하면서 사전 편찬을 서둘러 1942년 4월 원고 일부를 대동출판사에 넘겨 인쇄를 시작하였다. 함흥영생고등여학교(咸興永生高等女學校) 학생 박영옥(朴英玉)이 기차 안에서...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방축리·금평리·사반리·왕촌리에 걸쳐 있는 산. 산의 형상이 마치 화살 같이 생겼다고 하여 조시산이라 부르고 있다. 『한국지명총람』에는 조실산(造失山)으로 나오고 지형도에는 조지산으로 나온다. 1961년 4월 22일 조시산으로 고시되었다가 2000년 1월 4일 조지산(造知山)으로 고시 지명이 변경되었다. 조지산의 산줄기는 호남정맥의 내장산 까치봉과 백암산 중간...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방축리·금평리·사반리·왕촌리에 걸쳐 있는 산. 산의 형상이 마치 화살 같이 생겼다고 하여 조시산이라 부르고 있다. 『한국지명총람』에는 조실산(造失山)으로 나오고 지형도에는 조지산으로 나온다. 1961년 4월 22일 조시산으로 고시되었다가 2000년 1월 4일 조지산(造知山)으로 고시 지명이 변경되었다. 조지산의 산줄기는 호남정맥의 내장산 까치봉과 백암산 중간...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때 지은 일본식 목조 주택. 1935년에 건축된 고창 조양식당은 일제강점기를 거쳐 지금까지 고창 지역 한정식을 대표하는 식당으로 고창만의 특별한 음식을 맛볼 수 있다. 1935년 조양관이라는 일본식 여관으로 시작하여 해방 이후 요릿집으로 업종을 전환하였다. 고창의 맛을 잇는 전통 한식집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나, 건축물의 노후로 200...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때 지은 일본식 목조 주택. 1935년에 건축된 고창 조양식당은 일제강점기를 거쳐 지금까지 고창 지역 한정식을 대표하는 식당으로 고창만의 특별한 음식을 맛볼 수 있다. 1935년 조양관이라는 일본식 여관으로 시작하여 해방 이후 요릿집으로 업종을 전환하였다. 고창의 맛을 잇는 전통 한식집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나, 건축물의 노후로 200...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석정리에 있는 개항기 조양임씨 가문의 정려. 판서 임난봉(林鸞鳳)의 증손 서천군수 임사복(林士福)이 서울에서 고창으로 남하함에 따라 조양임씨(兆陽林氏) 자손들이 외정(外鼎)에 세거하고 있다. 조양임씨 정려는 증감찰(贈監察) 임기양(林岐陽)의 처 증숙인(贈淑人) 창원김씨(昌原金氏)의 열(烈)과 그 아들 증동몽교관(贈童蒙敎官) 임영필(林永弼)의 효를 기리는 정려...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휴백(休伯), 호는 삼오당(三吾堂). 청간(淸澗) 조서(曺庶)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조한빈(曺漢賓)이다. 조언징(曺彦徵)은 어려서부터 지성으로 부모에게 효도하여 당대의 사표(師表)가 되었다. 그의 시에 “상쾌한 숲과 샘[林泉]은 내게 가장 마땅하고 경서의 뜻풀이[經訓]와 농사 이야기[農談]는 내 분수에 마땅하네. 이 속에 또...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조응두의 처 문화유씨의 정려. 직산 조응두(趙應斗)의 처 문화유씨는 사용(司勇) 유대기(柳大器)의 딸이다. 정유재란에 부부가 함께 산곡에 숨어 있다가 남편이 왜적에 쫓겨 달아나자 문화유씨가 그 뒤를 따르다가 왜적에게 붙잡혔다. 왜적이 문화유씨를 겁탈하려 하자 이에 응하지 않고 끝내 절사(節死)하였다. 조정은 이 사실을 알고 정려를 명...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창녕(昌寧). 호는 화암(花巖). 하성부원군(夏城府院君) 조익청(曺益淸)의 후손으로, 우승지 조후(曺厚)의 6세손이다. 아버지는 현령(縣令) 조호인(曺好仁)이다. 조익령(曺益齡)은 지략이 뛰어났으며, 충의를 자임하는 인물로 참봉(參奉)을 지냈다. 용모가 준수하고 행동거지가 단정했으며, 일상생활에 있어 ‘충신독경’(忠信篤敬)이란 네 글자를 좌우명...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창녕(昌寧). 호는 오곡(梧谷). 하성부원군(夏城府院君) 조익청(曺益淸)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현령(縣令) 조호인(曺好仁)이다. 참봉 조익령(曺益齡)의 동생이다. 조익수(曺益壽)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조익령과 같이 군량미와 군기를 준비하고, 집에서 부리던 하인 18명과 함께 의병장 채홍국(蔡弘國)과 고덕붕(高德鵬)을 따라 흥덕 남당(南塘)에서...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군. 본관은 직산(稷山)이다. 생년월일은 알 수 없으나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암리 수월마을에서 태어났다. 조재용은 월암리에 사는 임벽하(林碧河)의 천거로 정읍에 사는 접주 최익서(崔益瑞)를 통해 동학에 입교(入敎)하였다. 1899년 4월 정읍 농민 봉기에 가담했다가 고창 수성군에 체포된 뒤 5월 2일 고창옥에서 죽었다....