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서로 다른 민족·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 다문화가정은 보통 국제결혼 가정, 외국인 근로자 가정, 새터민 가정 등을 말한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다문화가정을 ‘우리와 다른 민족·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으로 정의하고 국제결혼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 자녀를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정책 지원 대상으로 삼고 있다. 현재까지 한국인과 결...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서로 다른 민족·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 다문화가정은 보통 국제결혼 가정, 외국인 근로자 가정, 새터민 가정 등을 말한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다문화가정을 ‘우리와 다른 민족·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으로 정의하고 국제결혼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 자녀를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정책 지원 대상으로 삼고 있다. 현재까지 한국인과 결...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일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차나무과의 상록 활엽 관목. 차나무는 다수(茶樹), 가다(家茶), 고다(古茶), 작설(雀舌) 등으로도 불렸다. ‘茶’는 다 또는 차라고 발음하는데, 당나라 때까지 다로 쓰이다가 송나라 때에 이르러 차로 변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차라는 말이 구어로 먼저 들어오고, 다는 후에 들어와 자전(字典)의 음이 되었다....
-
전라북도 고창 출신의 시인. 서정주(徐廷柱)는 탁월한 언어 감각과 누구도 밟아 보지 못한 토속어로 일군 빼어난 시의 미학을 보여 준 언어의 연금술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는 친일문학을, 이승만과 전두환의 독재 시절에는 독재를 미화하는 글을 써 기회주의적 어용 문인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미당의 아버지 서광한은 무장에서 향시를 보아 장원을 하였고, 1909년 일제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성전. 단군성전(檀君聖殿)은 단군전, 단군사묘(檀君祠廟), 단군사우(檀君祠宇) 등으로 불리며, 한국의 국조(國祖)인 단군의 영정이나 위패 등을 두고 봉향하는 사당을 지칭한다. 단군성전의 경우, 1973년 5월 서울특별시에서 인정받아 사직공원 경내 서북쪽에 마련된 단군성전이 주로 알려져 있지만, 단군에 대한 봉향은 역사적으로 왕조 국가 및 민간에...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성전. 단군성전(檀君聖殿)은 단군전, 단군사묘(檀君祠廟), 단군사우(檀君祠宇) 등으로 불리며, 한국의 국조(國祖)인 단군의 영정이나 위패 등을 두고 봉향하는 사당을 지칭한다. 단군성전의 경우, 1973년 5월 서울특별시에서 인정받아 사직공원 경내 서북쪽에 마련된 단군성전이 주로 알려져 있지만, 단군에 대한 봉향은 역사적으로 왕조 국가 및 민간에...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성전. 단군성전(檀君聖殿)은 단군전, 단군사묘(檀君祠廟), 단군사우(檀君祠宇) 등으로 불리며, 한국의 국조(國祖)인 단군의 영정이나 위패 등을 두고 봉향하는 사당을 지칭한다. 단군성전의 경우, 1973년 5월 서울특별시에서 인정받아 사직공원 경내 서북쪽에 마련된 단군성전이 주로 알려져 있지만, 단군에 대한 봉향은 역사적으로 왕조 국가 및 민간에...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성전. 단군성전(檀君聖殿)은 단군전, 단군사묘(檀君祠廟), 단군사우(檀君祠宇) 등으로 불리며, 한국의 국조(國祖)인 단군의 영정이나 위패 등을 두고 봉향하는 사당을 지칭한다. 단군성전의 경우, 1973년 5월 서울특별시에서 인정받아 사직공원 경내 서북쪽에 마련된 단군성전이 주로 알려져 있지만, 단군에 대한 봉향은 역사적으로 왕조 국가 및 민간에...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경옥(景玉), 호는 단옹(檀翁). 증조할아버지는 산촌(山邨) 황재만(黃載萬)이고, 할아버지는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이며, 아버지는 수촌 황일한이다. 황수경(黃秀瓊)은 안촌(安村) 황이후(黃以厚), 구암(龜巖) 황재중(黃載重), 만은(晩隱) 황전(黃廛), 이재 황윤석 등 누대에 걸쳐 이어 오는 문벌 가정에서 출생하여,...
-
개항기 고창 출신의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자는 영심(永心)이다. 영달(永達)은 초명으로 호적에 오른 이름이다. 족보에는 달병(達炳)으로 되어 있다. 1852년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강남리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 때 진주성 대전에서 순절하여 선무원종공신 2등으로 녹훈된 김지남(金志南)의 10세손이다. 김영달은 어린 시절 원촌 사는 김흥섭(金興燮)...
-
고려 후기 전라북도 고창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담연(湛然). 할아버지는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유필(庾弼)이며, 아버지는 공부시랑 유응규(庾應圭)이다. 아우는 금자광록대부 회부시랑을 지낸 유세겸(庾世謙)이다. 큰아들은 이규보와 친교가 두터운 유경현(庾敬玄)이며, 그 아래로 유정규와 유정현을 두었다. 『고려사(高麗史)』에는 유응규와 유자량이 형제로 되어 있...
-
신림면 가평리 가평마을은 지금도 매년 정월이면 당산제를 성대하게 모신다. 당산제를 모시기 위해서는 제관과 화주[제물을 장만하여 제사를 지내는 사람] 선정부터 제물 장만에 이르기까지 깐깐하게 살펴야 하니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특히 당산제를 모실 때 제일 까다로운 것이 바로 제물 장만이다. 제물을 깨끗하게 준비해서 정성껏 대접해야 당산신이 마을을 잘 보살펴주고 해를 주...
-
가평리 가평마을의 철륭할아버지와 당산할머니는 인근에서도 유명한데, 그래서도 마을 사람들은 지금까지 촌제를 모시고 줄다리기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 오늘날까지 가평마을 사람들이 촌제를 정성스럽게 모시는 것은 철륭할아버지와 당산할머니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있기 때문이다. 촌제를 모시기 때문에 마을이 사고 없이 화평하고, 마을 사람들 모두 건강하다고 믿는다. 마을 사...
