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도산리에서 정월 대보름 전야에 주민들의 복을 빌기 위한 마당밟이를 하면서 행하는 굿. 무장면 도산마을 매굿은 매년 음력 정월 열 나흗날 밤에 가가호호 방문하면서 마당밟이 하는 것을 시작으로 이튿날 대보름까지 이어지는 줄다리기 굿, 그리고 당산석에 옷을 입히는 의례까지를 포함하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협의의 매굿은 마당밟이만을 지칭하지만 대보름 굿 전체를 광...
-
일제 강점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했던 일본인 종교가이자 교육자. 마스도미 야스자에몬[枡富安左衛門]은 마스도미 야스자이몽, 또는 승부 장로(枡富長老)라 불리기도 한다. 1880년 일본 후쿠오카에서 4남 1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마스도미 야스자에몬의 아버지는 고향에서 간장공장을 경영하고 있었다. 어린 시절 두 형과 동생을 잃은 마스도미 야스자에몬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공장을 경영하려고...
-
일제 강점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했던 일본인 종교가이자 교육자. 마스도미 야스자에몬[枡富安左衛門]은 마스도미 야스자이몽, 또는 승부 장로(枡富長老)라 불리기도 한다. 1880년 일본 후쿠오카에서 4남 1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마스도미 야스자에몬의 아버지는 고향에서 간장공장을 경영하고 있었다. 어린 시절 두 형과 동생을 잃은 마스도미 야스자에몬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공장을 경영하려고...
-
동학농민혁명 당시 손화중이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의 비기(秘記)를 훔쳤다고 전해지는 사건. 조선 후기 조선 왕조의 봉건적 질서가 해이해지면서 농업·산업·수공업·신분 제도 등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당시 조선은 전국 각지에서 조선이 곧 멸망할 것이라는 소문이 광범위하게 퍼져 매우 불안정한 상태였다. 이는 오래전부터 떠도는 예언에 따른 것으로, 조선 왕조는 500년이라는 숙명을 넘기지 못...
-
신림면 가평리 가평마을 북서쪽에 있었다는 만정은 현재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고, 일대에 있는 무덤만이 옛이야기를 전하듯 고즈넉이 자리 잡고 있다. 만정은 고시철 선생의 호를 딴 것으로, 선생이 만년에 지어 친지 문인들과 독서하고 음풍농월했던 정자라고 한다. 지은 연대는 뚜렷하지 않으나 조선 후기 철종 말엽인 1860년 전후로 추정하고 있다. 이후 1882년 큰 바람에...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니는 신앙 체계. 마을 신앙은 마을 공동체 사회를 운영하면서 마을을 이끌어 가는 주체가 주도적으로 마을 수호신에게 집단적인 공동 제사를 주관하는 신앙 형태를 말한다. 마을 신앙은 마을 수호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신앙 의례를 거행하는 방식이다. 마을 구성원들이 대동단결하고 상부상조하면서 공동체적인 질서를 유지하며 농업 생...
-
신림면 가평리 가평마을 사람들은 매년 음력 정월에 마을 공동으로 ‘촌제’를 모시고 있다. 언제부터 촌제를 모시게 되었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없지만, 오랜 옛날부터 지금까지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모시고 있다. 촌제는 철륭할아버지와 당산할머니 두 군데에서 모신다. 촌제는 먼저 마을 뒤편 논 가운데에 서 있는 팽나무 앞에서 모시는데, 이 나무를 마을 사람들은 ‘철륭할아버지’라...
-
공음면 구암리 마래마을은 경주최씨 최문세(崔文稅)[1610~?]가 말을 타고 들어와서 이룬 마을이라고 알려져 있다. 최문세는 고운 최치원의 24세손으로, 1655년 장성군 황룡면에서 살다가 마래마을로 들어와 집성촌을 이루었으며, 현재까지 12대를 이어오고 있다. 마래마을 삼거리에 있는 삼효각은 경주최씨 집안의 3대째 이어 온 효행을 기리고 널리 알리어 후세 사...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송현리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마파천이 발원하는 부안면 송현리 고잔마을은 부안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9㎞ 지점에 위치해 있다. 마을의 형상은 풍수지리상 소가 누워 있는 형국이라 한다. 부안면 송현리는 바다와 인접해 있어서, 주민들이 소금 생산으로 생계를 이어갔다. 지금은 바다를 간척해서 농사를 짓거나 소금 생산을 겸하고 있다. 마파천의 유역 면적...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만돌리에 있는 갯벌 체험장. 심원면 만돌리 곰소만[줄포만]에 있는 만돌갯벌체험학습장은 일반 갯벌과 달리 바다의 섬과 바위가 어우러져 자연 경관이 수려한 것이 특징이며 그중에서도 명사십리 백사장, 갯벌 위의 외죽도와 내죽도, 그리고 도수바위가 특히 유명하다. 곰소만[줄포만]의 생태를 활용하여 갯벌 생태, 염생 식물, 바지락 캐기, 고기잡이, 갯벌 스포츠 등을...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만돌리는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장차 굴뚝이 만 개가 솟을 것이라는 예언이 있어서, 만돌(萬突)이라 하였다고 한다. 광산김씨(光山金氏) 양간공파(良簡公派) 김진(金璡)의 손(孫)이 만돌과 두어 사이에 정착하여 살면서 마을이 점차 형성되었다. 조선 시대 무장군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난호(蘭湖)[일명 난물]...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상조를 목적으로 하는 마을의 조직. 상포계는 상사(喪事)를 공동 부조하기 위해 만든 협동 조직이다. 이를 위친계, 유촌계, 만사계 등이라고도 한다. 상포계는 부모와 본인·아내 등의 상(喪)에 필요한 경비와 노동력을 충당할 목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상례 시 일어나는 모든 경비 및 노동력, 방문, 애도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계칙에 따라 범위가 장인·장모까...
-
개항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자는 성규(聖圭)이고 호는 만수(晩睡)이다. 영모당(永慕堂) 김질(金質)의 후손이고 진사(進士) 김양대(金養大)의 아들이다. 1842년(헌종 8)에 공음면 선동리(扇洞里)에서 출생하여 20세 때 고창읍 도산리(道山里)로 이사했다. 자질이 총명하여 일찍 문리가 통했고 효심이 깊어 부모를 잘 섬겨 정성을 다했다. 또한 부모의 상사(...
-
개항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자는 성규(聖圭)이고 호는 만수(晩睡)이다. 영모당(永慕堂) 김질(金質)의 후손이고 진사(進士) 김양대(金養大)의 아들이다. 1842년(헌종 8)에 공음면 선동리(扇洞里)에서 출생하여 20세 때 고창읍 도산리(道山里)로 이사했다. 자질이 총명하여 일찍 문리가 통했고 효심이 깊어 부모를 잘 섬겨 정성을 다했다. 또한 부모의 상사(...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교육 기관. 도산서당은 인근 학동들을 위한 강당으로 쓰였으며, 도산초등학교 개교 때 교사를 구하기 전까지 1학기 동안 수업을 하던 곳이었다. 따라서 서당 교육과 근대 교육을 연결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도산서당은 당대 명사들의 교우의 장이었다. 따라서 교우 관계를 보여주는 많은 시문과 송사 기우만이 쓴 「만수당기(晩睡堂記...
-
근대와 현대 고창 출신의 승려.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성은 송씨(宋氏)이다. 호는 만암(曼庵)이며, 목양산인(牧羊山人)이라고도 한다. 1876년 1월 17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송의환(宋義煥)이다. 종헌(宗憲)은 4세 때 아버지를 잃고, 11세 때에는 어머니를 잃었다. 이에 1886년(고종 23) 백양사의 취운선사(翠雲禪師) 문하로 출가하였으며...
-
일제 강점기와 현대 고창 출신의 판소리 명창. 호는 만정(晩汀)이며, 본명은 순옥(順玉)이다. 1917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사포리 335번지[김소희길 33]에서 태어났다. 김소희는 고향에서 보통학교를 마친 후, 광주로 시집간 언니 집에서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를 다녔다. 이때 광주에 내려온 이화중선(李花仲仙) 일행의 공연을 보게 된 뒤 소리에 이끌려 하루도 빼놓지 않고 협...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동물. 삵은 벵골살쾡이의 아종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 강,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일본의 쓰시마 섬에 서식하는 쓰시마살쾡이를 같은 아종으로 보기도 한다. 살쾡이, 삵괭이, 살기, 삵정이, 삭쟁이, 삵이, 식, 오슬기, 만주살쾡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몸길이는 55~90㎝ 정도이다. 식육목에 속하는 동물 가...
