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정기 시장. 대산시장은 2일과 7일에 개장되는 오일장이다. 대산시장의 이전 명칭은 사가리시장이었으며 조선 시대의 향시로부터 이어져온 전통적인 재래시장으로서 일제 강점기에는 1호 시장으로 분류되었다. 이후 1967년 12월에 대산시장으로 새로 개설되었으며 2005년 시장 건물이 신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지 면적 1,623㎡, 건물 연면적[...
-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진주(晋州)이고, 자는 사겸(士謙), 호는 덕헌(德軒)이다. 충장공(忠莊公) 정황(鄭璜)의 후손으로 극재(克齋) 정방규(鄭枋珪)의 아들이다. 1920년 무장면 덕림리(德林里)에서 출생하여 2000년에 죽었다. 선비 가문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한학에 전심했고 명륜학원[성균관대학 전신]을 졸업하여 일찍 시문(時文)으로 알려졌으며 서화에도 조예가 깊어 조선미술...
-
부안면 선운리 진마마을 새마을지도자 최영일[1956년생] 씨. 그의 집은 마을 사람들과는 조금 떨어진 위쪽에 자리 잡고 있는 양계장이다. 본래 최영일 씨는 진마마을 사람이 아니었다. 그는 익산에서 태어났다. 학교를 다니고 결혼과 함께 일가를 이루며 살아온 근거지는 군산이었다. 그러다가 어떤 계기로 동생이 고창에 들어와 살게 되었는데, 이 무렵 그에게 비춰진 고창의 아름다...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내리는 새가 숲으로 날아드는 형국이라 하여 ‘새나리’·‘조비리’·‘새내’·‘초내’·‘사내(沙乃)’라고 하였다 한다. 설립 시기가 뚜렷하지 않으나, 조선 중기에 여러 성씨들이 모여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성동면(星洞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포동리...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사내리에 있는 시대 미상의 당산. 고창군 성송면 사내리 사내마을에는 4기의 당산석이 세워져 있는데,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번영과 소원 성취를 비는 제사를 지낸다. 당산에 정성들여 제사를 드리면 당산이 온 마을을 수호하여 질병, 재앙 등을 방지하게 되고, 마을의 번영과 함께 소원이 성취되지만 만일 제사를 하지 않거나 소홀히 하면 당산이 노하여 마을 전체가 재화...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사내리에 있는 시대 미상의 당산. 고창군 성송면 사내리 사내마을에는 4기의 당산석이 세워져 있는데,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번영과 소원 성취를 비는 제사를 지낸다. 당산에 정성들여 제사를 드리면 당산이 온 마을을 수호하여 질병, 재앙 등을 방지하게 되고, 마을의 번영과 함께 소원이 성취되지만 만일 제사를 하지 않거나 소홀히 하면 당산이 노하여 마을 전체가 재화...
-
바다에 인접한 연해 읍성으로 모양부리현의 전래 지명을 차용하여 모양성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고창읍성은 조선 단종 원년인 1453년 영광, 화순, 나주, 제주 등 전라도 7개 군현의 고을에서 노동력이 동원되어 축성된 읍성이다. 포곡식(包谷式) 산성과 평지성이 조합된 평산성으로 왜적 방어와 행정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지어졌는데, 성곽의 둘레는 1,680m이며, 성벽의 높이는 4m, 면적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덕정리에 있는 농촌 체험 농장. 사랑화훼석류 농촌교육농장은 국화와 석류를 주제로 각종 관련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농촌 교육 농장이다. 사랑화훼석류 농촌교육농장은 농업진흥청에서 시행하는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건립하게 되었다.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은 농촌 체험 마을에서 한 단계 발전한 프로그램으로 농촌 체험과 학교 교육을 접목...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덕정리에 있는 농촌 체험 농장. 사랑화훼석류 농촌교육농장은 국화와 석류를 주제로 각종 관련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농촌 교육 농장이다. 사랑화훼석류 농촌교육농장은 농업진흥청에서 시행하는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건립하게 되었다.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은 농촌 체험 마을에서 한 단계 발전한 프로그램으로 농촌 체험과 학교 교육을 접목...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덕정리에 있는 농촌 체험 농장. 사랑화훼석류 농촌교육농장은 국화와 석류를 주제로 각종 관련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농촌 교육 농장이다. 사랑화훼석류 농촌교육농장은 농업진흥청에서 시행하는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건립하게 되었다.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은 농촌 체험 마을에서 한 단계 발전한 프로그램으로 농촌 체험과 학교 교육을 접목...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덕정리에 있는 농촌 체험 농장. 사랑화훼석류 농촌교육농장은 국화와 석류를 주제로 각종 관련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농촌 교육 농장이다. 사랑화훼석류 농촌교육농장은 농업진흥청에서 시행하는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건립하게 되었다.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은 농촌 체험 마을에서 한 단계 발전한 프로그램으로 농촌 체험과 학교 교육을 접목...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사명(士明). 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유춘발(柳春發)이며, 동생은 정랑(正郞)을 지낸 유동립이다. 유동휘(柳東輝)는 선조 말 사마시에 합격한 후 아버지의 성원으로 당대의 대학자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 들어가 경사(經史)를 섭렵하였다. 이후 시례(詩禮)에 능하여 천거된 뒤 의금부도사가 되었다. 1623년(광해군 1...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고성리 사미마을에 있는 김해김씨 사당. 고성리 사미마을 염수재는 사미마을 서쪽 산정에 위치하고 있어 경관이 수려하다. 마을 경로회관을 지나 서쪽으로 난 길을 따라 올라가면 된다. 경사가 조금 급한 편이지만 자동차로 갈 수 있도록 시멘트 도로포장을 해두었다. 세워진 날짜는 확실하진 않지만 2010년 기준으로 약 50년 전인 1960년대에 세워졌다. 정면 4칸,...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고성리 사미마을에 있는 김해김씨 사당. 고성리 사미마을 염수재는 사미마을 서쪽 산정에 위치하고 있어 경관이 수려하다. 마을 경로회관을 지나 서쪽으로 난 길을 따라 올라가면 된다. 경사가 조금 급한 편이지만 자동차로 갈 수 있도록 시멘트 도로포장을 해두었다. 세워진 날짜는 확실하진 않지만 2010년 기준으로 약 50년 전인 1960년대에 세워졌다. 정면 4칸,...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박(士博), 호는 성음(星陰). 장천군(長川君) 이보생(李普生)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어모장군 이형(李逈)이고, 할아버지는 진사 이시휘(李時輝)이다. 친아버지는 통덕랑 이인(李潾)이며, 양아버지는 통덕랑 이용(李溶)이다. 이문언(李文彦)은 성장하여 수촌(壽村) 백시덕(白時德)과 진사 백시명(白時明)의 문하에서 수학하...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반리는 지형이 뱀이 또아리를 틀고 있는 형국이라하여 ‘사반(巳盤)’이라고 한다. 조선 전기 청주한씨(淸州韓氏)가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오리동면(五里洞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미동리(米洞里)·사반리·어룡리(魚龍里)·광승리(光升里)의 일부가 편입되어 사반리가...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반리는 지형이 뱀이 또아리를 틀고 있는 형국이라하여 ‘사반(巳盤)’이라고 한다. 조선 전기 청주한씨(淸州韓氏)가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오리동면(五里洞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미동리(米洞里)·사반리·어룡리(魚龍里)·광승리(光升里)의 일부가 편입되어 사반리가...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에 있는 김안절(金安節)을 기리는 일제 강점기 사당. 사산사는 선조 때 선비 사헌(沙軒) 김안절(金安節)을 모시는 사당으로, 1913년에 창건되었다. 김안절의 자는 의신(義臣), 호는 사헌이고, 본관은 상산(商山)으로 1514년(중종 9)에 출생하였다. 28세에 양성현감(陽城縣監)이 되었고, 2년 후에 중종이 승하하고 명종이 왕위에 올랐을 때 고부승습사...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에 있는 김안절(金安節)을 기리는 일제 강점기 사당. 사산사는 선조 때 선비 사헌(沙軒) 김안절(金安節)을 모시는 사당으로, 1913년에 창건되었다. 김안절의 자는 의신(義臣), 호는 사헌이고, 본관은 상산(商山)으로 1514년(중종 9)에 출생하였다. 28세에 양성현감(陽城縣監)이 되었고, 2년 후에 중종이 승하하고 명종이 왕위에 올랐을 때 고부승습사...