-
1970년대 말까지만 해도 부안면 선운리 진마마을에서는 정월 대보름이 되면 마을 잔치가 벌어졌다. 마을의 가장 큰 어른이자 마을 수호신인 당산에 제물을 바치고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당산제를 지냈던 것이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마을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면서 중단과 복원을 반복하다 지금은 중단되었다. 진마마을 사람들은 언제부터 당산제를 지냈는지 모른다. 하지만 “...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 동호마을에서 2월 초하루에 지내는 풍어제 성격의 마을 제사. 동호리 동호마을 영신당제는 음력 2월 초하루에 해안 지역 어촌인 동호마을의 신당에서 항해 안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동호리 주민들은 영신당제를 수륙제, 당제, 영신제 등으로 부르고 있는데, 예전에는 동호리의 당제를 2월 20일에 지냈다. 2월 20일은 영등할머니 생일이라서...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는 제당. 당집은 바로 당신(堂神)을 모시는 집이다. 이를 원당이라고도 부른다. 고창 지역의 당산은 나무나 돌이 대부분인데 보통 할아버지, 할머니 등으로 인격화하는 경향이 있다. 당산나무나 당산석이 신체(神體)로 직접적인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이를 형상화하여 그림으로 그려서 모셔 두기도 한다. 당제는 대부분 섣달그믐부터 정월 대보름...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는 제당. 당집은 바로 당신(堂神)을 모시는 집이다. 이를 원당이라고도 부른다. 고창 지역의 당산은 나무나 돌이 대부분인데 보통 할아버지, 할머니 등으로 인격화하는 경향이 있다. 당산나무나 당산석이 신체(神體)로 직접적인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이를 형상화하여 그림으로 그려서 모셔 두기도 한다. 당제는 대부분 섣달그믐부터 정월 대보름...
-
시집살이 이야기만큼 흔한 것이 또 있을까? 어디를 가나 할머니들이 모여 있는 곳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신세 한탄. 그 중에서도 모진 시집살이 이야기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공음면 구암리 구수마을회관에 모여 이야기꽃을 피우는 할머니들 사이에서도 시집살이 이야기는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었다. 그런데 이 시집살이 이야기라는 것이 아무리 들어도 싫증나지 않고 매번 마음이 아픈 것이,...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동리는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대야(大也)의 ‘대’자와 동촌(東村)의 ‘동’자를 따서 대동(大東)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고창군 대야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회진(會津)·쌍천(雙川)·추동(秋洞)·선동(仙洞)·동촌·사동(寺洞)·양정(良丁)·대야 일부, 산내면의 신성(新城)을 병합하여 대동리라...
-
고려 시대 고창 지역에 설치된 특수 행정구역. 부곡(部曲)이란 특수 행정구역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주목(驪州牧) 고적(古跡) 등신장조(登神莊條)에 “이제 살펴보건대 신라가 주군현을 설치할 때 그 전정(田丁)이나 호구(戶口)가 현이 될 수 없는 것은 향 또는 부곡으로 두어 그 소재하는 읍에 속하게 하였다.”라고 한 기록으로 미루어 부곡이 삼국 시대부터 존재했다...
-
조선 후기 고창 지역에 낙향한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대로(大老), 호는 송암(松庵). 강희맹(姜希孟)의 7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진주강씨 고창 입향조인 강계오(姜繼吳)이고, 아버지는 병자호란에 의병으로 참여했던 강시언(姜時彦)이다 강필주(姜弼周)는 1621년(광해군 13) 할아버지 강계오가 연산군 때의 혼탁한 세상을 피해 남하, 은거한 영광 땅에서 태어났다. 이후 5세...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암리는 대리미산 밑이라 ‘대리미’ 또는 ‘덕암(德岩)’이라 하였다고 한다. 1700년대 초 김해김씨(金海金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와공면(瓦孔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평촌리(平村里)·복흥리(福興里)·창평리(昌平里)·지음리(知音里)·응암리(...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대보름은 정월 보름을 말하며,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대보름은 새해가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맞는 명절이다. 따라서 각종 놀이나 명절음식에는 한 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미 그 해 여름을 생각하며 더위에 대비하고, 가을의 풍작을 기원하며 한 해를 마음으로부터 준비하는 것이다....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 새벽에 각 가정 마당에서 대나무를 태우는 세시 풍속. 대불튀기는 대보름날 새벽이 되면 자기 집 마당에서 대나무를 태우는데, 이때에 나는 소리에 때문에 집안의 잡귀가 놀라서 달아나게 하는 풍속이다. 이를 ‘댓불 피우기’라고도 일컫는다. 댓불을 피우면서 집안이 불같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의미 역시 가지고 있다. 고창군 성내면 지역에서는 대보름날...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산정리에 있는 종합 버스 정류장. 1982년 면허 인가를 받아 대산공용정류장으로 건립되었다. 부지 면적은 1,300~1,700㎡이다. 전체 2층 상가 건물 중 1층의 일부 공간[약 33㎡ 내외]을 대산공용정류장의 대합실·매표소·사무실·안내실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외부에 승강장·승차장·주차장·하차장 등이 마련되어 있고, 상가 건물 내에 화장실이 있다. 터미널...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원불교 교당. 1991년 12월 16일에 서덕조 교무에 의해서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10년 현재 교역자는 전해덕 교무이며, 교도는 170여 명에 이른다. 교도 조직으로는 봉공회가 있다. 매 일요일마다 정기 법회가 열린다....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대산교회는 ‘섬겨야 합니다’를 표어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베풀고, 섬김을 실천하는 교회이다. 지역 사회에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고 사랑으로 섬기고 나누기 위해 설립되었다. 1948년 5월 4일 이광현 전도사가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 교동마을 언덕에서 몇몇 신도들과 예배를 함께하면서 시작되었다. 1953년 첫 예...