-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자는 의경(義卿), 호는 만취(晩翠)이다. 1863년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송암리 379번지[현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송암리 379번지[송암1길 9-6]]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고시청(高時淸)이다. 고순진은 일찍이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외부주사(外部主事)가 되었다. 1905년...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자는 보현(輔賢), 호는 만취(晩翠)이다. 1875년(고종 12) 5월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송산리에서 태어났다. 미산(眉山) 성부(成溥)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서영일이다. 성경수(成卿修)는 어려서 가학(家學)을 계승하였다. 1890년(고종 27) 아버지의 뜻에 따라 기삼연(奇參衍)의 문하에 나아가 경서와...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만화리의 지명 유래에 관해서는 전해지는 내용이 없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이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만화(萬化)·매산(梅山)·사미(士美)·연방(蓮坊)·복흥(福興)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만화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다. 만화리에는 내동천이 흐르고 매산제가 있다. 만화리는 무장면의 서부에 있다....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만화리 사미마을에서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만화리 사미마을 영사제는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에 마을 동남쪽에 있는 당산나무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굿 놀이 방식의 제사이다. 사미마을은 마을 중앙에 샘물이 잘 나오는 곳이 있다고 하여 ‘샘동’이라고 부르다가 ‘사미(士美)마을’로 이름을 고쳤다. 한편 천씨(千氏)...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에 있는 서원. 만화서원은 제주고씨 고인상(高麟相)이 선조 문충공(文忠公) 고경(高慶)을 주벽으로, 문영공(文英公) 고용현(高用賢)과 화당(化堂) 고만욱(高萬郁)을 추배하고 있다. 고경과 고용현은 고려 후기의 충신이다. 고만욱은 고인상의 부친으로, 부모상을 당했을 때 예를 극진히 하였다. 고창군에서 정읍 방면으로 국도 23호선을 따라 약 5㎞ 정도 가다...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은원(恩源), 호는 만회(晩悔). 직제학(直提學) 조서(曺庶)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참봉 조인준(曺仁俊)이다. 조첨(曺添)은 어려서부터 천성이 곧으며 굳은 의지와 절개가 있었고, 밖으로는 연약한 듯하면서도 안으로는 강직했다. 어버이를 섬기되 정성을 다했고, 사람의 성품과 자연의 이치를 깊이 연구하여 몸소 행하고 마음으로...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어떤 사물에 빗대어 묻고 알아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 수수께끼는 질문자가 어떤 사물과 현상을 비유적으로 물으면 상대방이 답을 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이다. 이를 ‘말놀이’, ‘수수꺼끼’라고도 한다. 수수께끼는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구비전승 담론의 하나로 질문과 응답에 의해 사물이나 대상의 본질, 특성을 파악하는 언어 형식이다. 그런데 수수께끼는 어떤 대상이나...
-
공음면 구암리 마래마을 입구 샘거리에는 여러 기의 고인돌이 여기 저기 흩어져 있다. 전에는 훨씬 더 많았는데 도로를 내고 주유소를 지으면서 상당수가 땅 속에 파묻혔다고 한다. 경주최씨 삼효각을 둘러보고 마을로 내려가는 도중에 최대기[1938년생] 씨가 그 중 한 개의 고인돌을 가리키며 말바우와 되바위에 얽힌 전설을 들려주었다. 말바위와 되바위 이야기는 ‘장수굴...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평리는 마을에 긴 들이 있어 ‘두평(斗坪)’이라 하였으며, 1730년대는 ‘말치[斗崎]’라고 불렸다고 한다. 1635년 경주최씨(慶州崔氏) 최문회(崔文會)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고사면(古沙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신동(新洞)·양생리(養生里)·구암리(...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고창 도산리 고인돌은 1981년 4월 1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었다가, 고창 고인돌 유적이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자 1994년 12월 21일 사적 제391호로 승격되었다. 고창 도산리 고인돌은 고창 죽림리 고인돌 밀집 지역에서 약 1㎞ 떨어진 도산리 농가 뒷마당에 있다. 2장의 거대한 받침돌을 65㎝ 간격으로...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칠암리는 마을 뒷산에 일곱 개의 큰 바위가 있어 ‘칠암’이라 한다고 한다. 본래는 망모기 밑이라 ‘망목촌’이라 불렸다고 한다. 망모기는 원칠암에서 무장면으로 가는 고개이다. 1300년대에 마을이 형성됐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동음치면(冬音峙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갑촌리(甲村里)·용산리(...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고창 도산리 고인돌은 1981년 4월 1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었다가, 고창 고인돌 유적이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자 1994년 12월 21일 사적 제391호로 승격되었다. 고창 도산리 고인돌은 고창 죽림리 고인돌 밀집 지역에서 약 1㎞ 떨어진 도산리 농가 뒷마당에 있다. 2장의 거대한 받침돌을 65㎝ 간격으로...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고창 도산리 고인돌은 1981년 4월 1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었다가, 고창 고인돌 유적이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자 1994년 12월 21일 사적 제391호로 승격되었다. 고창 도산리 고인돌은 고창 죽림리 고인돌 밀집 지역에서 약 1㎞ 떨어진 도산리 농가 뒷마당에 있다. 2장의 거대한 받침돌을 65㎝ 간격으로...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학천리 추산봉에 있는 각석. 망오대는 전라북도 고창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전구(崔銓九)가 1918년 ‘지은최공전구망오대(智隱崔公銓九望梧臺)’라는 글자를 새기고 매년 지역의 선비들과 모여 추모 의식을 거행하였던 암벽이다. 최전구는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문하생이었다. 1906년 최익현이 태인의 무성서원에서 의병을 일으킬 때 적극 참여하여 스승을 도왔다....
-
조선 전기 고창 출신의 문신. 윤자운(尹子雲)의 집안은 고려 시대부터 이름 있는 가문이었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 사신(史臣)은, 그를 성품이 편협하고 아무런 재능이 없으면서도 의정부의 고관이 되어 별다른 정책을 건의한 것도 없으며,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에는 협박을 받고 적이 조정을 속이려는 문서에 서명하고 적을 대할 때마다 대인(大人)이라 칭하였다고 혹평하였다....
-
조선 전기 고창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호는 매산(梅山). 증조할아버지는 판서를 역임한 김인우(金仁雨)이고, 아버지는 매은(梅隱) 김오행(金五行)이다. 김석원(金錫元)은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다. 1469년(예종 1) 문과에 급제하여 녹사(錄事)와 통사랑(通仕郞)이 되었다. 계공랑(啓功郞)에 올랐을 때 예종이 승하하자 정희왕후의 명으로 익대순성명량훈(翼戴純誠明亮勳)을...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매산리는 본래 묵도리라 하였다가 지형이 ‘매화낙지(梅花落地)’형국이라 ‘매산(梅山)’으로 고쳐불렀다고 한다. 1400년경 광산김씨(光山金氏) 매은(梅隱) 김오행(金五行)이 처음 들어와 묵도리라 했고, 1600년경 화순오씨(和順吳氏) 오언음(吳彦音)이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대사면(大寺面)의 지...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민주적인 생활 태도로 예절을 지키며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도덕 애국인], 스스로 공부하고 생각하며 개성을 개발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자주 창조인], 언어 사용 능력과 정보 활용 능력을 신장시키며 미래 사회를 주도할 어린이[세계 미래인], 우리 문화와 환경을 사랑하고 아름다운 꿈을 가꾸는 어린이[문화 심미인], 몸과 마음이 바르고...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화숙(和叔), 호는 매월헌(梅月軒). 찬성사(贊成事) 박열(朴說)의 13세손이며, 증참의(贈參議) 박현손(朴賢孫)의 5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참봉을 지낸 박개(朴漑)이다. 박기호(朴奇琥)는 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에 대한 우애가 각별하여 어려서부터 정성으로 부모를 모시고 예로써 몸을 닦았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곡식을 모아 군...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에 있는 매일유업의 유제품 제조 공장. 고창군은 비옥한 황토와 깨끗한 물, 해풍과 해양성 기후 덕에 국제 인증 요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어 1972년부터 여러 농가가 목장을 경영하였다. 매일유업은 이 같은 환경에 주목하여 2004년 9월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에 상하 제1공장을 준공하였다. 제2공장을 준공하기에 앞서 낙농가와 협력하여 유...