-
개항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수원(水原)이고, 자는 사순(泗淳), 호는 갑운(甲雲)이다. 1856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덕산리에서 백우진(白宇鎭)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백인수는 어려서부터 효행이 지극하고 올곧은 성품을 지녔다고 한다. 1905년 10월 5일 을사조약을 결사반대하며 백성기(白性基)와 함께 국권 회복 운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 8월 29일 합방의...
-
고려 시대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계산리 일대에 설치되었던 숙박 시설. 원(院)이 언제부터 설치·운영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 시대부터 우역(郵驛)을 설치하고 사신의 왕래처에 관(館)을 두었던 점으로 미루어 삼국 시대부터 설치되었다고 여겨진다. 원은 공공의 임무를 띤 여행자뿐만 아니라 때때로 일반 행인에게 제공되기도 하였다. 역과 함께 설치된 시설이어서 흔히 역원제도라고 일컫...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자는 사익(士益)이다. 1845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김창강(金昌强)이다. 김양두는 1886년 무과에 입격하여 선전관을 지내는 등, 학식과 용모가 출중했다고 전한다. 과거에 합격한 양반 출신이지만 봉건 정부에 대한 저항 의식으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동학 농민 혁명 당시...
-
근대와 현대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영광(靈光)이며, 자는 사중(士中), 호는 양천(陽泉)이다. 1882년(고종 19)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해룡리에서 태어났다. 감찰을 지낸 정극명(丁克明)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정영희(丁永喜)이다. 정대수(丁大秀)는 25세 때인 1906년(고종 43) 경의책(經義策)으로 박사 초시에 합격했으나, 동생이 죽자 벼슬할 뜻을 버리고 주경...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자연·문화·유적 등을 예술적 시각으로 촬영하여 고창을 알리는 예술 분야. 고창 지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진 동호회는 고창사랑회이다. 고창사랑회 회원들은 자체적으로 고창 지역의 사진 예술 발전을 위해 왕성한 창작 활동을 하고 있으며, 모양성제를 비롯한 각종 행사가 열릴 때마다 우정 출연으로 사진 전시회를 열고 있다. 1990년 4월 16일 창간하여...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사포리에 있는 포구. 사진포(沙津浦)는 흥덕 북쪽, 부안으로 향하는 반도 안에 자리 잡은 포구이다. 예부터 주위의 들이 넓어 물산이 모여들고 해산물이 풍성하게 잡혀서 일찍이 해창이 설치되었다. 이 때문에 수확기가 되면 왜구가 침입하여 노략질을 일삼았다. 1397년(태조 6) 삼도수군절제사와 병조판서를 지낸 뒤 고창에 은거하던 김빈길(金贇吉)은 사진포에 왜구가...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갯가에 모래가 많으므로 사진포 또는 사포(沙浦)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주항(酒缸)·회목(檜木)·사포 각 일부를 병합하여 사포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회목 동북쪽에 남생이 형국의 남생잇등, 술항골[일명 주항] 뒤쪽에 조선 영조 때 통헌대부 정시현(鄭始縣...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부처를 숭상하고 불법을 익히는 장소. 사찰은 절, 사원(寺院), 정사(精舍), 가람(伽藍)이라고도 한다. 불교가 발생한 인도에서 수행자들이 우기를 피해 한 곳에 모여 생활을 하는 공동 주거지의 성격을 띠었는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종교 의례를 행하는 성스러운 장소로 변모하였다. 전라북도 고창군의 주요 사찰과 사찰 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선운사(禪雲寺)...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창리는 마을에 환곡을 넣어 두던 곳집이 있어서 사창(社倉)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이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사창·신점(新店), 일서면 진목정(眞木亭) 일부를 병합하여 사창리라 하고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사창리는...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기 흥덕군 이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죽송(竹松)·덕평(德坪)·내사(內沙)·외사(外沙)·제내(堤內)·용정(龍井), 일서면의 통야·영구 일부를 병합하여 사천리라 하고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내사 어귀에 지형이 두루마리...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사포리에 있는 포구. 사진포(沙津浦)는 흥덕 북쪽, 부안으로 향하는 반도 안에 자리 잡은 포구이다. 예부터 주위의 들이 넓어 물산이 모여들고 해산물이 풍성하게 잡혀서 일찍이 해창이 설치되었다. 이 때문에 수확기가 되면 왜구가 침입하여 노략질을 일삼았다. 1397년(태조 6) 삼도수군절제사와 병조판서를 지낸 뒤 고창에 은거하던 김빈길(金贇吉)은 사진포에 왜구가...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갯가에 모래가 많으므로 사진포 또는 사포(沙浦)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주항(酒缸)·회목(檜木)·사포 각 일부를 병합하여 사포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회목 동북쪽에 남생이 형국의 남생잇등, 술항골[일명 주항] 뒤쪽에 조선 영조 때 통헌대부 정시현(鄭始縣...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유원(裕遠), 호는 사호(沙湖). 부원군 오광휘(吳光輝)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라좌수우후를 지낸 오숙(吳淑)이고, 할아버지는 진사 오세영(吳世英)이다. 아버지는 진사 오인(吳寅)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학(李鶴)의 딸이다. 첫 번째 부인은 함풍이씨(咸豊李氏)로 이유겸(李惟謙)의 딸이고, 두 번째 부인은...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사회 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활동하는 단체. 사회단체는 시민사회단체 또는 시민단체로 지칭되기도 하며 국가와 지역, 그리고 전문가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형도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단체는 정부의 영역이 아닌 민간 영역에서 자발적으로 결성된 결사체로서 공익적 목적을 추구하는 단체로 인식된다. 사회단체가 추구하는 공익성이...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시행되고 있는 주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광범위한 사회 정책. 공적 부조의 가장 핵심이 되는 법률로 1961년 12월 30일 「생활보호법」이 제정·공포되었으며, 1978년에는 「의료보호법」이 제정·실시되었다. 1997년 IMF라는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생활보호법」의 기능적 한계가 드러남에 따라 2000년부터 국민기초생활보장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의...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강남리에 있는 아동 양육 시설. 아모스요엘원은 아동복지법에 의거하여 보호자가 양육하기에 부적당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어 보호나 양육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가정이 해체되면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학대받고 있는 0세부터 만 18세 까지의 영·유아,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들을 보호 양육하는 사회 복지 시설이다. 수용 보호가 필요한 아동들에 대한 단...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사회 변화를 일으키거나 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집단적으로 전개하는 일체의 행동. 사회 운동은 일반적으로 기존의 규범이나 가치의 유형이 정당하지 못하다는 신념을 공유하는 다수의 개인들이 새로운 대안적인 규범이나 가치를 제도화하기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하여 조직적으로 활동하는 집합적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 운동은 구체적인 사회 문제를 해결...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민족 해방과 계급 해방을 위하여 전개되었던 민족 운동. 국내에서의 사회주의 움직임은 3·1운동 이후 항일 운동과 민족 재생의 방편으로 대두되기 시작하여, 전통적 민족주의 운동에서 벗어나 계급적 사회주의 운동으로 일제에 대항하려 하였다. 이에 따라 일본 유학생 중심의 사회주의 조직인 흑도회가 조직된 후 풍뢰회·흑우회·불령사·북성회·북풍회·일월회·무...