-
전라북도 고창군에 속하는 행정면.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대제면(大堤面)과 장자산면(壯子山面)에서 ‘대(大)’자와 ‘산(山)’자를 따 대산면(大山面)이 되었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무장군과 흥덕군(興德郡)이 고창군에 통합될 때, 대사면·대제면·장자산면의 대부분과 원송면(元松面)의 일부, 전라남도 영광군 일부 지역의...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풍물 단체. 대산면 태봉농악단은 2000년 제1회 고창농악경연대회를 계기로 고창농악경연대회 참가와 회원들의 취미활동을 위해 설립되었다. 2000년 대산면 태봉농악단이 창단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고창군 대산면의 축제 행사와 재경 대산면민회 행사 등 각종 행사에 참여하여 공연하고 있다. 2000년 제1회 고창농악경연대회 최우수상을 수상했으며 2...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대산면 관할 행정 기관. 대산면사무소는 대산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산면사무소가 설치되었다. 성남리·광대리·덕천리·중산리·매산리·산정리·율촌리·춘산리·연동리·갈마리·해룡리·대장리·회룡리·지석리·상금리 등 15개리로 이루어진 행정구역의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산정리에 있는 종합 버스 정류장. 1982년 면허 인가를 받아 대산공용정류장으로 건립되었다. 부지 면적은 1,300~1,700㎡이다. 전체 2층 상가 건물 중 1층의 일부 공간[약 33㎡ 내외]을 대산공용정류장의 대합실·매표소·사무실·안내실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외부에 승강장·승차장·주차장·하차장 등이 마련되어 있고, 상가 건물 내에 화장실이 있다. 터미널...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정기 시장. 대산시장은 2일과 7일에 개장되는 오일장이다. 대산시장의 이전 명칭은 사가리시장이었으며 조선 시대의 향시로부터 이어져온 전통적인 재래시장으로서 일제 강점기에는 1호 시장으로 분류되었다. 이후 1967년 12월에 대산시장으로 새로 개설되었으며 2005년 시장 건물이 신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지 면적 1,623㎡, 건물 연면적[...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에서 발원하여 대산면을 지나 와탄천에 합류되는 하천. 대산천 은 성송면 무송리·암치리 등에서 발원하여 대산면 덕암리에 이르러서 공음면 건동리와 선동리·용수리 등에서 흘러온 물과 합수한 뒤, 전라남도 영광군에서 와탄천에 합류되어 서해로 흘러든다. 대산천은 대산면을 관통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대산면은 대제면에서 대(大)자와 장자산면에서 산(山)자를...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율촌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스스로 찾아 배우며 꿈을 가꾸는 어린이, 이웃을 사랑하며 충·효·예를 실천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꿈을 가꾸는 어린이, 고장을 사랑하며 공동체 의식이 강한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전하며 아름다움을 지닌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23년 3월 31일 대산공립보통학교를 설립하여, 6월 10일 개교하였다. 194...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군립 도서관. 대산큰별작은도서관은 2012년 6월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대산면주민자치센터를 리모델링하여 설립한 5개의 작은 도서관 중 하나인 군립 도서관이다. 고창군에는 대산큰별작은도서관 외에도 고수해마루작은도서관, 아산선운산작은도서관, 글마루작은도서관, 무장글샘작은도서관 등 총 5개의 작은 도서관이 건립되어 소규모 문화공간이자 독서 공간으로 활...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산정리에 있는 종합 버스 정류장. 1982년 면허 인가를 받아 대산공용정류장으로 건립되었다. 부지 면적은 1,300~1,700㎡이다. 전체 2층 상가 건물 중 1층의 일부 공간[약 33㎡ 내외]을 대산공용정류장의 대합실·매표소·사무실·안내실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외부에 승강장·승차장·주차장·하차장 등이 마련되어 있고, 상가 건물 내에 화장실이 있다. 터미널...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죽림리는 ‘대’[나무]가 많이 있어 ‘대산’ 또는 ‘죽림(竹林)’이라고 하였다 한다. 옛날, 마을에 ‘대’와 ‘삼’이 유명하여 ‘대삼마을’이라고도 불렀다. 1450년 경에 광산김씨(光山金氏) 김남협(金南浹)이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산내면(山內面)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송천리...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자는 대서(大敍), 호는 태호(颱湖)이다. 1853년(철종 4)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서 태어났다. 충장공 정황(鄭璜)의 후손이다. 정영원(鄭榮源)은 일찍이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과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아 경전에 해박하였다. 바른 학행을 몸소 실천하여 주변에 명성이 높았고...
-
개항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대성(大成)이다. 1858년 지금의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 영당리 소골마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윤록이다. 이문교는 어려서 아버지를 따라 무장현 청해면 안산리[현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안산리]로 이사했다가 다시 왕거마을로 옮겨 살았다. 이후 이문교는 외가 사람들의 권유로 동학에 입교(入敎)하였...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매산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진실한 사람, 유능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을 기저로 한 교육 활동을 통해 깊이 생각하고 실천하는 예의바른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48년 5월 1일 대산고등공민학교로 설립하여 1951년 대산중학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1954년 5월 1일 대산면, 대아면, 성송면 3개 면을 상징하는 대성중학교로 개칭하고, 3학급 설...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증산교 계통의 신종교. 대순진리회는 강일순(姜一淳)[1871~1909]을 구천상제(九天上帝)로, 조철제(趙哲濟)[1895~1958]를 옥황상제(玉皇上帝)로 신앙하며 도통진경의 세계를 지향하는 한국의 종교이다. 대순진리회는 박한경(朴漢慶)[1917~1996]이 1969년 서울 중곡동에 본부도장을 창건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박한경은 강일순과 태극도...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하갑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이웃을 사랑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심신이 건강하며 환경을 깨끗이 하는 어린이, 기초·기본 교육을 익혀 지적 능력을 지닌 어린이, 다양한 정보를 분석·처리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어린이, 자신감을 갖고 긍정적으로 자기표현을 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57년 9월 5일 석곡국민학교 대아분교장으로 인가받아...