-
지금은 예전의 명성을 잃었지만, 고추는 고창군의 주요 특산물 중 하나였다. 고창군에서 일찍이 ‘해풍고추’를 상업적으로 브랜드화 해서 전국적으로 알려졌는데, 그에 따라 한때는 고추 농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해풍고추를 알리는 홍보물에는 “전국 최고의 게르마늄을 함유한 황토 땅에서 터널식으로 재배하고 칠산 바다에서 불어오는 해풍과 태양열을 이용, 자연 건조하므로 색상이 선명하고 고추...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상평리 조산사에 배향된 조선 전기 문신. 강릉 유씨(江陵劉氏)는 거창 유씨(居昌劉氏)에서 분적(分籍)한 계통으로 도시조(都始祖) 유전(劉筌)의 9세손 유승비(劉承備)를 시조로 받들고 있다. 유창(劉敞)[1352~1421]은 유전의 12세손으로 강릉 유씨 중시조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이다. 고창 지역의 강릉 유씨 집성촌은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상평리와 아산면 중...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목우리는 이 곳에 머위가 많이 나서 머위말[머우촌]이라 부른데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목우리의 지형이 소가 누워있는 형태여서 목우(牧牛)라고 부르게 되었다. 조선 말기 무장군 백석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목우(牧牛)·월평(月坪)·송정(松亭) 일부, 탁곡면 강정 일부를 병합하여 목우리라 하고...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목우리는 이 곳에 머위가 많이 나서 머위말[머우촌]이라 부른데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목우리의 지형이 소가 누워있는 형태여서 목우(牧牛)라고 부르게 되었다. 조선 말기 무장군 백석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목우(牧牛)·월평(月坪)·송정(松亭) 일부, 탁곡면 강정 일부를 병합하여 목우리라 하고...
-
도동사(道東祠) 는 가평리 가평마을을 대표하는 문화 유적이다. 도동사 외삼문 안에는 정면 4칸, 측면 1칸의 방호정사가 위치하며, 그 뒤에 다시 외삼문이 있고, 그 뒤편에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을 한 사당[도동사]이 배치되어 있다. 도동사는 1920년대 초반 고순진(高舜鎭)ㆍ고예진(高禮鎭) 형제를 비롯한 많은 문인들과 전국의 유림들이 면암(...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수랑동 명매기골에 있는 샘. 명매기골은 문수산의 북쪽 진등 아래에 있는데, 진등은 풍수지리상 구렁이 혈(穴)이다. 명매기골은 제비의 일종인 명매기가 알을 낳으면 구렁이가 먹는 형상이라고 해서 붙은 지명이다. 2001년 여러 전북산사랑회가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칠성마을 수랑동 명매기골에서 발원한다는 뜻으로 명매기샘으로 명명하여 안...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명서(名瑞), 호는 물기재(勿欺齋). 1447년(세종 29) 문과에 급제하여 세종에서 세조 조에 이르기까지의 명신으로 이름난 강희맹(姜希孟)의 11세손이다. 강희맹의 둘째 아들 강학손(姜鶴孫)의 여섯째 아들 강흔수(姜欣壽)가 강응환(姜膺煥)의 9대조인데, 그의 6대조 강계오(姜繼吳)가 전라남도 영광에서 외가인 무송유씨(茂松庾...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접주이자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천안(天安)이며, 자는 명숙(明淑), 호는 해몽(海夢)이다. 몸이 왜소하여 흔히 녹두(綠豆)라 불렸는데, 이 때문에 뒷날 녹두장군(綠豆將軍)이란 별명이 생겼다. 출생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나 1855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에서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전봉준은 어려서 전주 구미리[현 전라북도 완주...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고유의 명절에 특별히 만들어 먹는 음식. 고창 지역에서 부족 국가 시대부터 내려온 제천 의식과 관련한 식생활 풍속은 명절 음식이나 계절 식으로 이어져 계절의 미각을 즐기는 세시 풍속이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또한 태음력을 바탕으로 하여 24절기에 따라 농사를 지었고, 풍작을 위한 염원이 의례로 이어졌다. 이 의례에 차려졌던 음식이 바로 명절 음식이다....
-
집 안에서 부녀자가 중심이 되어 모시는 신앙을 가정 신앙이라 한다. 그 가운데 오늘날에도 지극 정성으로 모시는 신앙은 성주와 지앙으로, 신림면 가평리 가평마을에서는 아직도 일부 부녀자들이 성주와 지앙을 모시고 있다. 성주는 집을 지켜 주는 신으로, 옛 사람들은 집이 있으면 으레 성주가 있다고 믿었다. 가평리 가평마을에서는 집집마다 모두 성주를 모신다고 하는데, 단지나 동우[동이]와...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의원, 의병이자 독립운동가. 본관은 함평(咸平)이며, 자는 명중(明仲), 호는 호정(壺亭)이다. 1850년(철종 1) 9월 22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대흥리에서 태어났다. 노병희(魯炳熹)는 1888년(고종 25)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문하에서 한학(漢學)을 수학하였다. 1903년(고종 40) 전의(典醫)가 되었다. 1905년(고...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에 있는 탐방 열차. 고인돌 유적의 보존을 위한 도로 폐쇄로 도보로만 탐방해야 하는 고인돌 유적지와 고창고인돌박물관 사이의 비교적 먼 거리를 왕래하는 이동 수단을 제공하여 노약자나 어린이, 관광객들에게 편익을 제공하고 큰 호기심과 즐거움을 주기 위해 건립되었다. 2009년 2월 27일 고창고인돌박물관 광장에서 처음 시승식이 열렸으며 같은 해 4월 1일부...
-
고창 지역에 있었다고 추정되는 삼한 시대 마한 54소국 가운데 한 나라. 한반도에서 청동기 문화가 시작된 것은 B.C. 2000년 또는 늦어도 B.C. 1500년부터이다. 일반적으로 청동기 문화가 시작되면서 국가가 형성된다고 봄으로 한반도에서 국가가 형성되기 시작한 때는 늦어도 B.C. 1500년부터라고 보아야 한다. B.C. 1500년부터 한반도 각지에 많은 소국들이 형성되었고,...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내숙(來叔), 호는 모산(茅山). 강희맹(姜希孟)의 8세손으로, 증조할아버지 강계오(姜繼吳)가 전라남도 영광에서 세거하다 처가[진주정씨(晉州鄭氏)]와 외가[무송유씨(茂松庾氏)]가 있는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에 정착하였다. 아버지는 강필주(姜弼周)이다. 강민저(姜敏著)는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의 문하에서...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었던 문학 단체. 모양문학회는 미당 서정주를 명예회장으로 1959년 설립되어 지역의 유지와 기관장들의 협조 하에 고창 지역의 문화 예술 발전 및 창달에 공헌해온 애향 어린 지역 문학 단체였다. 고창 지역 문학 동호인들의 친목과 권익을 도모하고 고창 향토 문학의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다. 1959년 2월 15일 고창고등학교 강당에서 고창 지역 여러 기...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전기 읍성. 조선 시대 읍성들은 평야 지대에 양면을 돌로 쌓아 만들었고, 성문 위에는 누각을 지어 적을 감시하고 전투를 지휘했으며, 성안에서는 관민이 함께 생활하였다. 그런데 고창읍성은 나지막한 야산을 이용하여 바깥쪽만 성을 쌓고 해자(垓字)를 팠으며, 성안에서는 관아만 만들고 주민들은 성 밖에서 생활하다가 유사시에 성안으로 들어와 함께...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시대 비석군. 고창읍성 비석군은 현재 모양성 앞 주차장에 2열로 모두 18기의 비석이 배치되어 있다. 고창읍성 비석군은 원래 고창현[현 고창읍] 내에 산재하던 것들인데, 보존을 위해서 근래에 고창읍성으로 옮겨놓았다. 명문의 내용으로 볼 때 현감, 관찰사에 대한 영세불망비 4기, 현감과 관찰사에 대한 선정비 12기, 유애비 2기가 있으며,...