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동물. 삵은 벵골살쾡이의 아종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 강,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일본의 쓰시마 섬에 서식하는 쓰시마살쾡이를 같은 아종으로 보기도 한다. 살쾡이, 삵괭이, 살기, 삵정이, 삭쟁이, 삵이, 식, 오슬기, 만주살쾡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몸길이는 55~90㎝ 정도이다. 식육목에 속하는 동물 가...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 분포하는 주변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고창군이 속해 있는 전라북도의 높이별 면적 분포는 100m 이하의 평지가 51%, 100~500m의 소기복지(小起伏地)가 33%, 500~1,000m의 중기복지(中起伏地)가 13%, 1,000m 이상의 대기복지(大起伏地)가 나머지 3%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듯 전라북도는 높이 500m 이하의 면적이 84%나 된다....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서식하고 있는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보춘화와 유사한 야생 난초에는 대흥란(Cymbidium nipponicum), 한란(Cymbidium kanran), 죽백란(Cymbidium lancifolium), 녹화죽백란(Cymbidium javanicum var. aspidistrifolium) 등이 있다. 이 가운데 한란은 천연기념물 제191호로...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이자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영수(永叟), 호는 이재(頤齋)·실재(實齋)·서명산인(西溟散人)·운포주인(雲浦主人)·산뢰노인(山雷老人)·월송외사(越松外史). 평해군 황숙경(黃淑卿)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취은(醉隱) 황세기(黃世基)이고, 할아버지는 산촌(山邨) 황재만(黃載萬)이며, 아버지는 만은(晩隱) 황전(黃廛)이다. 황윤석(黃胤錫)은 5세...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림리는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낙산리(洛山里)와 죽림리(竹林里)에서 ‘산(山)’자와 ‘임(林)’자를 따 ‘산림(山林)’이 되었다. 조선 중기 흥성장씨(興城張氏)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흥덕군(興德郡) 이동면(二東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세월리(細月里)·은동(...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수리는 산수가 좋으므로 ‘산수매’ 또는 ‘산수(山水)’라고 하였다 한다. 형성 시기는 뚜렷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임진왜란 이후 진주정씨(晉州鄭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원송면(元松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외원리(外院里)·삼태리(三台里)·방...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산수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돌무덤. 산수리 지석묘는 산수리 방축마을에 있어 방축 고인돌이라 부르기도 한다. 고인돌은 대개 군집을 이루며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산수리 지석묘와 같이 고갯마루에 단독으로 있는 경우의 고인돌도 있다. 이러한 고인돌은 대개 제단 고인돌, 혹은 기념물 등의 성격을 지닌다. 방축마을 도로 건너 대산면 상금리로 넘어가는 소로가...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수리는 산수가 좋으므로 ‘산수매’ 또는 ‘산수(山水)’라고 하였다 한다. 형성 시기는 뚜렷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임진왜란 이후 진주정씨(晉州鄭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원송면(元松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외원리(外院里)·삼태리(三台里)·방...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정리는 성주이씨(星州李氏) 이전주(李全胄)의 후손들이 번창하여 양뜸 마을 터를 이루었는데, 양뜸 가운데 흐르는 시냇가에 정자나무가 있어 ‘산정(山亭)’으로 불렀다고 한다. 1650년경 순창설씨(淳昌薛氏) 설진공(薛鎭功)이 발산마을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하고, 산정마을은 1698년(숙종 24)에 성주이씨(星州李氏) 이...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정리는 성주이씨(星州李氏) 이전주(李全胄)의 후손들이 번창하여 양뜸 마을 터를 이루었는데, 양뜸 가운데 흐르는 시냇가에 정자나무가 있어 ‘산정(山亭)’으로 불렀다고 한다. 1650년경 순창설씨(淳昌薛氏) 설진공(薛鎭功)이 발산마을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하고, 산정마을은 1698년(숙종 24)에 성주이씨(星州李氏) 이...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산초에 간장을 넣어 만든 장아찌. 산초나무는 운향과의 낙엽 관목으로 높이 3m 정도이며 잔가지에 가시가 많은 나무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8~9월에 연한 녹색 꽃이 피는데 향기가 없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데 삭과이고 둥글며 녹색을 띤 갈색이다. 다 익으면 3개로 갈라져서 검은 색의 종자가 나오는데 익기 전에 따서 식용하고, 익은 종자는 기름...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동물. 삵은 벵골살쾡이의 아종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 강,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일본의 쓰시마 섬에 서식하는 쓰시마살쾡이를 같은 아종으로 보기도 한다. 살쾡이, 삵괭이, 살기, 삵정이, 삭쟁이, 삵이, 식, 오슬기, 만주살쾡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몸길이는 55~90㎝ 정도이다. 식육목에 속하는 동물 가...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동물. 삵은 벵골살쾡이의 아종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 강,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일본의 쓰시마 섬에 서식하는 쓰시마살쾡이를 같은 아종으로 보기도 한다. 살쾡이, 삵괭이, 살기, 삵정이, 삭쟁이, 삵이, 식, 오슬기, 만주살쾡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몸길이는 55~90㎝ 정도이다. 식육목에 속하는 동물 가...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동물. 삵은 벵골살쾡이의 아종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 강,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일본의 쓰시마 섬에 서식하는 쓰시마살쾡이를 같은 아종으로 보기도 한다. 살쾡이, 삵괭이, 살기, 삵정이, 삭쟁이, 삵이, 식, 오슬기, 만주살쾡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몸길이는 55~90㎝ 정도이다. 식육목에 속하는 동물 가...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동물. 삵은 벵골살쾡이의 아종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 강,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일본의 쓰시마 섬에 서식하는 쓰시마살쾡이를 같은 아종으로 보기도 한다. 살쾡이, 삵괭이, 살기, 삵정이, 삭쟁이, 삵이, 식, 오슬기, 만주살쾡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몸길이는 55~90㎝ 정도이다. 식육목에 속하는 동물 가...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동물. 삵은 벵골살쾡이의 아종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 강,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일본의 쓰시마 섬에 서식하는 쓰시마살쾡이를 같은 아종으로 보기도 한다. 살쾡이, 삵괭이, 살기, 삵정이, 삭쟁이, 삵이, 식, 오슬기, 만주살쾡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몸길이는 55~90㎝ 정도이다. 식육목에 속하는 동물 가...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동물. 삵은 벵골살쾡이의 아종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 강,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일본의 쓰시마 섬에 서식하는 쓰시마살쾡이를 같은 아종으로 보기도 한다. 살쾡이, 삵괭이, 살기, 삵정이, 삭쟁이, 삵이, 식, 오슬기, 만주살쾡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몸길이는 55~90㎝ 정도이다. 식육목에 속하는 동물 가...