-
고려 시대 고창 지역에 설치된 특수 행정구역. 부곡(部曲)이란 특수 행정구역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주목(驪州牧) 고적(古跡) 등신장조(登神莊條)에 “이제 살펴보건대 신라가 주군현을 설치할 때 그 전정(田丁)이나 호구(戶口)가 현이 될 수 없는 것은 향 또는 부곡으로 두어 그 소재하는 읍에 속하게 하였다.”라고 한 기록으로 미루어 부곡이 삼국 시대부터 존재했다...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장리는 풍수지리상 마을터가 장군(將軍) 형국이라하여 ‘대장’이라고 불렀다 한다. 1592년경 경주이씨(慶州李氏) 이원호(李元豪)가 임진왜란을 피해 전라남도 장성군(長城郡) 삼서면(森西面)에서 이거하여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장자산면(莊子山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선동리는 풍수지리상 마을의 형태가 부채 모양과 같다고 해서 ‘부채울’ 또는 ‘선동(扇洞)’이라 하였다. 1950년대는 마을 앞에 큰 샘이 있어 ‘대정(大井)’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1490년대에 안동김씨(安東金氏)가 터를 닦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와공면(瓦孔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만돌리에 속하는 유인도. 섬 이름은 섬에 대나무가 무성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대죽도는 내죽도 바깥쪽에 있다고 하여 외죽도라고도 부른다.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고창군 심원면에 편입되었다. 사람이 살고 있지 않다가 1980년에 주민들이 들어와 거주하게 된 섬이다. 고창군 심원면 만돌리와 대죽도 사이의 거리는 약 3㎞이고 해리면 동호...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의 산내 암자. 참당암은 고창 선운산의 여러 사찰과 암자 가운데 가장 먼저 건립된 사찰이다. 창건 연대는 신라 시대로, 지금은 선운사의 산내 암자로 사격(寺格)이 위축되었으나 본래는 거찰이었다. 신라 시대의 의운화상이 개창한 도량이다. 참당암은 송사현[현 무장면] 남쪽에 산이 있어 고성이라 하였고, 기괴하...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증산계의 신종교. 대한불교 미륵종은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 본부를 두고 있는 증산교 계통의 신종교 단체이나, 현재는 대한불교 미륵종으로 등록하여 불교를 표방하고 있다. 1. 김계주의 무을교 창도 전라남도 나주군 반남면 신촌에서 태어난 김계주(金桂朱)[1896~1950]는 원래 보천교인으로서, 광주 무등산에서 추종자들과 함께 수도 생활을 하였다....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증산계의 신종교. 대한불교 미륵종은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에 본부를 두고 있는 증산교 계통의 신종교 단체이나, 현재는 대한불교 미륵종으로 등록하여 불교를 표방하고 있다. 1. 김계주의 무을교 창도 전라남도 나주군 반남면 신촌에서 태어난 김계주(金桂朱)[1896~1950]는 원래 보천교인으로서, 광주 무등산에서 추종자들과 함께 수도 생활을 하였다....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불교 종단의 하나. 대한불교 법화종은 대각국사 의천을 종조로, 십계(十戒)만다라와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법화경(法華經)』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단이다. 그러나 다른 성전을 지송 연구하는 데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주요 의례로는 4개 개념일, 창종기념일[음 5. 10], 창종종정제일[음 8. 17], 대각국사제일[음 10. 5] 등이...
-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불교 종단의 하나. 대한불교 화엄종은 원효대사를 종조로,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화엄경(華嚴經)』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단이다. 종지는 대승불교의 보살행을 실천하여 중생을 교화하며, 화엄의 지관을 닦아 견성성불(見性成佛)을 기하는 한편, 염불문(念佛門)을 별개(別開)하여 왕생(往生)을 발원하는 것이다. 주요 의례로는 석존의 4대 기념일, 원...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대한시조협회 산하 고창 지역 지회. 대한시조협회 고창지회는 조선 후기에 발흥하여 일제 강점기를 거쳐 1950~1960년대까지 고창 지역에서 융성했던 민간 정악 중 성악 부문인 시조·가사·가곡 등의 경창과 관련된 예능인들의 단체로 전국시조경창대회, 전국시조·가사·가곡경창대회 등을 열어 관련 인구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고창 지역에서 융성했던 시조·가사·...
-
조선 후기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고부(古阜). 자는 대현(大顯). 문헌공(文獻公) 이경조(李敬祖)의 후손으로 판서를 지낸 이견의 5세손이다. 이대축(李大畜)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의 병이 깊어지자 변을 맛보고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마시게 했다. 상(喪)을 당해서는 3년간 무덤 옆에서 움막을 짓고 시묘를 하였다. 1592년(선조 25) 진사시에 합격했...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대흥리는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대곡리(大谷里)와 신흥리(新興里)에서 ‘대(大)’자와 ‘흥(興)’자를 따 ‘대흥(大興)’이 되었다. 1590년대에 함평노씨(咸平魯氏)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흥덕군(興德郡) 이동면(二東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신월리(...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 새벽에 각 가정 마당에서 대나무를 태우는 세시 풍속. 대불튀기는 대보름날 새벽이 되면 자기 집 마당에서 대나무를 태우는데, 이때에 나는 소리에 때문에 집안의 잡귀가 놀라서 달아나게 하는 풍속이다. 이를 ‘댓불 피우기’라고도 일컫는다. 댓불을 피우면서 집안이 불같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의미 역시 가지고 있다. 고창군 성내면 지역에서는 대보름날...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림리는 마을 뒤에 있는 계림산(鷄林山)[닭메]에서 유래되었다. 처음에는 닭숲으로 부르다가 덕림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말기 무장군 탁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덕림(德林)·정동(貞洞)·방축(方築) 등을 병합하여 덕림리라 하고 고창군 석곡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강남리에 있는 유창, 유한량을 향사(享祀)하기 위하여 세운 사당. 덕산단은 1955년에 유창(劉敞), 유한량(劉漢良)을 향사(享祀)하기 위하여 단(壇)을 설치하여 정덕단(鼎德壇)이라고 하였다가, 1970년에 유림의 결의에 의하여 덕산단으로 개칭하였다. 유창은 조선 전기의 개국공신으로, 본관은 강릉이고, 초명은 경(敬), 자는 맹의(孟義), 호는 선암(仙庵)이...