-
한국문인협회 고창지부에서 1990~2003년 고창모양성제 기간에 열었던 학생 백일장 대회. 고창문인협회는 1990년 3월 25일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 고창지부를 창설하여 초대 이상인 회장을 추대하고 제17회 고창모양성제를 맞아 10월 16일 관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백일장대회를 개최하였다. 학생들의 문학에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 내고 한국문인협회 고창지부의 위상을 널리 알...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고창모양성제 기간에 열고 있는 향시(鄕試) 재연 행사. 제35회 고창모양성제에서 조선 시대 과거제를 처음으로 재연하여 과시생으로 참여한 유생 150여 명과고창군민 및 관람객 3,000여 명이 함께한 전통 행사로 치러졌다. 고전적인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고장 고창에서 사라져 가는 전통 문화를 재연하고 선비들의 청렴한 정신을 이어 가며 민족 문화의 우수함을...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암리에 있는 국궁 시설. 국궁은 전통과 예를 중시하는 우리 고유의 무예로서 단체전 경기에서는 5명의 선수가 각각 1순[5발]을 145m 떨어진 과녁에 쏘아 관중한 시수로 승부를 가리며 도민체전이나 전국체전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종목 중 하나이다. 모양정은 고창의 백제 시대 이름이자 고창읍성의 다른 이름인 모양성에서 딴 이름이다. 모양정은 전통과 예...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이천(利川). 자는 치원(致遠), 호는 모의재(慕義齋). 아간(阿干) 서신일(徐神逸)의 후손으로, 참판 서호(徐顥)의 현손이다. 할아버지는 진사 서응성(徐應星)이고, 아버지는 서홍섭(徐弘涉)이다. 서일남(徐馹男)은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 김장생(金長生)이 양호호소사(兩湖號召使)로 전주에 내려오자, 소모유사(召募有司) 유철견과 함...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행원(行源), 호는 모재(慕齋).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박세영(朴世榮)의 현손(玄孫)으로, 아버지는 박유정(朴由精)이다. 박효형(朴孝亨)은 6세에 아버지 박유정이 임진왜란 때 달천 싸움에서 순절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큰 소리로 울며 슬픔을 감추지 못했다고 한다. 그리고 성년이 되어 3년간 추복(追服)[상(喪)을 당하였으나 사...
-
전라도 지역에서 짚이나 억새로 지붕을 이은 마을의 정자. 모정은 마을 주민들에게 개방된 마루로 된 정자로서 전라도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농경 문화의 유산이다. 모정은 시정, 유산각, 농청, 농정, 동각, 양청 등과 같은 명칭으로 두루 쓰인다. 모정은 마을 사람들이 여름철의 더위를 피하여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자, 다양한 농사 정보를 주고받는 정보 교류의 공간이다. 또 마을 대소사를...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화순오씨의 부조묘. 오사충(吳思忠)[1327~1406]은 고려 후기,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조선의 개국 공신 중 한 사람이다. 초명은 오사정(吳思正)이며, 호는 수암(守菴)이다. 1355년(공민왕 4) 문과에 급제하여 감찰규정, 헌납, 집의를 거쳐 1389년(창왕 1) 좌사의대부가 되었다. 이 해에 공양왕이 즉위하자 조박(趙璞) 등과...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용반리 남당마을에 있는채홍국(蔡弘國), 고덕붕(高德鵬), 한계상(韓繼常), 채명달(蔡命達), 채경달(蔡慶達)을 기리는 일제 강점기 사당. 평강채씨(平康蔡氏) 야수(野叟) 채홍국(蔡弘國), 장흥고씨(長興高氏) 여곡(麗谷) 고덕붕(高德鵬), 청주한씨(淸州韓氏) 사복시정(司僕寺正) 한계상(韓繼常), 야수(野叟)의 장자(長子)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 채명달(蔡命達)...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목동리는 옛날에 마을에 참나무 정자가 있어서, 진목정(眞木亭)·목정·목동이라 하였다. 원래 우농와라 하다가 마을 지형이 움푹한 삼태기 같다고 하여 와농(窩籠)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1900년대 초에는 와룡(臥龍)으로 불리었다. 조선 말기 고창군 대야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하당(下堂)·와룡·...
-
근대와 현대 고창 출신의 승려.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성은 송씨(宋氏)이다. 호는 만암(曼庵)이며, 목양산인(牧羊山人)이라고도 한다. 1876년 1월 17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송의환(宋義煥)이다. 종헌(宗憲)은 4세 때 아버지를 잃고, 11세 때에는 어머니를 잃었다. 이에 1886년(고종 23) 백양사의 취운선사(翠雲禪師) 문하로 출가하였으며...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목우리는 이 곳에 머위가 많이 나서 머위말[머우촌]이라 부른데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목우리의 지형이 소가 누워있는 형태여서 목우(牧牛)라고 부르게 되었다. 조선 말기 무장군 백석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목우(牧牛)·월평(月坪)·송정(松亭) 일부, 탁곡면 강정 일부를 병합하여 목우리라 하고...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목동리는 옛날에 마을에 참나무 정자가 있어서, 진목정(眞木亭)·목정·목동이라 하였다. 원래 우농와라 하다가 마을 지형이 움푹한 삼태기 같다고 하여 와농(窩籠)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1900년대 초에는 와룡(臥龍)으로 불리었다. 조선 말기 고창군 대야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하당(下堂)·와룡·...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대장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 몽불사(夢佛寺)는 1945년 10월 15일에 창건하여, 330㎡의 대지에 대웅전과 요사, 종각이 세워졌고 미륵불과 삼존불을 모시고 있다. 1990년 9월 이일행(李壹行)이 중창하였다. 당우로는 대웅전과 요사가 있다. 불상은 미륵불 석좌불과 석가모니불, 보현보살, 문수보살의 삼존불이 모셔...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에서 전해 내려오는 무당이 부르는 노래. 전라북도 고창군에는 세습무 배성녀(裵成女)의 무당굿 사설이 전해지고 있다. 현재 무가(巫歌) 중에 전해지는 것은 김태곤이 1969년 8월부터 1976년 1월에 걸쳐 고창군 해리면 금평리에 거주하는 배성녀[여, 79]에게서 채록한 것이다. 배성녀는 대대로 세습되어 온 무계 고인(鼓人)[악기 담당]인 아버지 배인석과 대대로...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주로 경문을 구송하는 방식으로 행해지는 앉은굿. 독경은 경문을 읽어 악귀를 몰아내고 수복을 기원하는 무속 의례이다. 이를 법사굿, 앉은굿 등이라고도 한다. 본래 독경은 무경(巫經)을 말하는데, 경객(經客)들이 치병을 위하여 축귀할 때 읽거나 길성흉소(吉盛凶消)와 부귀수복(富貴壽福)을 빌어 축원할 때 송독(誦讀)하는 기원문이나 주사(呪辭)를 말한다. 고창 지역...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무경(茂卿), 호는 월촌(月村). 죽곡(竹谷) 이장영(李長榮)의 현손이다. 이익방(李益芳)은 어려서부터 효행이 지극했다. 부모가 세상을 떠나자 식음을 전폐하고 슬피 울면서 무덤 옆에 움막을 짓고 정성껏 시묘하였다. 어느 날 꿈속에서 죽은 어머니가 나타나 약 세 알을 주면서, “이 약을 먹으면 아들 셋을 둘 것이다.”라고 했다...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무림리는 행정구역 개편 시 중심 마을인 임리(林里)의 이름에서 ‘숲말’이라고 하여 무림리(茂林里)가 되었다. 1700년대 초 파평윤씨(坡平尹氏) 윤치중(尹致中) 등이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흥덕군(興德郡) 일남면(一南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임리·만화리(萬化里)·야...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에 있는 솟대. 일반적으로 짐대를 솟대라고 부르는데, 마을 현지에서 주민들은 솟대를 솟대라고 부르지 않고, 짐대, 오리짐대, 진대 등으로 부른다. 짐대는 대체로 마을 입구에 세워지는데, 긴 장대 위에 오리를 한 마리, 또는 세 마리를 올려 장식해 놓는 게 일반적이다. 짐대는 대체로 화재막이 짐대가 많고, 동시에 짐대라는 용어에는 풍수지리적으로 압승형의...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 임리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당산. 임리마을에는 앞당산과 뒷당산이 있다. 앞당산은 마을 입구에 위치하는 할미 할애비당이라 불리는 돌 당산이다. 뒷당산은 마을 뒤쪽에 있는 천룡 당산이라 부르는 곳이다. 천룡 당산은 천룡이 내려와 정주하는 곳을 의미하고, 천룡은 하늘의 용이라는 영물을 뜻한다. 고창 지역 농민들은 농사철을 앞두고 당산제를 지낼 때 하늘의 용...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 임리마을에 있는 당산. 임리마을 앞쪽에는 ‘할미할애비당’이라 불리는 돌 당산이 있고, 마을 뒤쪽에는 천룡 당산나무가 있어, 음력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무사 안녕을 비는 앞당산제와 천룡제(天龍祭)를 지낸다. 임리마을은 고창읍에서 신림 방면으로 가는 길에 있다. 마을의 앞쪽에 입석이 있는데, 이를 ‘할미할애비당’이라고 부르며,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 여긴...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 임리마을에 있는 당산. 임리마을 앞쪽에는 ‘할미할애비당’이라 불리는 돌 당산이 있고, 마을 뒤쪽에는 천룡 당산나무가 있어, 음력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무사 안녕을 비는 앞당산제와 천룡제(天龍祭)를 지낸다. 임리마을은 고창읍에서 신림 방면으로 가는 길에 있다. 마을의 앞쪽에 입석이 있는데, 이를 ‘할미할애비당’이라고 부르며,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 여긴...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무당을 중심으로 민간에 전승되는 습속. 무속 신앙은 그 범주가 너무 넓어 단적으로 표현하기 힘들다. 대개 외래 종교인 불교, 유교, 기독교의 상대적 개념으로 이해되어 오지만 역사적 변천 과정에 따라 또 이들과 충돌하고 습합하면서 전개되어 온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흔히 샤머니즘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전라북도 지역의 씻김굿과 앉은굿 등의 병존 현상을 고려해 볼...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 속하는 법정리. 무송리는 옛 무송현(茂松縣)의 터라서 ‘무송(茂松)’이라고 하였다 한다. 형성 시기는 뚜렷하지 않으나, 조선 중기 광산김씨(光山金氏), 진주강씨(晋州姜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원송면(元松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용두리(龍頭里)·금사리(金沙里...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무송리에 있는 고려 시대 불상. 무송리 석불좌상은 성송면 무송리 갈산마을 뒷산에 진주강씨와 진주정씨 재실의 중간 부분인 야산에 봉안된 것으로, 앞뒷면에 선각과 조각 기법을 사용하였다. 2002년 11월 15일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97호로 지정되었다. 무송리 석불좌상은 가운데가 잘록한 주형의 광배(光背)를 지녔으며, 머리는 소발로 표현되었고, 육계는 매우...