-
누정이란 누각(樓閣)과 정자(亭子)의 합성어이다. 누정은 정자의 고유 명사인 정호에 누(樓)와 정(亭) 자가 붙은 건축물로, 주로 마루로 되어 있다. 참고로, 정호에 당(堂)이나 각(閣), 태(台) 등의 문자가 붙은 건축물이라 해도 마루가 주가 되어 사방으로 트인 건축물이라면 누정으로 본다. 한편, 누(樓)와 정(亭) 자가 붙은 정호라도 건축물의 구조가 방과 부엌 중심이라면 그것은...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생산되는 죽염. 죽염은 우리 민족 고유의 민간 신약으로서 역사적 전통과 독창성에 있어 그 예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하고 문화적 가치가 높은 귀중한 유산이다. 고창의 죽염 제조 기법은 개암사 주지에게 대를 이어 전수되고 있다. 현재는 개암사 주지 효산이 죽염 제조 기술을 전수받아 연구·개발에 힘을 기울여 효능이 뛰어난 양질의 완벽한 죽염을 제조하고 있다. 634년...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상경(商卿), 호는 삼소당(三笑堂). 관란(觀瀾) 유춘발(柳春發)의 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생원 유동현(柳東賢)이고, 할아버지는 통훈대부 유철견(柳鐵堅)이다. 친아버지는 유교령(柳喬齡)이고, 양아버지는 생원 유만령(柳萬齡)이며, 양어머니는 해미곽씨(海美郭氏)로 곽성구(郭聖龜)의 딸이다. 부인은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임한...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와 심원면 고전리에 걸쳐 있는 염전. 삼양사의 창업주인 수당(秀堂) 김연수(金秊洙)[1896~1979]는 고창군 부안면 봉암리[당시 부안면 인촌리] 출신으로 1924년 삼수사를 창업하였으며, 1927년 줄포에서 처음으로 간척 사업을 시작하였다. 1931년에는 회사 이름을 삼양사로 변경하였다. 김연수가 고창군 해리면과 인연을 맺은 것은 1936년으로, 해...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에 있는 삼양염업사의 지점. 삼양염업사는 전라북도의 향토 기업 중 하나인 삼양사(三養社)로부터 분리 독립한 천일염 제조 및 판매 업체이며, 삼양사는 1924년 10월 고창의 만석꾼 집안인 수당(秀堂) 김연수(金秊洙)에 의해 설립된 삼수사(三水社)에 뿌리를 두고 있다. 삼수사는 장성농장을 개설하여 10년 만에 1만석 규모의 대규모 농장으로 성장하였고, 김...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와 심원면 고전리에 걸쳐 있는 염전. 삼양사의 창업주인 수당(秀堂) 김연수(金秊洙)[1896~1979]는 고창군 부안면 봉암리[당시 부안면 인촌리] 출신으로 1924년 삼수사를 창업하였으며, 1927년 줄포에서 처음으로 간척 사업을 시작하였다. 1931년에는 회사 이름을 삼양사로 변경하였다. 김연수가 고창군 해리면과 인연을 맺은 것은 1936년으로, 해...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577년(백제 위덕왕 24년) 검단선사가 선운사를 창건할 때 모여든 사람들이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 조선 말기에는 무장군 탁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석상(石床)·중촌(中村)·삼인(三仁) 일부를 병합하여 삼인리라 하고 고창군 석곡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일원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삼인리 고인돌은 모두 세 개 지역에 나뉘어 군집하고 있다. A군 고인돌 3기, B군 고인돌 10기, C군 고인돌 8기로 모두 21기의 고인돌이 확인된다. 고인돌의 형식은 기반식이나 뚜껑식이지만 대부분 윗돌 아래가 묻혀 받침돌의 수나 형태 등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A군은 아산면 삼인리 중촌마을 서쪽 구릉에, B군...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학습 수련원. 선운산 도립공원 집단 시설 지구 입구에 자리 잡은 고창삼인종합학습장은 ‘충(忠)·효(孝)·선(宣)’, 즉 나라에는 충성하고 부모님께 효도하며 이웃에게 사랑을 베푸는 청소년을 육성한다는 원훈 하에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자연 탐사 및 실험 활동과 인성 교육과 극기심 배양을 위한 탐구 활동 중심의 창의성 계발 특색 프로그램이...
-
1919년 3월 10일~28일 고창 지역에서 일어난 항일 독립운동. 일본은 1910년 국권을 강탈한 뒤 폭압적인 무단 통치를 실시하였다. 한민족은 무단 통치 아래서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박탈당하였고, 민족 교육과 종교도 탄압받았다. 또한 회사령으로 민족 자본가의 성장이 막히고, 토지 조사 사업으로 많은 농민들이 소작농으로 전락하였으며, 도시의 노동자 또한 일본인 노동자에...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고 하는 삼짇날은 봄철에 양의 수가 겹치는 길일이라 하여 다양한 풍속이 전해진다. 이때 제비를 맞이하는 풍속이 있으며, 진달래가 만발하고 날씨가 따뜻하여 화전놀이를 즐기기도 한다. 삼짇날은 3이라는 양수(陽數)가 겹치는 날로서 봄철의 시작을 장식하는 명절이다.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에서 전승되어 온 공예품. 무장상자(茂長箱子)는 전통적인 색지 공예를 고장의 토산품으로 만든 대표적인 가내 수공업이다. 조선 말 고종 연간의 무장읍 내에 살았던 김영운(金永運), 김영휘, 김영보, 김열려 등의 형제들에 의해 전승되었다. 후손들의 말에 따르면, 김영운의 고조인 김세홍(金世泓)은 어린 시절부터 손재주가 뛰어나 무엇이든 잘 만들었다고 한다....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풍수 비보 입석. 화표(華表)는 중국에서 풍수비보 기능을 하는 석주로서 사원 내에 조성된다. 진서화표 석주[지정 명칭 하거리 할아버지당]는 1801년(순조 1)에 대홍수를 겪은 고창읍 주민들이 재난을 방지하고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기 위하여 주민들이 합심하여 1803년(순조 3)에 조성한 것이다. 문화재청 지정 명칭은 하거리 할...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갑리는 본래 고려 시대의 갑향(甲鄕)이었는데 발음이 잘못 전해져 갑평(甲坪)으로 불리었다. 1910년 갑평 윗쪽 마을이라 상갑리로 변경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청계(淸溪) 강순(姜恂)이 동지와 집안 장정 100여 명을 모아 근왕병(勤王兵)을 일으켜 남한산성으로 가던 중 굴욕적인 화친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고창으로 내려왔다고 한다. 당...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당산. 중거리 당산[지정 명칭 중거리 할아버지당]은 자연재해를 예방할 목적에서 1803년(순조 3) 고창읍 주민들이 합심 협력하여 고을 중심에 세운 풍수비보 기능의 석주이다. 문화재청 지정 명칭은 중거리 할아버지당이고 현재 중거리 당산[중요민속문화재 14-2]으로 부르는 것이 적합하다. 상, 중, 하 삼거리 중 상거리에 있는 당산이다...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상경(商卿), 호는 삼소당(三笑堂). 관란(觀瀾) 유춘발(柳春發)의 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생원 유동현(柳東賢)이고, 할아버지는 통훈대부 유철견(柳鐵堅)이다. 친아버지는 유교령(柳喬齡)이고, 양아버지는 생원 유만령(柳萬齡)이며, 양어머니는 해미곽씨(海美郭氏)로 곽성구(郭聖龜)의 딸이다. 부인은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이임한...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1600년대 초 고창향교(高敞鄕校)가 이 지역으로 옮겨 오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초창기에는 교생들이 공부하는 곳이라 하여 ‘생교(生校)라고 불렀다. 그 외에는 ‘상교’·‘생교(生校)’ 로 불리다가, 조선 후기에 향교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교촌(校村)’이라 하였다. 고창향교가 월곡리 학당동에서 1589년(선조 22)에 교촌리로 옮겨 온 이...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금리는 마을 앞에 있는 개천에 쇠가 많이 난다고 하여 쇠내[金川]라고 했고, 그 위에 상금리가 있어서 ‘상금(上金)’이라고 하였다 한다. 1600년경 경주김씨(慶州金氏) 김익수(金益壽)가 마을 터를 이루고 안터골[현, 남산]이라 하였고, 1610년경 한양조씨(漢陽趙氏) 조진방(趙鎭邦)은 쇠내 중간에 마을 터를 이루고 중금(中金)이라고 불렀...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상금리 상금마을 일원에 있는 청동기 시대 돌무덤군. 상금리 고인돌은 상금마을에서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으로 이어지는 노령산맥 가리재[225m] 정상부까지 약 2.7㎞ 거리[고인돌로 판단되는 205기의 석재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에 있으며, 아홉 개의 군집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리재는 법성포와 내륙 산간인 장성을 이어주는 교통로인데, 이 길을 따라...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10월에 지내는 세시 풍속. 음력 10월을 상달이라고 하여 중요하게 여긴다. 10월 달에는 다른 달에 꺼리는 일을 하더라도 탈이 붙지 않는다. 대개 10월에 문중 단위로 시제를 모신다. 음력 10월을 상달이라고 하며, 10월 보름은 하원(下元)이라고 한다.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에 상달을 일 년 내의 농사가 마무리 되고 햇곡식과 햇과일을...