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덕산리라는 지명은 조선 후기 선비 엄사안(嚴思安)이 유교의 가르침 중 사덕[四德: 言德功容]을 상징하는 ‘덕(德)’자를 따 ‘덕뫼’라고 한데서 유래하였다. 또 마을 뒷산 서남쪽 언덕 너머에 불무혈이 있다고 해서 ‘불무골’이라고도 부르는데, 그곳의 불기운처럼 마을에 덕이 넘쳐나기를 소망해서 지었다고도 한다. 고려 말기에 마을이 이루어졌다고는...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산리는 행정 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도덕리(道德里)와 산양리(山陽里)에서 ‘덕(德)’자와 ‘산(山)’자를 따 ‘덕산(德山)’이 되었다. 조선 후기 수원백씨(水原白氏)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흥덕군(興德郡) 일동면(一東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생근리(生芹里)·관정...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덕산리 도덕마을에 있는 수원백씨(水原白氏)를 기리는 사당. 수원백씨(水原白氏) 갑운(甲雲) 백인수(白麟洙), 근촌(芹村) 백관수(白寬洙), 구파(鷗波) 백정기(白貞基)를 모신 사우(祠宇)이다. 성내면 덕산리 도덕마을 앞에 있다. 1949년에 창건(創建)했으나 경인(庚寅) 동란(動亂)으로 설향(設享)을 못하다가 1964년에 갑운(甲雲)을 봉안(奉安)하고 198...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덕암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구전에 의하면 고창군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교회인 덕암교회는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교회’를 표어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는 교회이다. 덕암교회는 가난한 농촌 청소년들에게 복음을 전파해 문물을 깨치게 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구전에 따르면 덕암교회는 1900년 광주 선교부에...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암리는 대리미산 밑이라 ‘대리미’ 또는 ‘덕암(德岩)’이라 하였다고 한다. 1700년대 초 김해김씨(金海金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와공면(瓦孔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평촌리(平村里)·복흥리(福興里)·창평리(昌平里)·지음리(知音里)·응암리(...
-
고려 시대 고창 지역에 설치된 특수 행정구역. 소(所)는 고려 시대 있었던 말단 행정구역의 하나로 향(鄕)·부곡(部曲)·장(莊)·처(處)와 함께 부곡제(部曲制)를 구성한다. 주로 왕실과 관아에서 필요로 하는 광물이나 수공품의 생산을 맡아 하던 곳이다. 생산물의 종류에 따라 금소(金所), 은소(銀所), 동소(銅所), 철소(鐵所), 사소(絲所), 주소(紬所), 지소(紙所), 와소(瓦所...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덕여(德輿), 호는 우졸재(愚拙齋). 김충한(金沖漢)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김노석(金魯錫)이다. 김경규(金慶奎)는 5세 때인 1811년(순조 11) 집에서 『천자문(千字文)』을 배우고, 1813년(순조 13) 『자치통감(資治通鑑)』을 배웠으며, 다음해 시를 지어 어른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 1817년(순조 17) 고부군수...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덕정리에 큰 우물이 있어 ‘덕우물’ 또는 ‘덕정(德井)’이라 하였다고 한다. 옛날에 이 마을에 우물이 세군데 있었는데, 이 우물의 물을 마시면 덕인(德人)이 난다고 하여 ‘덕우물’이라 부른다. 1530년대에 여양진씨(驪陽陳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산내면(山內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
-
고려 전기 고창 출신의 문인. 본관은 고창(高敞). 자는 덕전(德全), 호는 복양(澓陽). 할아버지는 한림학사 오학린(吳學麟)이다. 오세재(吳世才)[1133~1199]는 젊어서 힘써 공부하였는데 육경(六經)을 손으로 베껴 읽어서 능통하였다. 또 날마다 『주역(周易)』을 외웠으며 시문(詩文)에 탁월하였으므로 당나라 한유(韓愈)와 두보(杜甫)의 풍(風)이 있어 당세에 널리 알려졌다....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덕정리에 큰 우물이 있어 ‘덕우물’ 또는 ‘덕정(德井)’이라 하였다고 한다. 옛날에 이 마을에 우물이 세군데 있었는데, 이 우물의 물을 마시면 덕인(德人)이 난다고 하여 ‘덕우물’이라 부른다. 1530년대에 여양진씨(驪陽陳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산내면(山內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천리에 관한 뚜렷한 명칭유래는 확인되지 않으나, 옛날 조수(潮水)가 드나들던 마을 앞 내를 ‘비천(飛川)’이라고 하여 마을의 이름으로 불렸다. 또, ‘비내’·‘비린내’ 등의 이름으로도 불렸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덕천(德川)’으로 개칭되었다. 1578년(선조 11)에 상주주씨(尙州周氏) 주대검(周大儉)이 승문원(承文院) 교리(...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용계리에 있는 신말주(申末舟)와 조윤옥(趙潤屋), 장조평(張肇平) 등의 인물을 기리는 조선 후기 사당. 덕천사는 1818년(순조 18)에 창건하였는데, 처음에는 단종 폐위 후 고향에 돌아와 은거하던 귀래정(歸來亭) 신말주(申末舟)와 조윤옥(趙潤屋), 장조평(張肇平) 3현만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복설하면서 이윤철(李允哲), 안정(安正)...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용계리에 있는 신말주(申末舟)와 조윤옥(趙潤屋), 장조평(張肇平) 등의 인물을 기리는 조선 후기 사당. 덕천사는 1818년(순조 18)에 창건하였는데, 처음에는 단종 폐위 후 고향에 돌아와 은거하던 귀래정(歸來亭) 신말주(申末舟)와 조윤옥(趙潤屋), 장조평(張肇平) 3현만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복설하면서 이윤철(李允哲), 안정(安正)...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거창(居昌)이며, 자는 덕현(德賢), 호는 봉암(鳳岩)이다. 1864년 11월 4일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태어났다. 신종주는 1906년 12월 5일 최전구(崔銓九)와 함께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을 찾아간 뒤, 최익현에게 의병을 일으킬 뜻이 있음을 알고 가산(家産)을 털어서 군자금 5백 원을 마련하여 최전구를 통해 전달하였다....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덕화리는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덕곡리(德谷里)와 화동(化洞)에서 ‘덕(德)’자와 ‘화(化)’자를 따 ‘덕화(德化)’가 되었다. 1600년경 임진왜란 시 피난온 진주강씨(晋州姜氏)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흥덕군(興德郡) 일남면(一南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찹쌀로 지은 지에밥과 누룩을 잘 버무려 발효시킨 술. 