-
유금필을 시조로 하고 유녹숭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무송유씨(茂松庾氏)는 고려 시대 정1품인 태사(太師) 충절공 유금필(庾黔弼)을 시조로 한다. 유금필은 고려 때 태조를 도와 삼한 통일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통합삼한익찬공신에 봉해지고 태사에 오른 인물이다. 4세 유장신은 평산유씨(平山庾氏)의 중시조가 되었고, 5세 유녹숭(庾祿崇)은 무송유씨의 중시조가 되었다....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낙양리에 있는 개항기 무송유씨 가문의 정려각. 무송유씨(茂松庾氏) 가문의 충신, 효자, 열녀에게 정표가 내려져, 합동으로 무송유씨 삼강문을 건립하였다. 충신인 유영룡(庾泳龍)은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가산을 털어 의병을 이끌고 근왕(勤王)하다가 청주에 이르러 화의가 이루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통곡하고 돌아왔다. 유영룡이 죽은 후에 조정은 통훈대부 사헌부감찰(贈通訓...
-
고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고창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地理志)」 무령군조에 "본디 백제의 송미지현(松彌知縣)이다.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는데, 지금 이를 그대로 쓰고 있다[茂松縣 本百濟松彌知縣 景德王改名 今因之]."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무장현조에 "무송현(茂松縣)은 본래 백제의 송미지현(松彌知縣)이었는데, 신라에...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이루어지는 무용인들의 창작 활동. 몸짓으로 자신의 의지를 표현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무용은 인간이 취락 집단을 형성하면서부터 자연에 대한 외경(畏敬)과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종교 의식이나 무속 행사의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후 왕권 정치가 확립됨과 더불어 오늘날과 같은 무용 본래의 개념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궁중에서는 전문...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에 있는 원불교 교당. 1969년에 원불교 고창교당의 최유권 교무가 직접 해리에 나가 법회를 보면서 해리와 고창의 중간 지점인 무장에 교당 건립의 뜻을 두었다. 출장 법회가 중단되자 해리의 윤심월명 교도와 무장의 김관유화 교도 등은 원불교 고창교당을 내왕하면서 법회를 보았다. 1970년 12월부터 다시 원불교 고창교당 심창덕 교무가 매월 두 차례에 걸쳐...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무장교회는 그리스도로 인한 구원의 확신을 갖고 인간의 고난을 인내하며 소망 중에 살게 하고, 복음 안에서 우상과 미신적인 풍습을 벗어나기를 목표로 하는 교회이다.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9년 3월 3일 도대선 선교사와 남대리 선교사가 고창군 무장면 정거리에 마련한 초가삼간에서 개척 예배를...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에 있는 작은 도서관. 전라북도 고창군에서는 2008년 12월 개관한 고창군립도서관을 비롯하여 2009년부터 면 단위의 작은 도서관을 개관해 군민들에게 문화공간과 독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2009년 아산선운산작은도서관, 글마루작은도서관, 고수해마루작은도서관 건립에 이어 2010년 고창군립성호도서관, 2012년 대산큰별작은도서관을 건립, 개관하였고 2...
-
1894년 3월 고창 지역의 무장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 1894년 1월 고부에서 봉기한 농민들은 군수 조병갑을 축출하고 백산 등지에서 머물렀으나 후임 군수 박원명의 설득으로 3월 초에 해산하였다. 그러나 안핵사 이용태가 도착하여 고부봉기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농민들에 대한 횡포가 극심해지자, 무장으로 피신하였던 전봉준 등의 농민군 지도부는 3월 16일경부터 무기를 제작하고 군사 훈...
-
김선을 시조로 하고 김자진을 입향시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의 세거 성씨. 무장김씨(茂長金氏) 시조인 김선(金璇)[1343~1414]은 김해김씨의 시조인 가락국 김수로왕(金首露王)의 56세손으로, 고려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장사군(長沙君)에 봉해졌고, 1375년 공민왕이 서거한 뒤 벼슬을 버리고 장사현으로 낙향하여 정착하였다.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김해김씨에서 분관하여 김선을 장사김...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무장리는 무장현의 소재지였으므로 무장(茂長)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이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중거(中巨)·정거(井巨)·하거(下巨)·사죽(射竹)·덕림·고라·이동·상성 각 일부를 병합하여 무장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다. 무장리는 무장면의 중심부에 있다. 2010년 3월 기준 면적은...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행정구역. 1417년 무송현과 장사현을 합병할 때 두개의 현의 중간 지점에 해당된 곳에 무장현이 자리를 잡으면서 생긴 지명이다. 백제 시대에 송미지현과 상노현에 속하였고, 757년(경덕왕 16) 송미지현을 무송현으로, 상노현을 장사현으로 각각 개칭하였으며, 1417년(태종 17) 무송현과 장사현을 무장현으로 통합하였다. 조선 말기에는 무장군 이동면(二東面)...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도산리에서 정월 대보름 전야에 주민들의 복을 빌기 위한 마당밟이를 하면서 행하는 굿. 무장면 도산마을 매굿은 매년 음력 정월 열 나흗날 밤에 가가호호 방문하면서 마당밟이 하는 것을 시작으로 이튿날 대보름까지 이어지는 줄다리기 굿, 그리고 당산석에 옷을 입히는 의례까지를 포함하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협의의 매굿은 마당밟이만을 지칭하지만 대보름 굿 전체를 광...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목우리에 있는 마을 정자. 무장면 목우리 모정은 당산나무 옆에 있는데, 규모가 짜임새 있으며 여름이면 사람들에게 쉼터 역할을 한다. 마을 경로당에서 동쪽으로 200m 거리에 수령이 600년 이상 되었다는 팽나무가 한 그루 보이는데, 이것이 마을의 당산나무이며, 그 옆에 모정이 있다. 예전에 마을에 모정이 없어 마을에서 걸립하여 모정을 세웠다. 상량문에 따르면...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에 있는 풍물 단체. 무장면 무장읍성 놀이마당농악단은 회원들의 취미 활동을 위해 설립되었다. 1998년 무장면 농악단을 창단하였고, 2000년 제1회 고창농악경연대회를 계기로 무장면 무장읍성 놀이마당농악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정월 대보름 때 각 마을을 돌며 매굿을 치고, 선운사나 동호해수욕장에서 단합대회 겸 연습을 하기도 한다. 무장면민 체육대회,...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에 있는 무장면 관할 행정 기관. 무장면사무소는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과 관련된 지방 행정의 기초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무장면은 백제 시대에 지금의 성송면, 대산면, 무장면의 일부였던 송미지현(松彌知縣)에 속해 있었으며 신라 시대에 무송현(茂松縣)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인 1417년(태종 17)에 이웃 장사현(長沙縣)과 합하여 무장현(茂...