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선운사 도솔암의 지장보살상을 안치한 불전. 설화에 의하면, 수미산 꼭대기로부터 12유순(由旬) 되는 곳에 도솔천이라는 천계(天界)가 있고, 거기에 내원궁과 외원궁이 있다고 한다. 내원궁에는 미륵보살이 장차 부처가 되어 세상을 제도할 때를 기다리며 머물고 있다고 전한다. 따라서 선운사 도솔암 내원궁은 미륵보살이 안치된 전각이어야 한다....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등리는 산등성이 위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상등(上嶝)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이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중등(中嶝)·상등·등성(登城) 일부를 병합하여 상등리라 하고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구꾸게[일명 구현(仇峴)]에...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상등리 반계마을에 있던 당산나무. 반계마을은 중흥마을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안면에서 차로 2~3분 거리에 있다. 반계마을에는 별도의 이정표가 없으며, 하천을 끼고 있다. 마을 북쪽 입구 오룡천 냇가에 높이 7m 내외, 둘레 1m 정도의 팽나무가 한 그루 서 있었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마을을 수호하는 당산나무라고 불렀다. 음력 1월 3일 자정...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상등리 상굴마을에 있던 당산나무. 부안면에서 고창 방면으로 가는 방향 오른쪽에 있는 상굴마을은 부안면 소재지에서 차로 3분 거리에 있다. 상굴마을 중앙 상등 2구와 3구 사이에 높이 15m, 둘레 5m의 홰나무[槐木] 한 그루가 있었는데, 조경환(曺璟煥)의 6대조 조익순(曺翊舜)이 마을 사람들을 보호하고 복을 기원하기 위해 심었다고 전한다. 1970년대에 새...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상례는 죽은 사람을 장사 지낼 때 수반되는 의례이다. 죽음을 현실로 수용하는 초종례부터 시신을 처리하는 습과 염의 의례, 죽은 자를 저승으로 보내는 발인과 매장에 따르는 의례, 상주들이 현실 사회로 복귀하는 매장 후부터 탈상까지의 과정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고창군에서 행해지는 전통적인 상례는 임종(臨終)→ 수시(收屍)→...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상을 당했을 때 입는 옷. 관혼상제의 4례(四禮) 중 상례(喪禮)는 사람이 죽었을 때 하는 절차로서 인간의 삶은 이 세상에서 죽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저 세상에서 다시 태어난다고 생각하여 정성을 다하였다. 고창 지역은 전통적으로 조상을 소중히 모시고, 조상이 돌아가셨을 때 예를 갖추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의미로 상례복[상복]을 갖추어 입는다. 예전에 고...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손님 접대, 제사, 상장례 등에 만들어 먹는 음식. 상례(喪禮)는 인간의 죽음을 놓고 사회적으로 규정된 의례 관행의 총체로서 그 종족이나 문화권이 지닌 인생관, 영혼관, 타계관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개인적으로 보면 통과 의례의 하나이지만, 동시에 사회적으로는 사자로 인하여 간극이 생긴 공동체가 다시 안정된 상황을 되찾는 데 의의가 있다. 일반적으로...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서 서식하고 있는 외떡잎식물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석산(石蒜)은 상사화 종류로,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필 때는 꽃이 없어 서로를 그리워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또한 한 승려가 세속의 여인을 사랑하였는데, 신분이 승려인 탓에 여인을 만날 수가 없어 대신 자신의 안타까운 심정을 담아 상사화 즉, 석산과 꽃무릇을 절 주변에 심었다는...
-
김수를 시조로 하고 김추를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상산김씨(商山金氏) 시조 김수(金需)는 신라 제56대 경순왕의 후손인데 선계(先系)를 알 수 없어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삼았다. 김수의 5세손인 김비궁(金非躬)이 상산부원군, 9세손 김일(金鎰)이 상락군(上洛君), 10세손 김록(金祿)이 상성군(商城君)에 잇달아 봉해져 상산에 여러 대에 걸쳐 살았으므로 후손들...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접주이자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달성(達城)이며, 자는 상삼(相三), 호는 남계(南溪)이다. 1864년 무장현 와공면 청천[현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용수리]에서 배후근(裵厚根)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배환정은 한약방을 경영했는데, 집안 형편이 어려운 환자에게는 약을 무료로 주고 노부모를 모시는 환자에게는 약값을 반액만 받았다. 이러한 활동으로 주변...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생산되는 뽕나무 열매. 뽕나무 꽃은 겨울에 눈 속에 숨어 있다가 잎과 함께 자라 5월 중순에 꽃을 피운다. 꽃은 잎처럼 연초록이여서 뚜렷하게 밖으로 드러나지 않으며, 6월 초순경부터 익기 시작해 중순에 절정을 이룬다. 오디는 붉은색부터 진한 보라색까지 다양하며 엷은 미색을 띠는 것도 있다. 2005년 7월 고창군 아산면 계산리에 녹산오디영농조합[대표 장성남]이...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암리는 상포(象浦)의 ‘상’자와 석암(石岩)의 ‘암’자를 따서 상암(象岩)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부안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석암·원당(元堂)·상포·반월(半月)·인촌(仁村) 일부를 병합하여 상암리라 하고 부안면에 편입하였다. 황시암골 위에 서쪽 부안면 봉암리의 대섬과 마주 보는 대...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상암리 상포마을에 있는 당산나무. 상포마을 북쪽 야산 정상에 200년 묵은 팽나무 일곱 그루가 한 나무처럼 어우러져 있는데, 이것이 상포마을의 당산나무이다. 바다가 바로 내려다보이는 자리에 낙파정(樂波亭)이라는 정자 옆에 있어 경관이 수려하다. 상암리 상포마을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화액(禍厄)을 막고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는 제를 지낸다. 음력 섣달그믐...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상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상암저수지는 고창군 부안면 상암리 지섬동과 농월마을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건립된 저수지로, 1951년 착공하여 1852년에 완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죤형]이며, 제방 체적은 2만 2000㎥, 제방 길이는 445m, 제방 높이는 4.3m이다. 총저수량은 592.56천 t, 유효 저수량은 591.96천 t, 사수량...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승려. 본관은 전주(全州), 속성은 이씨(李氏). 호는 설파(雪坡), 상언(尙彦)은 법명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의 11세손으로, 아버지는 이태영(李泰英)이고, 어머니는 파평윤씨(坡平尹氏)이다. 상언(尙彦)은 일찍 부모를 여의고 매우 가난하여 스스로 살길이 없었다. 이에 19세 때 선운사로 출가하여 희섬(希暹)의 제자가 되었으며, 연봉(蓮峯)과 호암체정(虎巖...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대보름은 정월 보름을 말하며,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대보름은 새해가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맞는 명절이다. 따라서 각종 놀이나 명절음식에는 한 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미 그 해 여름을 생각하며 더위에 대비하고, 가을의 풍작을 기원하며 한 해를 마음으로부터 준비하는 것이다....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곡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 상원사는 고창의 진산인 방장산의 동남쪽 기슭에 자리한 고찰이다. 544년(진흥왕 5)에 불사 창건령에 의해 밀명을 띤 고봉, 반룡 두 법사가 당시 백제 땅인 고창현의 영산 방장산 아래에 546년(성왕 24)에 창건하였다. 상원사는 착공하여 준공되기까지 2년 6개월에 걸쳐 미곡 1,000...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곡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전각. 고창 IC에서 지방도 15호선을 타고 가다가 읍성을 지나 좌회전하면 된다. 「상원사창건연원기(上院寺創建年源記)」에 의하면 상원사는 546년(성왕 24)에 고봉(高峯), 발용(發龍) 두 법사에 의해 창건되었고, 내원(內院), 외원(外院), 임공(臨空), 벽호(碧昊), 오봉(五峯), 수월(水月), 예천(醴泉), 상월(上月), 하월...