고창 둠벙주는 지에밥과 누룩을 잘 버무려 둠벙둠벙 빠뜨려 만든다고 이름이 붙은 고창 지역의 민속주이다. 청주(淸酒)를 떠내지 않아 밥알이 그대로 떠 있는 술로서 술 위에 밥풀이 동동 뜬 것이 마치 개미가 동동 떠 있는 듯하여 다른 지역에서는 동동주 또는 부의주(浮蟻酒)라고도 한다.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곡리는 도산(道山)의 ‘도’자와 양곡(良谷)의 ‘곡’자를 따서 도곡(道谷)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무장군 일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도산·양곡·덕흥(德興)·월구(月句) 등을 병합하여 도곡리라 하고 무장면에 편입하였다. 구덕골 위에 큰 감나무가 있었던 감나뭇골, 양곡 동쪽에 다카실 등의 골...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도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미륵불. 마을에 조성된 미륵불을 마을 미륵이라 부른다. 미륵불은 도솔천 내원궁에 좌정하고 있는 미륵보살이 사바세계로 하생하여 성불한 부처를 말한다. 미륵이 사바세계로 출현하는 곳은 사찰의 가람 배치로 입증되고 있는데, 사찰에서 출현한 미륵불이 중생 구제를 목적으로 마을로 내려온 미륵불을 마을 미륵이라고 한다. 도곡리 미륵암 미륵은 사...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도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미륵불. 마을에 조성된 미륵불을 마을 미륵이라 부른다. 미륵불은 도솔천 내원궁에 좌정하고 있는 미륵보살이 사바세계로 하생하여 성불한 부처를 말한다. 미륵이 사바세계로 출현하는 곳은 사찰의 가람 배치로 입증되고 있는데, 사찰에서 출현한 미륵불이 중생 구제를 목적으로 마을로 내려온 미륵불을 마을 미륵이라고 한다. 도곡리 미륵암 미륵은 사...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도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미륵불. 마을에 조성된 미륵불을 마을 미륵이라 부른다. 미륵불은 도솔천 내원궁에 좌정하고 있는 미륵보살이 사바세계로 하생하여 성불한 부처를 말한다. 미륵이 사바세계로 출현하는 곳은 사찰의 가람 배치로 입증되고 있는데, 사찰에서 출현한 미륵불이 중생 구제를 목적으로 마을로 내려온 미륵불을 마을 미륵이라고 한다. 도곡리 미륵암 미륵은 사...
-
부안면 선운리 진마마을회관 앞길을 따라 웃돔샘 쪽으로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우물이 딸린 옛집이 하나 나오는데, 그 마당에는 피부 색깔이 불그죽죽하고 그 생긴 모양새가 흉측하기만 한 조각상들이 즐비해 있다. 그런데 그 조각상들이 자세히 들여다보면 다름 아닌 도깨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흡사 여느 시골 마을 앞을 지키고 있는 장승을 연상시키는 듯한 이런 도깨비 조각상들은,...
-
오늘날 전하는 수많은 옛이야기 가운데 도깨비 이야기만큼 많은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하는 이야기도 없을 것이다. 사람들이 전하는 도깨비의 형체는 다양하다. 달걀도깨비, 홑이불도깨비, 등불도깨비, 멍석도깨비, 더벅머리도깨비, 강아지도깨비, 차일도깨비 등 헤아릴 수 없는 도깨비들이 이야기 속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다. 이는 그만큼 사람들에게 많은 이야기 형태로 전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가평리에 있는 최익현(崔益鉉), 고석진(高石鎭), 고예진(高禮鎭), 고용진(高龍鎭)을 기리는 일제 강점기 사당. 도동사는 원래 고석진(高石鎭)이 후학을 가르치던 방호정사(方壺精舍)가 있던 곳인데, 1928년 6월에 후학들이 방호정사의 안쪽에 사우(祠宇)를 지어 최익현(崔益鉉)과 독립의군부 참모장을 지낸 고석진(高石鎭), 의병장 고예진(高禮鎭), 고용진(高龍鎭...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사람이나 차들이 다니는 비교적 넓고 큰 길. 도로는 관리 주체 및 기능에 따라 고속 도로, 국도, 지방도, 시·군도 등으로 구분된다. 이를 중심으로 전라북도 고창군의 도로 현황을 알아본다. 1993년 6월에 개정된 6등급 도로법을 기준으로 2009년 12월 31일 현재 고창군의 등급별 도로 현황을 보면 고속 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고창담양고속도로, 일반 국도는...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림리는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도산리(道山里)와 왕림리(旺林里)에서 ‘도(道)’자와 ‘임(林)’자를 따 ‘도림(道林)’이 되었다. 1302년(충렬왕 28) 성적골에 마을이 들어섰다가, 1500년경에 현재의 위치에 여러 성씨가 모여 살면서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본래 흥덕군(興德郡) 일남면(一南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군유리 상군마을에 있는 정희주(鄭熙周), 정민상(鄭敏相), 정유상(鄭有相), 정취규(鄭聚奎)를 모신 조선 후기 사당. 진주정씨(晋州鄭氏) 종모재(終慕齋) 정희주(鄭熙周)와 야은(野隱) 정민상(鄭敏相), 송은(松隱) 정유상(鄭有相), 항사재(恒思齋) 정취규(鄭聚奎)를 모신 사우(祠宇)이다. 도봉사는 공음면 군유리 상군마을에 있다. 1827년(순조 27)년에 창...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보도산(普道山) 아래 마을이 있어서, 그 산의 이름을 따서 ‘도산’이라 하였다고 한다. 1554년대에 광산김씨(光山金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 이후 콜레라가 유행하면서 폐촌되었다가 1730년 경 예조참판 정택신(鄭宅臣)이 정착하면서 새롭게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오동면(五東面)의 지역으로, 1914년...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 분묘. 도산리 유적은 고창기능대학 남쪽에 동서로 뻗은 해발 48m 정도의 구릉에 있으며, 현재 구릉 정상부 중심지에는 밭이 경작 중이다. 조사 지역 동쪽으로는 고성천이 남북으로 흐르고 있으며, 주변에는 넓은 농경지가 펼쳐져 있다. 남쪽으로는 구릉의 곡간 지대를 사이로 삼국 시대 주거지가 확인된 우평리 유적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구릉에...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에 있는 문화 체험 마을. 고인돌마을은 자연 마을인 도산마을에 있다. 도산마을은 조선 성종 대에 안동김씨(安東金氏)와 청도김씨(淸道金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한 마을로, 마을이 평탄한 길옆에 있고 뒤쪽에 자그마한 산이 있어서 마을 이름을 도산마을이라고 칭하였다고 한다. 행정자치부에서 시행한 아름마을 가꾸기 사업이 시발점이 되었으며, 2007년 행정자치...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도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교육 기관. 도산서당은 인근 학동들을 위한 강당으로 쓰였으며, 도산초등학교 개교 때 교사를 구하기 전까지 1학기 동안 수업을 하던 곳이었다. 따라서 서당 교육과 근대 교육을 연결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도산서당은 당대 명사들의 교우의 장이었다. 따라서 교우 관계를 보여주는 많은 시문과 송사 기우만이 쓴 「만수당기(晩睡堂記...