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방축리·금평리·사반리·왕촌리에 걸쳐 있는 산. 산의 형상이 마치 화살 같이 생겼다고 하여 조시산이라 부르고 있다. 『한국지명총람』에는 조실산(造失山)으로 나오고 지형도에는 조지산으로 나온다. 1961년 4월 22일 조시산으로 고시되었다가 2000년 1월 4일 조지산(造知山)으로 고시 지명이 변경되었다. 조지산의 산줄기는 호남정맥의 내장산 까치봉과 백암산 중간...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은원(恩源), 호는 만회(晩悔). 직제학(直提學) 조서(曺庶)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참봉 조인준(曺仁俊)이다. 조첨(曺添)은 어려서부터 천성이 곧으며 굳은 의지와 절개가 있었고, 밖으로는 연약한 듯하면서도 안으로는 강직했다. 어버이를 섬기되 정성을 다했고, 사람의 성품과 자연의 이치를 깊이 연구하여 몸소 행하고 마음으로...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접주이자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조판용의 생년월일은 알 수 없으나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덕정리 제내마을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일찍이 1899년 정읍 농민 봉기[일명 영학당 사건]를 주도한 최익서(崔益瑞)에게 천거되어 동학에 입교(入敎)하였다. 동학 접주로서 동학 농민 혁명이 좌절되자 동학의 재건을 추진하던 중 1899년 4월에 일어난 정읍 농민...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혼부(混夫), 호는 계암(溪庵). 직제학 조서(曺庶)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참봉(參奉) 조인숙(曺仁淑)이다. 조흡(曺潝)은 성품이 단아하고 효성과 우애가 지극했으며 문장이 뛰어났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신유일(辛惟一), 오전(吳晪), 유철견(柳鐵堅)과 함께 의병과 군량을 모집하여 북상하다...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의병이자 독립운동가. 황종관은 1868년 8월 12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신대리에서 태어났다. 1905년 을사조약으로 한국이 일본의 준식민지로 전락하자, 1906년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이 고예진(高禮鎭) 등 30여 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을 상대로 투쟁할 것을 맹약하고 전라남도 태인의 종석산(鍾石山)에서 거의(擧義) 절차와...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신앙 행위의 총칭. 종교는 초인간적 신이나 절대자를 숭배하고 신앙하여 인간 생활의 고뇌와 불안, 삶과 죽음의 문제 등을 해결하며 행복을 얻고자 하는 정신문화의 하나이며 초기에는 토테미즘(Totemism)·애니미즘(Animism)·샤머니즘(Shamanism) 등 원시신앙의 형태로 시작되었다. 이후 새롭게 등장한 것이 불교·유교·기독교·이슬람교 등과...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晋州). 호는 종모재(終慕齋). 절제사를 지낸 정종순(鄭宗舜)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정기현(鄭期顯)이다. 정희주(鄭熙周)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어버이를 지성으로 모시어 뜻을 받들어 봉양을 다하였다. 부모의 병이 위중하자 변을 맛보고 하늘에 빌어 대신하기를 원했으며,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마시게 하여 아버지는 16년을, 어머니는 6일...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조양(兆陽)이며, 초명은 문수(文洙), 본명은 종문(鍾文)이다. 천서(天瑞)는 자이다. 1864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인성리 석우촌에서 아버지 임석황(林錫璜)과 어머니 울산김씨(蔚山金氏)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임천서는 동학 농민 운동의 준비 단계부터 전봉준(全琫準)과 각별한 관계를 맺고 일을 계획했다고 한다....
-
개항기 고창 출신의 의병장. 본관은 이천(利川)이며, 자는 응호(應鎬), 본명은 채열(彩烈), 초명은 종채(鍾採), 별명은 응오(應五) 또는 종주(鍾珠)이다. 1881년 10월 15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백양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서상필(徐相苾)이며, 어머니는 경주김씨(慶州金氏)이다. 서종채는 어려서부터 의절(儀節)과 재덕(才德)을 겸비하였고, 특히 의술에 뛰어났다....