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곡리 상원사에 있는 조선 시대 목조 불상. 상원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약사불, 왼쪽에 아미타불의 삼세불을 안치하였다. 3구 모두 높이가 140~150㎝에 이르는 불상으로 현재의 대웅전 규모에 비해 다소 크다. 2007년 1월 9일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10호에 지정되었다. 상원사 목조삼세불좌상은 각각 수인만 다를 뿐 조각 수법과 크기...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평리는 1600년대 지금의 신평마을 뒤에 있던 등선마을에서 강릉유씨(江陵劉氏)가 자리 잡았다고 해서 ‘신평(新平)’으로 불렀다고 한다. 현재는 ‘상평(上坪)’이라 부르고 있다. 1600년대 말 강릉유씨(江陵劉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고사면(古沙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평리는 1600년대 지금의 신평마을 뒤에 있던 등선마을에서 강릉유씨(江陵劉氏)가 자리 잡았다고 해서 ‘신평(新平)’으로 불렀다고 한다. 현재는 ‘상평(上坪)’이라 부르고 있다. 1600년대 말 강릉유씨(江陵劉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고사면(古沙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상평리 신평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당산 선돌. 마을의 당산은 나무와 선돌로 만들어진다. 선돌은 자연 선돌과 조형 선돌로 만들어지는데, 상평리 신평마을 당산 선돌은 자연 선돌이다. 이 선돌은 정월보름에 당산제를 지낼 때 줄다리기를 한 후에 줄을 감아놓는 선돌 당산이다. 신평리에는 지신 당산과 선돌 당산이 있는데, 선돌 당산 2기 가운데 하나이다. 상평리 신평마...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상평리 신평마을에 있는 일제 강점기 마을 정자. 상평리 신평마을 모정은 마을의 당산나무들과 함께 어우러져 여름에는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준다. 마을 사람들은 여름에 이곳에서 휴식도 하고 음식도 나누며 마을의 대소사를 의논하기도 한다. 원래 마을이 생기면서부터 모정이 있었는데, 현재 상평리 신평마을 모정 옆에 있는 4칸짜리 초가지붕 건물은 옛날 모정이다. 옛날...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상조를 목적으로 하는 마을의 조직. 상포계는 상사(喪事)를 공동 부조하기 위해 만든 협동 조직이다. 이를 위친계, 유촌계, 만사계 등이라고도 한다. 상포계는 부모와 본인·아내 등의 상(喪)에 필요한 경비와 노동력을 충당할 목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상례 시 일어나는 모든 경비 및 노동력, 방문, 애도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계칙에 따라 범위가 장인·장모까...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상하교회는 ‘언제나 어디서나 그리스도인’을 목회 방침으로 삼고 지친 영혼과 삶에 힘과 쉼을 주는 교회, 하나님께 예배함으로 힘과 쉼을 얻는 교회를 지향한다. 하나님께 나아가는 한적한 오솔길을 함께 걸으며 사랑과 나눔을 배우고 실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5년 10월 10일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975-4번지에서...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에 있는 농원 및 농가 체험 시설. 상하농원은 고창군의 농특산물 생산 장소이자 홍보 공간으로, 고창 군민은 물론이고 전국의 관광객들이 농가 체험과 농작물 생산, 식품 가공 등의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08년 4월 고창군이 국내 최대 규모의 유기 우유 생산 시설을 갖춰 가동한 후, 상하공장을 운영하던 매일유업과 협약을 맺고 지역의 낙농업자들과...
-
전라북도 고창군에 속하는 행정면. 상하면은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상이면(上二面)과 하이면(下二面)에서 ‘상(上)’자와 ‘하(下)’자를 따 상하면(上下面)이 되었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무장군과 흥덕군(興德郡)이 고창군에 통합될 때, 상이면과 하이면 지역의 병합으로 상하면이 되어 9개 법정리로 개편되었다. 법정리로...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에 있는 풍물 단체. 상하면 장사농악단은 2001년 전북도민체전 개막 공연을 계기로 설립되었다. 상하면 행사의 축하 공연 등에 참가하고 있다. 상하면 인근에 있는 영광원자력발전소에서 지원 받은 보상금으로 농악 교육을 받고 있다. 2001년 제38회 전북도민체전 개막식에 참가하여 ‘고창의 소리’를 주제로 공연하였다. 2002년 제2회 고창농악경연대회 대상...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에 있는 상하면 관할 행정 기관. 상하면사무소는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과 관련된 지방 행정의 기초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상이면(上二面)과 하이면(下二面)을 합쳐 각 면의 이름을 딴 상하면(上下面)이 9개 법정리를 하위 행정 구역으로 하여 신설되었다. 면사무소가 설치된 시기는 뚜렷한 기록은 없으나 그 무렵이었...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에 있는 정기 시장. 상하시장은 1일과 6일에 개장되는 오일장이다. 1974년 3월에 개설되었으며 1996년 시장 건물이 신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지 면적 3,777㎡, 건물 연면적[매장 면적] 708㎡에 건물 구조는 경량 철골 구조 샌드위치 판넬로 되어 있으며 부대시설로 화장실 1개가 있다. 2009년 현재 수산물, 의류, 잡화, 청과 등의 업...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장산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올바른 국가관 확립과 과학의 생활화로 창조적이고 합리적인 생활 능력을 기르고, 스스로 행동하는 심신의 연마로 강인한 체력을 기르는 데 교육 목표를 두고 있다. 1971년 1월 9학급 상하중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3월 1일 초대 김영수 교장이 부임하며 개교하였다. 1978년 12월 5일 15학급으로 인가받았다가, 2009년 3학급...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장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슬기롭게 자라서 푸른 꿈을 이루자’는 교훈 아래 슬기롭고 심성이 고운 예절 바른 도덕인, 합리적인 판단으로 지혜로운 생각을 가꾸는 창의인, 자주적인 태도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주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31년 5월 19일 상하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41년 4월 1일 상하공립심상소...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사회 단체. 새고창로타리클럽은 인도적인 봉사에 힘쓰고 모든 직업이 높은 인도적 기준을 지켜 나가도록 장려하며 나아가 세계 친선과 평화 확립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0년 1월 입회 희망자 10명에게 로타리 지식 연수를 하고 1인당 1명 배가 운동을 실시하여 새고창로타리클럽을 창립하고 제1대 현종하 회장이 취임하였다. 지역 사회의 필요에 부...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내리는 새가 숲으로 날아드는 형국이라 하여 ‘새나리’·‘조비리’·‘새내’·‘초내’·‘사내(沙乃)’라고 하였다 한다. 설립 시기가 뚜렷하지 않으나, 조선 중기에 여러 성씨들이 모여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성동면(星洞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포동리...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내리는 새가 숲으로 날아드는 형국이라 하여 ‘새나리’·‘조비리’·‘새내’·‘초내’·‘사내(沙乃)’라고 하였다 한다. 설립 시기가 뚜렷하지 않으나, 조선 중기에 여러 성씨들이 모여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성동면(星洞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포동리...
-
1970년부터 시작된 범국민적 지역 사회 개발 운동 중 전라북도 고창군 지역에서 전개된 운동. 새마을 운동은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의 제창으로 ‘우리 마을을 우리 힘으로 새롭게 바꾸어 보자’는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새마을운동 초기에는 초가집 없애기[지붕 개량], 블록 담장으로 바꾸기, 마을 안길 넓히고 포장하기, 다리 놓기, 농로 넓히기, 공동 빨래터 설치 등의 기초...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대리는 새로 된 마을이라 ‘새터’·‘신대리(新垈里)’라 하였다고 한다. 1750년대에 천안전씨(天安全氏)가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동음치면(冬音峙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새터·축동(丑洞)·구정리(九井里), 이동면(二東面)의 복흥리(福興里)가 병...