-
전라북도 고창군 서부 해안에 있는 사면이 물로 둘러싸인 작은 육지. 섬은 해저의 융기, 해안산맥의 침수, 육지의 침강 등이 이뤄진 후 그곳에 해수가 들어와서 형성된다. 해저화산물의 분출로 만들어진 화산도가 있고, 해안 지역의 일부가 파도나 빙하의 침식을 받아 육지와 분리되어 만들어진 섬도 있다. 유인도서(有人島嶼)는 민간인이 생활 근거를 두고 연중 계속적으로 생업을 영위하여 거주하...
-
고려 시대 고창 지역에 설치된 특수 행정구역. 부곡(部曲)이란 특수 행정구역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주목(驪州牧) 고적(古跡) 등신장조(登神莊條)에 “이제 살펴보건대 신라가 주군현을 설치할 때 그 전정(田丁)이나 호구(戶口)가 현이 될 수 없는 것은 향 또는 부곡으로 두어 그 소재하는 읍에 속하게 하였다.”라고 한 기록으로 미루어 부곡이 삼국 시대부터 존재했다...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아산면·해리면에 걸쳐 있는 산. 선운산은 577년(위덕왕 24)에 검단선사(黔丹禪師)가 선운사(禪雲寺)를 창건하면서 불리던 이름으로, 선운이란 말은 신선이 구름 속에서 참선을 한다는 뜻이고, 도솔은 미륵부처가 있는 도솔천궁을 의미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선운산의 선은 ‘봉선한다’, ‘참선한다’는 뜻의 선(禪)인데, 선(仙)으로도 쓰인다...
-
동학농민혁명 당시 손화중이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의 비기(秘記)를 훔쳤다고 전해지는 사건. 조선 후기 조선 왕조의 봉건적 질서가 해이해지면서 농업·산업·수공업·신분 제도 등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당시 조선은 전국 각지에서 조선이 곧 멸망할 것이라는 소문이 광범위하게 퍼져 매우 불안정한 상태였다. 이는 오래전부터 떠도는 예언에 따른 것으로, 조선 왕조는 500년이라는 숙명을 넘기지 못...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선운사 도솔암의 지장보살상을 안치한 불전. 설화에 의하면, 수미산 꼭대기로부터 12유순(由旬) 되는 곳에 도솔천이라는 천계(天界)가 있고, 거기에 내원궁과 외원궁이 있다고 한다. 내원궁에는 미륵보살이 장차 부처가 되어 세상을 제도할 때를 기다리며 머물고 있다고 전한다. 따라서 선운사 도솔암 내원궁은 미륵보살이 안치된 전각이어야 한다....
-
조선 후기 고창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길지(吉之), 호는 도암(韜庵). 증조할아버지는 오세훈(吳世勳)이고, 할아버지는 오원(吳謜)이다. 아버지는 공주판관을 지낸 오언기(吳彦麒)이다. 오희길(吳希吉)은 1566년(명종 21)부터 서당에서 글을 배웠는데, 총명하였고, 서책과 문방구를 좋아하니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내력이 있었다. 1571년(선조 4) 기효관(奇孝寬)의...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칠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김질(金質)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 도암서원는 안동김씨의 서원으로 1613년(광해군 5)에 김질(金質)의 효성과 학문을 기리어 그가 살던 집터에 창건하였다. 이후 1835년(헌종 1)에는 정유재란과 이괄의 난 때에 의병을 일으킨 증손 김경철(金景哲)을 배향하였으며, 1857년에는 김경철의 아우로 임진왜란 때에 왕을 호종하였으며,...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칠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김질(金質)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 도암서원는 안동김씨의 서원으로 1613년(광해군 5)에 김질(金質)의 효성과 학문을 기리어 그가 살던 집터에 창건하였다. 이후 1835년(헌종 1)에는 정유재란과 이괄의 난 때에 의병을 일으킨 증손 김경철(金景哲)을 배향하였으며, 1857년에는 김경철의 아우로 임진왜란 때에 왕을 호종하였으며,...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칠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하마비. 칠암리 하마비는 갑촌마을 도암서원에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데, 이곳은 김질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효자각도 있는 곳으로서, 신성한 지역임을 표시한 징표이다. 공음에서 영광으로 가는 국도 22호선 도로변, 즉 도암서원으로 들어가는 입구 삼거리에 있다. 비석의 크기는 120×58×35㎝이고, 일반적인 월석비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칠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하마비. 칠암리 하마비는 갑촌마을 도암서원에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데, 이곳은 김질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효자각도 있는 곳으로서, 신성한 지역임을 표시한 징표이다. 공음에서 영광으로 가는 국도 22호선 도로변, 즉 도암서원으로 들어가는 입구 삼거리에 있다. 비석의 크기는 120×58×35㎝이고, 일반적인 월석비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가평리 남쪽 중턱에 있는 굴. 방장동굴과 관련된 노래인 「방등산가(方等山歌)」가 『고려사』 권 71에 삼국속악조(三國俗樂條)에 그 제목과 유래만 전하고 있다. 「방등산가」는 신라 말기에 장일현(長日縣)의 한 여인이 지은 것으로 전해온다. 신라 말년에 온 세상이 어지러워 도둑들이 고창 방등산(方等山)의 방장동굴에 본거지를 두고 고창 지역의 풍요로운 들녘에서 생...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도천리 도천마을에 놓인 다리. 도천마을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천 위에 설치되어 있어 도천교라는 이름이 붙었다. 전설에 의하면 ‘도천’은 마을 앞까지 바다물이 들어와 선창(船艙)이 만들어져 배형국이 형성되었다고 해서 거룻배 도(舠)와 통할 천(穿)을 붙여서 도천(舠穿)이라 했다. 일제 강점기 때 도로가 개설되면서 도천(道川)으로 불렀다고 한다. 교장[댜리의 전...