-
1894년 3월 고창 지역의 무장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 1894년 1월 고부에서 봉기한 농민들은 군수 조병갑을 축출하고 백산 등지에서 머물렀으나 후임 군수 박원명의 설득으로 3월 초에 해산하였다. 그러나 안핵사 이용태가 도착하여 고부봉기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농민들에 대한 횡포가 극심해지자, 무장으로 피신하였던 전봉준 등의 농민군 지도부는 3월 16일경부터 무기를 제작하고 군사 훈...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에서 전승되어 온 공예품. 무장상자(茂長箱子)는 전통적인 색지 공예를 고장의 토산품으로 만든 대표적인 가내 수공업이다. 조선 말 고종 연간의 무장읍 내에 살았던 김영운(金永運), 김영휘, 김영보, 김열려 등의 형제들에 의해 전승되었다. 후손들의 말에 따르면, 김영운의 고조인 김세홍(金世泓)은 어린 시절부터 손재주가 뛰어나 무엇이든 잘 만들었다고 한다....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에 있는 정기 시장. 무장시장은 5일과 10일에 개장되고 있는 규모가 작은 면단위 5일 시장이다. 1965년 2월에 개설되었으며 1995년 시장 건물이 신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7년에 화장실 신축 공사를 진행하였다. 대지 면적은 6,268㎡에 건물 연면적[매장 면적]은 1,393㎡이며 건물 구조는 경량 철골구조 샌드위치 판넬로 되어 있다. 부...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에 있는 조선 시대 비석군. 무장읍성은 1417년(태종 17) 병마사 김저래가 여러 고을의 백성과 승려 등 주민 2만여 명을 동원, 흙과 돌을 섞어 축조하였다. 1991년 2월 21일 사적 제346호로 지정되었으며, 성의 남문인 진무루가 옛 정취를 자아내고, 성내에는 객사, 동헌 등 옛 건물이 그대로 남아 있다. 건물 주변에는 여러 가지 유구들이 산재해...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동학 농민 혁명의 무장기포를 기념하기 위하여 매년 열고 있는 축제. 고창 지역은 1894년 3월 20일 동학농민혁명의 전국적 전개를 알리는 무장기포가 일어난 곳으로 동학 농민 혁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동학농민혁명 당시 농민군 내부에서 가장 강력하고 중심적인 활동을 하였던 전봉준의 태생지이며, 동학 대접주 손화중의 근거지였다. 2008년 2월...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무장제일교회는 ‘희년을 준비하는 교회’를 표어로, 예수 그리스도 복음을 전파하는 교회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을 만인에게 알려 복된 삶을 살게 하고, 지역 사회 복음화를 위해 설립되었다. 1960년 5월 8일 진규선 장로 집에서 김강수, 김선례, 조옥기, 박금성 등의 교인이 예배를 보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98...
-
조선 시대 고창 지역의 군사 조직. 조선의 군사제도는 고려의 유제를 답습하였다. 각 도마다 전담 도절제사(都節制使)가 있어군사 행정과 전투 수행을 책임졌다. 1397년(태조 6) 태조는 군사 단위로서의 도를 폐지하고 각 도에 진(鎭)을 설치하여 도절제사 대신 첨절제사를 두고 부근 군현의 병마를 통괄하는 동시에 도관찰사의 감독을 받게 하였다. 이에 따라 전라도를 비롯하여 충청도, 경...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백양리 기슭에서 발원하여 강남리에서 주진천[인천강]에 합류하는 하천. 무장천은 무장면에서 발원하기 때문에 무장천으로 불리고 있다. 『고창군지(高敞郡誌)』의 하천 현황에 보면 무장천은 주변 하천을 합류한 전체의 명칭이다. 대체로 무장천의 유역이 옛 무장 관내이기에 그렇게 불렀다. 무장천은 선동천(仙洞川)·월계천(月溪川)·학천천(鶴天川)·정동천(鼎洞川)·대산천(...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초·기본 학습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어린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알고 계발하는 어린이, 기본 생활 습관과 바른 인성을 토대로 더불어 사는 어린이, 건강한 정신과 튼튼한 몸을 지닌 어린이 강한 어린이, 100년의 꿈을 키워 가는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09년 8월 23일 사립 무창학교와...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교흥리에 있는 조선 시대 국립 교육 기관. 향교는 기본적으로 봉사와 교육의 기능이 있다. 따라서 향교는 사당에 해당하는 대성전과 동·서무, 그리고 강당인 명륜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와 맹자를 비롯한 중국의 성현 72인, 우리나라의 명현 18인의 위패가 있으며, 정기적으로 제사를 올리도록 되어 있어 선현 봉사의 사당 역할을 한다. 고창군에서 무장...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교흥리에 있는 무장향교 대성전. 조선 왕조는 개창 후 일읍 일교(一邑一校)의 원칙에 따라 수령이 파견된 지역에 교육기관인 향교를 설립하였다. 각 고을에 설치된 향교는 교육의 기능과 함께 성현인 공자를 배향하고 지방민을 교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워졌다. 또한 무장향교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한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배향하는 곳이다. 무장향교는 고창읍에서...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교흥리에 있는 유교 단체. 무장향교는 1420년(세종 2) 지금의 자리인 무장면 교흥리 109-1번지[교흥교촌길 9]에 창건되었다. 1600년(선조 33) 대성전(大成殿)·명륜당(明倫堂)·동재(東齋)·서재(西齋)의 내외 3문을 지금의 자리에 중건하였고, 1840년(헌종 6) 명륜당이 불에 타 1842년(헌종 8) 봄에 중건하였으며, 1852년(철종 3) 동재...
-
고창 지역에 설치된 조선 전기의 행정구역. 조선 시대에 현(縣)은 지방 행정구역인 주부군현(州府郡縣) 가운데 가장 낮은 단위의 행정구역이다. 현은 지방 행정구역상 독자적으로 존재하면서도 군과 연결 지어 생각할 수 있는데 군현제도가 그것이다. 군과 현은 군이 현을 거느리는 행정적 상급 단위라기보다는 병렬적 관계였다. 군현제도는 지방을 통치하기 위한 행정 체계이고, 이는 중앙 집권화를...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에 있는 조선 시대 석축 읍성 및 관아 건물. 1991년 2월 26일 사적 346호로 지정된 무장읍성은 1417년(태종 17) 무송현(茂松縣)과 장사현(長沙縣)을 합쳐 그 중간 지점에 무장현을 두고 축조한 건물이다. 남문과 동문 등 2개의 성문이 있었으며, 그중 남문인 진무루(鎭茂樓)는 복원되어 있다. 성내에는 취백당(翠白堂)의 동헌과 송사지관(松沙之館...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군. 본관은 남평(南平)이다. 1856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서 태어났다. 문덕중이 동학에 입교(入敎)한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무장의 손화중(孫華仲) 포의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송문수(宋文洙), 고순택(高舜澤)과 함께 동학 농민 혁명에 참여하여 1894년 3월 20일 무장 기포와 백산 봉기에 관여하였다. 9월의 2차 동학 농민 혁명...
-
고려 말에서 조선 초 고창 출신의 문신. 윤회(尹淮)는 조선 초의 대표적인 문한관(文翰官)으로서 국가의 여러 편찬 사업에 참여하고 많은 글을 지었으며, 경연에서 여러 차례 경사(經史)를 강론하였다.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청경(淸卿), 호는 청향당(淸香堂). 증조할아버지는 고려 말 첨의찬성사를 지낸 문정공(文貞公) 율정(栗亭) 윤택(尹澤)이며, 할아버지는 『고려사(高麗史)』 효...