-
근대와 현대 고창 출신의 승려.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성은 송씨(宋氏)이다. 호는 만암(曼庵)이며, 목양산인(牧羊山人)이라고도 한다. 1876년 1월 17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송의환(宋義煥)이다. 종헌(宗憲)은 4세 때 아버지를 잃고, 11세 때에는 어머니를 잃었다. 이에 1886년(고종 23) 백양사의 취운선사(翠雲禪師) 문하로 출가하였으며...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함양(咸陽)이며, 자는 종현(宗賢), 호는 용암(龍巖)이다. 1884년(헌종 14)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서 태어났다. 사호(沙湖) 오익창(吳益昌)의 후손이다. 오필환(吳弼煥)은 소두(小蠹) 정하원(鄭河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학행은 물론 시문에도 능하였고,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다. 부모를 섬길 때나 선조(先祖)의 덕업...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석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풍수 비보 입석. 석교리(石橋里)는 조선 순조 때에 전주이씨가 처음 터를 잡은 마을이다. 석교리는 처음에는 마을 뒷산의 지형이 풍수상 지네 형국이라서 옹동이라 하였으나, 마을 앞에 돌다리가 생겨나면서 석교리로 마을 명칭이 바뀌었다. 석교리 마을 입구에 남근석이라는 입석이 있었는데, 이 입석을 석교리 미륵이라고 부른다. 이 남근석은 석...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용기리와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 고룡동을 연결하던 조선 시대 나루의 터. 좌치나루터는 옛 무장현[현 무장면]과 흥덕현[현 흥덕면]의 해안을 연결하는 나루로, 외부 소금장수들이 질마재를 넘어 무장현의 해변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사러 다니거나 심원면 사람들이 부안면 난산장[알뫼장]을 오가는 데 이용되었다. 풍수로 꿩이 앉은 형국이어서 좌치나루터라고 한다. 나루 양쪽...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용기리와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 고룡동을 연결하던 조선 시대 나루의 터. 좌치나루터는 옛 무장현[현 무장면]과 흥덕현[현 흥덕면]의 해안을 연결하는 나루로, 외부 소금장수들이 질마재를 넘어 무장현의 해변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사러 다니거나 심원면 사람들이 부안면 난산장[알뫼장]을 오가는 데 이용되었다. 풍수로 꿩이 앉은 형국이어서 좌치나루터라고 한다. 나루 양쪽...
-
옛날 부안면 선운리 진마마을에는 차가 들어오고 나갈 만한 큰길이 없었다. 간척이 되기 전, 진마마을은 바닷물이 넘실대는 해안 마을이었다. 마을로 들어오거나 마을을 나가기 위해서는 좌치나루터와 질마재 고갯길을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좌치나루터는 주진천[또는 인천강ㆍ장수강]과 서해가 만나는 곳에 있었다. 좌치나루터에서 나룻배를 운영했던 뱃사공 2명이 마을에 있었다고 하여...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용기리와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 고룡동을 연결하던 조선 시대 나루의 터. 좌치나루터는 옛 무장현[현 무장면]과 흥덕현[현 흥덕면]의 해안을 연결하는 나루로, 외부 소금장수들이 질마재를 넘어 무장현의 해변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사러 다니거나 심원면 사람들이 부안면 난산장[알뫼장]을 오가는 데 이용되었다. 풍수로 꿩이 앉은 형국이어서 좌치나루터라고 한다. 나루 양쪽...
-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고창 지역에 설치된 특수 행정구역. 향(鄕)은 신라 때부터 고려 때까지 있었던 특수 지방 행정구역의 하나이다. 향소부곡은 군현보다 작은 지역 단위였는데,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농사나 특산물을 생산하는 천인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양인이 거주하며 생산 활동을 하는 말단 행정구역이었다는 학설이 새롭게 나오고 있다. 향은 조선 전기까지 존재하다가 점차 소...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주곡리는 풍수지리상 지형이 거미 형국이라하여 ‘거미(무)실’ 또는 ‘거미[蛛]’를 써 ‘주곡(蛛谷)’이라 하였다고 한다. 1562년 고흥유씨(高興柳氏) 석탄(石灘) 유운(柳澐)이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오동면(五東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상평리(上坪里)·...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주산리는 풍수지리상 소나무 숲으로 아담하게 둘러싸인 마을의 형국이 거미[蛛]와 같다 하여 ‘주산(蛛山)’으로 불렀다. 그러나 거미가 꺼림칙하다 하여 구슬 주(珠)로 바꿔 ‘주산(珠山)’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1550년대 밀성박씨(密城朴氏) 박상원(朴尙源)이 터를 잡아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의 지역으로, 1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