-
친구란 구수한 된장국처럼 오래될수록 깊은 맛이 우러나오는 그런 것이다. 하물며 한 마을에서 나고 자란 ‘깨복쟁이’ 친구들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지금 그 친구들은 서울로 광주로 고창읍으로 모두 흩어져 살지만, 마음은 항상 고향으로 향해 있을 것이다. 「그리운 언덕」이라는 동요의 노랫말처럼. 내 고향 가고 싶다 그리운 언덕/ 동무들과 함께 올라 뛰놀던 언덕/ 오늘도 그 동무들 언덕...
-
“지금은 많이 없어졌어라우. 빈 집, 다 서울로 가고 많이 없어. 그때는 서울로 안 간게 요런데 곁방에서도 살고 사람 만했는디 인자는 얼매 안 되야 인자……. 우리 작은아들 낳든 해에까지 [당산제를] 다 허고, 그 멫(몇) 살 먹음서부텀 별로 안 했어라우. 참 억시게 했어라. 쇠꾼 사다가 했어, 쇠꾼, 꽹과리 치는 사람……. 그때는 인자, 고깔 쓰고, 다 맹글고[만들고] 전부 다...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1600년대 초 고창향교(高敞鄕校)가 이 지역으로 옮겨 오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초창기에는 교생들이 공부하는 곳이라 하여 ‘생교(生校)라고 불렀다. 그 외에는 ‘상교’·‘생교(生校)’ 로 불리다가, 조선 후기에 향교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교촌(校村)’이라 하였다. 고창향교가 월곡리 학당동에서 1589년(선조 22)에 교촌리로 옮겨 온 이...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사람이 태어남을 축하하여 특별히 만들어 먹는 음식. 고창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사람이 태어남을 축하하는 백일, 돌, 회갑 등의 시기에 그 주인공에 대한 기원과 통과 의례의 의미를 상징하는 특별한 양식에 따라 각기 생일상이 차려지는데, 이때의 음식을 일컫는다. 생일(生日)은 사람이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사람이 태어나서 맞이하는 통과 의례로 고창에서는 전...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석교리 일대에 있는 생활 체육 공원. 생활체육 확대 및 보급에 따라 휴식과 체육·레저활동을 겸할 수 있는 생활 체육 공간을 마련하고자 건립되었다. 또한 생활체육테마공원은 고창군민의 여가와 체력증진의 기회 부여하여 고창군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국비 10억 등 사업비 25억 원을 들였다. 고창군은 2005년 2월까지 실시 설계와 부지 매입을 마치고 2...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연(渷), 호는 충효당(忠孝堂). 아버지는 공조판서에 증직된 서호(徐浩)이다. 서경춘(徐景春)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남도 장성 남문에서 창의하여 군량관으로 군량 3만여 석을 모았다. 정유년에 양친과 아내 김씨가 같은 날 순절했다는 소식을 듣고 돌아와 6년을 시묘하였다. 충효(忠孝)를 겸하여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 전라남도...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에서 왕촌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연결하는 일반 국도이다. 2008년 12월 31일 현재 총 길이는 1,288.13㎞ 중에서 기존 국도와 겹치는 중복 구간을 제외하면 1,137.34㎞이다. 이중 2차선은 704.22㎞, 4차선은 271.68㎞, 6차선은 96.46㎞, 8차선은 64.98㎞이다. 이중 비포장도로는 전체의...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이자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영수(永叟), 호는 이재(頤齋)·실재(實齋)·서명산인(西溟散人)·운포주인(雲浦主人)·산뢰노인(山雷老人)·월송외사(越松外史). 평해군 황숙경(黃淑卿)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취은(醉隱) 황세기(黃世基)이고, 할아버지는 산촌(山邨) 황재만(黃載萬)이며, 아버지는 만은(晩隱) 황전(黃廛)이다. 황윤석(黃胤錫)은 5세...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와 아산면 하갑리, 상갑리와 경계를 이루는 성틀봉에 있는 백제 시대 석성. 서산산성에 대한 문헌 기록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조선 후기에 서산고성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 고창 고적조에 “서산고성은 현의 서쪽 15리에 있는데, 곧 회시산의 남쪽 자락이다. 산허리에...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와 아산면 하갑리, 상갑리와 경계를 이루는 성틀봉에 있는 백제 시대 석성. 서산산성에 대한 문헌 기록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조선 후기에 서산고성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 고창 고적조에 “서산고성은 현의 서쪽 15리에 있는데, 곧 회시산의 남쪽 자락이다. 산허리에...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1894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산림리 은동에서 태어났다. 서상옥이 동학 농민 혁명 당시 정확하게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한 무리의 농민군을 이끌던 괴수로 평민을 침탈하고 재곡(財穀)을 빼앗기가 부지기수”였다는 관변 측 기록으로 미루어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였음을 알 수 있다. 서...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수남리에 있는 수령 약 250년의 노거수. 서어나무는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산지나 온대림, 해안 지역에서 자생한다. 원산지는 한국이고 국내에는 황해도, 강원도 이남에 분포하고 있다. 개화 시기는 4~5월이고 크기는 15m이다. 나무 껍질은 회색이고 근육 모양으로 울퉁불퉁하다. 작은 가지는 홍갈색을 띠며 털이 없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장난형으...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온수(溫叟), 호는 서은(鋤隱). 평해군 황숙경(黃淑卿)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취은(醉隱) 황세기(黃世基)이고, 할아버지는 산촌(山邨) 황재만(黃載萬)이며, 아버지는 만은(晩隱) 황전(黃廛)이다.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이 형이다. 황주석(黃胄錫)은 어려서는 가학(家學)으로 글을 배웠고, 자라서는 미호(渼湖) 김원...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이천(利川). 자는 치원(致遠), 호는 모의재(慕義齋). 아간(阿干) 서신일(徐神逸)의 후손으로, 참판 서호(徐顥)의 현손이다. 할아버지는 진사 서응성(徐應星)이고, 아버지는 서홍섭(徐弘涉)이다. 서일남(徐馹男)은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 김장생(金長生)이 양호호소사(兩湖號召使)로 전주에 내려오자, 소모유사(召募有司) 유철견과 함...
-
서정주는 고창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한국의 현대시를 대변하는 언어 연금술사이다. 서정주는 토속적, 불교적 내용을 주제로 한 서정시를 많이 쓴 한국의 이른바 생명파 시인이다. 서정주는 1941년 첫 시집 『화사집(花蛇集)』을 낸 이래 『귀촉도(歸蜀道)』, 『국화 옆에서』, 『동천(冬天)』, 『질마재 신화』를 비롯하여 1997년 열 다섯 번째 시집 『80소년 떠돌이의 시』에 이르기까지...
-
전라북도 고창 출신의 시인. 서정주(徐廷柱)는 탁월한 언어 감각과 누구도 밟아 보지 못한 토속어로 일군 빼어난 시의 미학을 보여 준 언어의 연금술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는 친일문학을, 이승만과 전두환의 독재 시절에는 독재를 미화하는 글을 써 기회주의적 어용 문인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미당의 아버지 서광한은 무장에서 향시를 보아 장원을 하였고, 1909년 일제가...
-
개항기 고창 출신의 의병장. 본관은 이천(利川)이며, 자는 응호(應鎬), 본명은 채열(彩烈), 초명은 종채(鍾採), 별명은 응오(應五) 또는 종주(鍾珠)이다. 1881년 10월 15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백양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서상필(徐相苾)이며, 어머니는 경주김씨(慶州金氏)이다. 서종채는 어려서부터 의절(儀節)과 재덕(才德)을 겸비하였고, 특히 의술에 뛰어났다....