-
조선 전기 고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문소(文素), 호는 영모당(永慕堂). 아버지는 찬의(贊儀)를 지낸 김복중(金福重)이다. 김질(金質)은 천성이 온순하고 단정하며 효심이 지극하여 양친을 지성으로 모셨다. 어머니의 명에 따라 1528년(중종 23) 진사시에 올랐을 뿐,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만 전심하였다. 1508년(중종 3) 어머니의 상을 당해 여막(廬...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조양(兆陽)이며, 초명은 문수(文洙), 본명은 종문(鍾文)이다. 천서(天瑞)는 자이다. 1864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인성리 석우촌에서 아버지 임석황(林錫璜)과 어머니 울산김씨(蔚山金氏)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임천서는 동학 농민 운동의 준비 단계부터 전봉준(全琫準)과 각별한 관계를 맺고 일을 계획했다고 한다....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에 있는 문수사 앞을 흐르는 계곡. 문수사 앞을 흐르는 계곡이므로 문수계곡이라 부르고 있다. 문수계곡은 약 2㎞이며, 울창한 숲이 우거져 가을이면 붉게 물든 단풍과 함께 천년고찰 문수사의 볼거리로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문수사 주차장과 좌측 나무다리가 있는 계곡에 ‘산(山)’ 모양의 큰 바위가 있다. 이 바위에 한석산(寒石山)이라고 새겨진 곳이...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문수사에 있는 조선 시대 돌로 된 승려상. 「문수사 사적기」에 의하면 신라 승 자장율사가 당나라에 건너가 청량산에서 삼칠기도를 한 후 문수보살의 계를 터득하고 귀국하여 우연히 이곳을 지나다가 산세가 당나라의 청량산과 비슷하여 굴속에 들어가 7일 동안 기도하자 문수보살이 나타나서 이곳에 문수도량을 개설하였다고 한다. 이곳에 조성된 문수사 석조승상은 20...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의 말사. 고창군의 진산인 방장산(方丈山)에서 남북을 가르며 서남쪽으로 뻗어 내리다가 우뚝 선 문수산[621.1m]의 북쪽 기슭[높이 320m]에 자리 잡은 문수사는 사적기에 의하면 643년(의자왕 3)에 신라의 자장율사가 창건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문수산에는 여러 가지 명칭이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에 있는 조선 시대 문수사의 중심 전각. 취령산 중턱에 있는 문수사는 644년(의자왕 4)에 자장율사가 세운 사찰이다. 당나라 청량산에서 열심히 기도하던 자장율사는 꿈속에서 문수보살을 만나 부처의 뜻을 깨닫고 귀국하였다. 우연히 은사리 지역을 지나다가 산의 형세가 청량산과 비슷하여 머물러 기도하던 중 문수보살이 땅에서 솟아올라 이곳에 문수도량을 설하였다...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문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불상. 문수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 맞배지붕 건물로, 삼세불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석가모니불이 104.5㎝, 약사불이 88.5㎝, 아미타불이 87.5㎝의 높이다. 문수사 목조삼세불상의 조성 연대는 ‘한산전(寒山殿)’에 걸려 있는 「문수사창건기」 및 「고창현취령산문수사한산전중창기(高敞縣鷲嶺山文...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문수사에 있는 조선 시대 목조 지장보살과 시왕상. 명부전은 대웅전 왼쪽에 북향으로 있으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서 내부에 목조지장보살좌상 1좌와 시왕상 10좌 등 총 11좌의 불상이 봉안되어 있다. 원래는 이외에도 인왕상 2좌 등 총 13좌가 봉안되어 있으나 2004년에 도난을 당하였다.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은 2004년...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수보살을 봉안한 전각. 문수사 문수전은 문수보살을 봉안한 전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상원사 대웅전에 봉안된 문수보살상이 대표적이며, 그 외에 영암 도갑사의 문수동자상이 있다. 그러나 문수사 문수전의 문수보살상이 승상의 모습으로 봉안된 곳은 문수사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고창군의 영광, 함평 쪽으로 16㎞ 정도 직진하여 왼쪽에 있는...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문수사에 있는 조선 시대 승탑. 문수사 부도는 8각 원당형, 원당형의 형식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 부도는 844년(문성왕 6)에 세워진 염거화상 부도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형식은 8각 원당형이다. 이 형식은 하대석, 중대석, 상대석 등의 기단부는 물론 탑신부, 지붕돌[옥개석], 상륜부까지 모두 8각으로 조성한 것으로 통일 신라 이후 조선 시대까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문수사에 있는 조선 시대 돌로 된 승려상. 「문수사 사적기」에 의하면 신라 승 자장율사가 당나라에 건너가 청량산에서 삼칠기도를 한 후 문수보살의 계를 터득하고 귀국하여 우연히 이곳을 지나다가 산세가 당나라의 청량산과 비슷하여 굴속에 들어가 7일 동안 기도하자 문수보살이 나타나서 이곳에 문수도량을 개설하였다고 한다. 이곳에 조성된 문수사 석조승상은 20...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와 전라남도 장성군 서삼면에 걸쳐 있는 산. 문수사 사찰 연기 설화에 의하면, 자장이 당나라에서 귀국하는 길에 이곳을 지나게 되었다고 한다. 문수산이 당나라에서 수행하였던 청량산과 같은 느낌을 주어서, 문수산 석굴에서 7일 동안 정성껏 기도를 드렸다. 그러던 어느 날 땅 속에서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나오는 꿈을 꾸고, 꿈에서 나온 장소를 파보니 문수석상...
-
고려 후기 고창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중덕(仲德), 호는 율정(栗亭). 증조할아버지는 무송현 호장 윤양비(尹良庇)이고, 할아버지는 충렬왕 때 정헌대부(正獻大夫) 국학대사성 문한사학(國學大司成 文翰司學)을 지낸 청백리 윤해(尹諧)이다. 아버지 윤수평(尹守平)은 일찍 세상을 떠났으며, 어머니는 진례군부인(進禮郡夫人) 김씨이다. 아들은 고려 말 이미 『주자가례(朱子家...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와 선운리에 걸쳐 있는 산. 소요산은 소요대사가 창건한 소요사에서 따온 이름이다. 소요사는 풍수지리상 제비가 보금자리에 깃든 형상의 연소혈(燕巢穴)로, 소요산 목울대 부근[소요산 동쪽 암벽 아래]에 있다. 소요산의 별칭은 높이가 같은 경수산[경수봉]과 형제처럼 나란히 솟아서 형제봉으로 불리며, 두 개의 산중에서 하나가 흥하면 하나는 쇠퇴한다는 속설이 있...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와 문자로 표현한 예술 및 그 작품. 고창 지역은 옛날부터 학문대도를 걷는 많은 선비들이 배출된 곳으로 유명하다. 조선시대 고창 지역에서는 유교 문화의 보급과 교육을 위해 고창향교, 흥덕향교, 무장향교 등과 학당들이 조선 초부터 세워지기 시작하여, 조선 전기의 윤회(尹淮)[1380~1436]나 후기의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17...
-
전라북도 고창 지역 출신의 문인들에 의해 조직·운영되는 문학 활동을 하는 단체. 고창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 교사·학생·문인들의 혼합 구성체였던 모양문학회의 창립총회가 1959년 2월 15일에 개최되었다. 전국 군 단위에서 처음으로 갖게 된 이 행사에는 고창 군수·윤병하 고창경찰서 서장·이아영 고창교육장·김성식 고창중학교 교장·김영수 고창농협조합장·김판순 삼남일보 사장·유동총 고창군...
-
전라북도 고창 지역 출신의 문인들에 의해 조직·운영되는 문학 활동을 하는 단체. 고창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 교사·학생·문인들의 혼합 구성체였던 모양문학회의 창립총회가 1959년 2월 15일에 개최되었다. 전국 군 단위에서 처음으로 갖게 된 이 행사에는 고창 군수·윤병하 고창경찰서 서장·이아영 고창교육장·김성식 고창중학교 교장·김영수 고창농협조합장·김판순 삼남일보 사장·유동총 고창군...
-
전라북도 고창 지역 출신의 문인과 이들이 만든 단체에서 운영하는 행사. 1959년 모양문학회와 1968년 동리문학회가 출범하고, 1990년대에는 고창문학회가 등장하며, 1998년 2월 14일 모양문학회와 고창문학회가 통합하였다. 고창 지역에서 2011년 현재 활동하고 있는 문학 단체에는 한국문인협회 고창지부이다. 1960년 1월 3일 모양문학회에서는 동인지 『모양촌』 제1집을 발간...
-
전라북도 고창 지역 출신의 문인과 이들이 만든 단체에서 운영하는 행사. 1959년 모양문학회와 1968년 동리문학회가 출범하고, 1990년대에는 고창문학회가 등장하며, 1998년 2월 14일 모양문학회와 고창문학회가 통합하였다. 고창 지역에서 2011년 현재 활동하고 있는 문학 단체에는 한국문인협회 고창지부이다. 1960년 1월 3일 모양문학회에서는 동인지 『모양촌』 제1집을 발간...
-
조선 전기 고창 출신의 문신. 윤자운(尹子雲)의 집안은 고려 시대부터 이름 있는 가문이었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 사신(史臣)은, 그를 성품이 편협하고 아무런 재능이 없으면서도 의정부의 고관이 되어 별다른 정책을 건의한 것도 없으며,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에는 협박을 받고 적이 조정을 속이려는 문서에 서명하고 적을 대할 때마다 대인(大人)이라 칭하였다고 혹평하였다....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음악, 미술, 연극, 영화 등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고창 지역은 예부터 산자수려(山紫水麗)하고 멋과 풍류를 즐기는 고장이었다. 선사시대 고인돌 문화가 유유히 내려오는 고장이며, 고대 삼국시대 백제 문화권에 속해 있어 「선운산가(禪雲山歌)」·「방등산가(方等山歌)」 등 백제 가요가 산재한다. 서당과 향교가 많은 데서도 알 수 있듯 학문을 사랑하고, 풍류를 즐기...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음악, 미술, 연극, 영화 등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고창 지역은 예부터 산자수려(山紫水麗)하고 멋과 풍류를 즐기는 고장이었다. 선사시대 고인돌 문화가 유유히 내려오는 고장이며, 고대 삼국시대 백제 문화권에 속해 있어 「선운산가(禪雲山歌)」·「방등산가(方等山歌)」 등 백제 가요가 산재한다. 서당과 향교가 많은 데서도 알 수 있듯 학문을 사랑하고, 풍류를 즐기...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문화 시설. 고창문화의 전당이 건립된 2008년 12월 5일 이전까지 고창군의 문화 행사와 관련된 대표적인 전시·공연장은 1988년 착공하여 1990년 완공된 동리국악당이었다. 그러나 동리국악당은 총 500석 수용 규모에다 작은 무대로 인해 수준 높은 공연물을 유치하기에 부족함이 많았고 시간이 흐를수록 일반 기념 행사장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 있는 국가 및 지방 지정 문화유산. 문화재는 유형에 따라 유형문화재·무형문화재·기념물·민속자료 등으로, 지정 여부에 따라 지정문화재와 비지정문화재 등으로 구분한다. 2010년 현재 고창군에는 국가지정 문화재 23점[보물 5점, 사적 5점, 천연기념물 7점, 중요민속문화재 2점, 국가무형문화재 1점, 등록문화재 2점, 명승 1점], 도 지정 문화재 54점[유형문...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상평리 조산사에 배향된 조선 전기 문신. 강릉 유씨(江陵劉氏)는 거창 유씨(居昌劉氏)에서 분적(分籍)한 계통으로 도시조(都始祖) 유전(劉筌)의 9세손 유승비(劉承備)를 시조로 받들고 있다. 유창(劉敞)[1352~1421]은 유전의 12세손으로 강릉 유씨 중시조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이다. 고창 지역의 강릉 유씨 집성촌은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상평리와 아산면 중...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명서(名瑞), 호는 물기재(勿欺齋). 1447년(세종 29) 문과에 급제하여 세종에서 세조 조에 이르기까지의 명신으로 이름난 강희맹(姜希孟)의 11세손이다. 강희맹의 둘째 아들 강학손(姜鶴孫)의 여섯째 아들 강흔수(姜欣壽)가 강응환(姜膺煥)의 9대조인데, 그의 6대조 강계오(姜繼吳)가 전라남도 영광에서 외가인 무송유씨(茂松庾...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물떼새과에 속하는 조류. 몸길이는 45㎝, 날개 길이는 23~28㎝ 정도이다. 다른 종과 구별이 뚜렷한 붉은 부리와 핑크빛 다리를 가지고 있다. 암컷과 수컷 여름 깃의 이마와 목은 검은색이고, 눈 밑은 흰색 작은 무늬가 있다. 눈꺼풀은 붉은 오렌지색이다. 어깨깃 윗등은 검은색이고 윗가슴에는 검은색 띠가 있는데 목의 검은색 부분과 이어져 있다. 아랫등, 허...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물떼새과에 속하는 조류. 몸길이는 45㎝, 날개 길이는 23~28㎝ 정도이다. 다른 종과 구별이 뚜렷한 붉은 부리와 핑크빛 다리를 가지고 있다. 암컷과 수컷 여름 깃의 이마와 목은 검은색이고, 눈 밑은 흰색 작은 무늬가 있다. 눈꺼풀은 붉은 오렌지색이다. 어깨깃 윗등은 검은색이고 윗가슴에는 검은색 띠가 있는데 목의 검은색 부분과 이어져 있다. 아랫등, 허...
-
부안면 선운리 진마마을 도깨비집 입구에 있는 웃돔샘[마을 우물]은 예전부터 마을의 중요한 식수원이었다. 마을의 동네 아낙들은 이 우물가에 옹기종기 모여 앉아 먹을 물을 긷거나 길어 올린 물로 빨래를 했다. 모름지기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공간에는 이런저런 이야기들이 피어나기 마련이다. 하물며 노란 국화가 심심치 않게 피어 있는 향기로운 진마마을의 우물가였으니, 게다가 지금은...
-
부안면 선운리 진마마을 서정주 시인의 생가 바로 옆에는 ‘우하당(又下堂)’이란 현판이 걸린 작고 아담한 초가 한 채가 서 있다. 그리고 그 안에 서정주 선생의 동생 서정태[1923년생] 씨가 살고 있다. 우하당 주인의 첫인상은 무척이나 깔끔했고, 그러면서 선비의 기품이 느껴졌다. 여든 살이 넘은 고령의 할아버지가 사는 집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깨끗하게 정리된 집 안을...
-
전라북도 고창 출신의 시인. 서정주(徐廷柱)는 탁월한 언어 감각과 누구도 밟아 보지 못한 토속어로 일군 빼어난 시의 미학을 보여 준 언어의 연금술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는 친일문학을, 이승만과 전두환의 독재 시절에는 독재를 미화하는 글을 써 기회주의적 어용 문인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미당의 아버지 서광한은 무장에서 향시를 보아 장원을 하였고, 1909년 일제가...
-
중앙일보사에서 매년 11월 3일 미당 서정주의 문학 정신을 기려 시 창작 우수자에게 주는 문학상. 2000년 12월 24일 미당 서정주가 세상을 떠난 뒤 언론·학계·문인·제자들이 미당 서정주의 문학 정신을 기리고 시 창작 우수자를 발굴하고자 논의하여 제정하였다. 2001년 황동규 「탁족濯足」, 2002년 정현종 「견딜 수 없네」, 2003년 최승호 「텔레비전」, 2004 김기택 「...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미당시문학관에서 매년 열고 있는 문학제. 미당문학제는 매년 다양한 질마재 국화꽃밭을 중심으로 중앙일보사가 주최하는 ‘미당문학상’과 ‘미당백일장’ 시상식이 열리고, 동국대학교가 주최하는 ‘미당학술대회’가 개최되며, 질마재 주민과 전국 문인들이 서정주의 『질마재신화』 책 내용의 ‘질마재 신화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가운데 열린다. 2005미당문학제에서는 ‘미...
-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에 있는 미당 서정주 문학관. 미당시문학관은 20세기 한국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인 미당 서정주 업적을 보존, 선양하기 위하여 고창군과 제자 및 유족들의 뜻에 따라 개관되었다. 20세기 한국의 대표적 시인인 미당 서정주의 문화적, 예술적 가치 향유를 통한 문화 창달과 한국 문학의 역사성과 우수성을 알리는 범세계적 시문학 순례지 조성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
미당 서정주 시인이 태어난 부안면 선운리 진마마을에서는 질마재문화축제위원회와 미당시문학관, 동국대학교 등에서 해마다 국화꽃이 만발할 때 주최하는 ‘질마재문화축제’와 ‘미당문학제’ 등이 열린다. 이런 축제날에는 상상만으로도 흥겨워지는 행사들이 펼쳐지는데, 미당의 시문학을 기리는 의미의 각종 학술 행사뿐만 아니라, 문학 강연과 시낭송 대회 및 콘서트, 각종 마을 생활 체험...
-
1894년 전라도 고부에서 농민 봉기가 발발한다. 1890년대 호남 지방에서 사회 혼란을 틈타 미륵 신앙이 성행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고창 선운사 도솔암의 마애불의 배꼽에 장식되어 있고, 그 ‘배꼽’과 ‘미륵비결’ 설화가 관련되어 있다. 선운사 「석불비결 설화」의 주체는 무장에 도소를 둔 동학 접주 손화중(孫化中)이 주체이지만, 동학도라기보다는 손화중이 이끄는 농민군이었다. 봉건...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선운사에 있는 마애불.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은 선운사 도솔암 내원궁이 있는 칠송대라는 암봉의 남벽 단애에 조각된 거대한 마애불상으로, 한때 미륵불이라고 불렀다. 전설에 의하면 백제 위덕왕이 검단선사(黔丹禪師)에게 부탁하여 암벽에 마애불을 조각하고, 동불암(東佛庵)이라는 공중누각을 짓게 하였다고 한다. 낮은 부조와 음각선을 적절히 사용하였다...
-
전라북도 고창군의 신앙 중 이상적인 미래 사회를 제시하는 미래불로서의 미륵불과 미륵보살을 믿는 불교 신앙. 미륵 신앙은 상생 신앙과 하생 신앙의 구도를 갖추고 있다. 미륵 상생 신앙은 사후에 극락왕생하여 도솔천 내원궁에서 천중들에게 교화하는 미륵보살을 친견하기 위하여 도솔천으로 왕생을 서원하는 신앙을 말하는 것이며, 미륵하생신앙은 석가모니 입멸 후에 56억 7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