-
전라북도 고창군 서부 해안에 있는 바다. 대한민국에서는 서해(西海), 중국에서는 황해(黃海)가 국제 표준으로 쓰인다. 서해는 우리나라의 서쪽에 위치한 바다이고, 황해는 중국 황하의 토사가 유입되어 바다 색깔이 대체로 황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따라서 대한민국에서는 서해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고창군의 북부 지역인 부안면은 북서쪽과 동북쪽이 서해의 해안선에 접해 있고,...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춘산리에서 흥덕면 신덕리까지 연결되는 고속 도로. 전라남도 무안군과 목포시에서 경기도 광명시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잇는 총 연장 340.9㎞의 4차선 도로이다. 고창 구간은 대산면 춘산리~흥덕면 신덕리로 총 31.51㎞이며 4차선이다. 나들목은 선운산나들목과 고창나들목이 있다. 제한 속도는 목포나들목~매송나들목이 최고 110㎞/h, 최저 60㎞/h이며, 고...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음식점. 사흥식당은 1997년 12월 개업하여 10여 년의 사업 기간 동안 김옥희 사장 내외가 전통적인 한정식을 주요 차림으로 하여 운영하고 있다. 좌석은 50여 석 규모이며, 주차 시설은 따로 없다. 서흥식당의 주요 차림은 백반이며 송사리탕, 추어탕, 내장탕, 홍어탕, 아구탕 등이 있다. 여기에 10여 가지의 반찬이 함께 나온다. 음식 재료는...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석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풍수 비보 입석. 석교리(石橋里)는 조선 순조 때에 전주이씨가 처음 터를 잡은 마을이다. 석교리는 처음에는 마을 뒷산의 지형이 풍수상 지네 형국이라서 옹동이라 하였으나, 마을 앞에 돌다리가 생겨나면서 석교리로 마을 명칭이 바뀌었다. 석교리 마을 입구에 남근석이라는 입석이 있었는데, 이 입석을 석교리 미륵이라고 부른다. 이 남근석은 석...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석교리에 돌로 된 다리가 있어 ‘독다리’ 또는 ‘석교(石橋)’라고 하였다 한다. 마을 형성에 대한 뚜렷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임진왜란 전·후에 타지의 빈민들이 숨어 살던 곳이었으나, 차츰 조선 후기에 안정된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천북면(川北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교동(校洞)...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교리는 석교리 창촌마을에 작은 돌다리가 있어 ‘독다리’·‘석교(石橋)’라 한데서 유래되었다. 1400년대 초 창원황씨(昌原黃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동음치면(冬音峙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동촌리(洞村里)·남동리(南洞里)·다옥리(多玉里)가...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돌다리가 있었으므로 돌다리 또는 석교(石橋)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이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오공(五公)·석교, 현내면 오태리 일부를 병합하여 석교리라 하고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석교리는 흥덕면의 남서부에...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역사상 금속기 제작 이전에 돌을 이용하여 도구를 만들어 썼던 시대. 석기 시대는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로 나눈다. 구석기 시대는 뗀석기를 주로 사용하였고 신석기 시대는 간석기를 주로 사용하였다. 한국의 신석기 시대는 간석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고, 토기도 처음 만들어졌다. 구석기 시대는 인류가 탄생한 약 500만 년 전에서 1만 년 전까지의 연대이며, 주...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남리는 마을 지형이 배의 닻줄과 같다하여 ‘선람(船纜)’이라 하다가, ‘성남(城南)’ 또는 ‘석남(石男)’으로 변했다고 한다. 1500년대에 오씨(吳氏)와 양씨(梁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하리면(下里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갈오리(渴烏里)...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석남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석남저수지는 고창군 상하면을 지나는 자룡천의 상류를 막아 하류 지역에 관개용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건립된 저수지로서, 1944년 착공하여 1945년에 준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죤형]이며, 제방 체적은 3만 1000㎥, 제방 길이는 1,166m, 제방 높이 5m이다. 총저수량은 142만 7000t, 유효 저수량은 142만...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덕정리에 있는 농촌 체험 농장. 사랑화훼석류 농촌교육농장은 국화와 석류를 주제로 각종 관련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농촌 교육 농장이다. 사랑화훼석류 농촌교육농장은 농업진흥청에서 시행하는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건립하게 되었다. 농촌교육농장 지원 사업은 농촌 체험 마을에서 한 단계 발전한 프로그램으로 농촌 체험과 학교 교육을 접목...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서 서식하고 있는 외떡잎식물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석산(石蒜)은 상사화 종류로,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필 때는 꽃이 없어 서로를 그리워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또한 한 승려가 세속의 여인을 사랑하였는데, 신분이 승려인 탓에 여인을 만날 수가 없어 대신 자신의 안타까운 심정을 담아 상사화 즉, 석산과 꽃무릇을 절 주변에 심었다는...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의 산내 암자. 석상암(石床庵)은 선운사와 함께 백제 시대에 창건된 기록이 전하며, 이후 1665년(현종 6)에 승려 학철(學哲)이 중창한 산내 암자이다. 선운사의 산내 암자에 속하는 곳으로 승려들의 수행 장소이다. 법당은 최근 건물로서 옥돌의 관세음보살좌상을 봉안하였고, 보살상 뒤에는 1765년(영조 3...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모롱이[산모퉁이의 휘어 둘린 곳]에 돌이 있어 돌모루 또는 석우촌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석신(石新)·동림(東林)·석우(石隅)·동신(東新)·관동(冠洞)·회화(回化)·신흥(新興) 등을 병합하여 석우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석우촌 앞으로 철생이틀이라는 골...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모롱이[산모퉁이의 휘어 둘린 곳]에 돌이 있어 돌모루 또는 석우촌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석신(石新)·동림(東林)·석우(石隅)·동신(東新)·관동(冠洞)·회화(回化)·신흥(新興) 등을 병합하여 석우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석우촌 앞으로 철생이틀이라는 골...
-
개항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정읍 농민 봉기 지도자. 본관은 초계(草溪)이며, 이름은 석일(錫一)·운일(雲一)·일서(一西), 자는 익서(益瑞)이다. 1858년 지금의 전라북도 정읍시 임암면 만화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최영두(崔永斗)[1829~1899]도 동학 농민 혁명에 앞장섰다. 최익서는 고부 마항리(馬項里)[현 정읍시 이평면]에서 예수교를 빙자하여 영학당을 조직한 뒤 고부·장...
-
전라북도 고창군 출신의 서예가. 본관은 평해(平海)이며, 호는 석전(石田)·남고산인(南固山人)·칠봉거사(七峰居士)·백련산인(白蓮山人) 등이다. 1898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조동리에서 태어났다. 실학자 이재(頤齋) 황윤석(黄胤錫)의 7세손으로, 덕헌(德軒) 황효익(黄孝翼)의 5남 3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황욱은 6세에 서학에 입문하여 1916년 서울 중앙고등보통학...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성은 박씨(朴氏)이다. 자는 한영(漢永), 호는 영호(映湖)·석전(石顚)이다. 석전산인(石顚山人)이라고도 불렸다. 1870년(고종 7) 8월 18일 지금의 전라북도 완주군 초포면 조사리에서 태어났다. 정호(鼎鎬)는 나라 안팎으로 어렵고 혼란스러웠던 시기에 살았으나, 학문은 물론이고 교(敎)와 선(禪)에 정통...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성은 박씨(朴氏)이다. 자는 한영(漢永), 호는 영호(映湖)·석전(石顚)이다. 석전산인(石顚山人)이라고도 불렸다. 1870년(고종 7) 8월 18일 지금의 전라북도 완주군 초포면 조사리에서 태어났다. 정호(鼎鎬)는 나라 안팎으로 어렵고 혼란스러웠던 시기에 살았으나, 학문은 물론이고 교(敎)와 선(禪)에 정통...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석정리는 조선 전기에 ‘승산(昇山)’으로 불렸다가, 입상석불(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