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천리는 전설에 의하면 ‘도천’은 마을 앞까지 바다물이 들어와 선창(船艙)이 만들어져 배형국이 형성되었다고 해서 거룻배 도(舠)와 통할 천(穿)을 붙여 도천(舠穿)이라 했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에 해리 무장으로 통하는 도로가 개설되어 도천(道川)으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조선 말기 무장군 심원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도천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도천저수지는 고창군 심원면을 지나는 도천을 막아 하류 지역에 관개용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건립된 저수지로서, 1939년 착공하여 1945년에 준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죤형]이며, 제방 체적은 2만 3600㎥, 제방 길이는 139m, 제방 높이는 16.7m이다. 총저수량은 129만 4000t, 유효 저수량은 129만 40...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무당을 중심으로 민간에 전승되는 습속. 무속 신앙은 그 범주가 너무 넓어 단적으로 표현하기 힘들다. 대개 외래 종교인 불교, 유교, 기독교의 상대적 개념으로 이해되어 오지만 역사적 변천 과정에 따라 또 이들과 충돌하고 습합하면서 전개되어 온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흔히 샤머니즘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전라북도 지역의 씻김굿과 앉은굿 등의 병존 현상을 고려해 볼...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주로 경문을 구송하는 방식으로 행해지는 앉은굿. 독경은 경문을 읽어 악귀를 몰아내고 수복을 기원하는 무속 의례이다. 이를 법사굿, 앉은굿 등이라고도 한다. 본래 독경은 무경(巫經)을 말하는데, 경객(經客)들이 치병을 위하여 축귀할 때 읽거나 길성흉소(吉盛凶消)와 부귀수복(富貴壽福)을 빌어 축원할 때 송독(誦讀)하는 기원문이나 주사(呪辭)를 말한다. 고창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석교리에 돌로 된 다리가 있어 ‘독다리’ 또는 ‘석교(石橋)’라고 하였다 한다. 마을 형성에 대한 뚜렷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임진왜란 전·후에 타지의 빈민들이 숨어 살던 곳이었으나, 차츰 조선 후기에 안정된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천북면(川北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교동(校洞)...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교리는 석교리 창촌마을에 작은 돌다리가 있어 ‘독다리’·‘석교(石橋)’라 한데서 유래되었다. 1400년대 초 창원황씨(昌原黃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동음치면(冬音峙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동촌리(洞村里)·남동리(南洞里)·다옥리(多玉里)가...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고창 출신이거나 고창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독립운동이 일어났으며, 고창 지역 출신으로 국내외 각지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한 인사도 적지 않았다. 일제의 무단 통치기에 활동한 독립운동의 성격은 주로 무장 성격을 띤 적극적인 항일운동 세력과 3·1운동을 기점으로 만세 운동에 앞장선 독립운동으로 나눌 수 있다....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우평리는 풍수지리상 지형이 소의 형국이라고 해서 독실(犢實)[솟들]이라고 불렸다. 1933년 ‘우평(牛坪)’이 되었다. 1475년대 이천서씨(利川徐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고창군 오서면(五西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독곡리(篤谷里)·죽천리(竹川里)·용지리(龍...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교리는 석교리 창촌마을에 작은 돌다리가 있어 ‘독다리’·‘석교(石橋)’라 한데서 유래되었다. 1400년대 초 창원황씨(昌原黃氏)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무장군(茂長郡) 동음치면(冬音峙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동촌리(洞村里)·남동리(南洞里)·다옥리(多玉里)가...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돌다리가 있었으므로 돌다리 또는 석교(石橋)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이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오공(五公)·석교, 현내면 오태리 일부를 병합하여 석교리라 하고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하였고, 1935년 3월 1일 도령 제1호에 따라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석교리는 흥덕면의 남서부에...
-
전라북도 고창군에 서식하는 잉어과에 속하는 어류. 몸길이는 5~7㎝이며 위아래로 약간 납작하다. 머리와 배는 편평한 편이다. 등지느러미의 연조(軟條)는 7~8개, 뒷지느러미의 연조는 6개 정도이다. 옆줄 비늘은 34~39개, 새파[아가미뚜껑 안쪽에 줄지어 있는 돌 기물]는 12~20개, 척수골은 35~37개이다. 주둥이는 짧고 입은 말굽 모양으로 주둥이 아래에 있으며, 윗입술에는...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모롱이[산모퉁이의 휘어 둘린 곳]에 돌이 있어 돌모루 또는 석우촌이라 하였다. 조선 말기 흥덕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석신(石新)·동림(東林)·석우(石隅)·동신(東新)·관동(冠洞)·회화(回化)·신흥(新興) 등을 병합하여 석우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석우촌 앞으로 철생이틀이라는 골...
-
전라도 지역에서 짚이나 억새로 지붕을 이은 마을의 정자. 모정은 마을 주민들에게 개방된 마루로 된 정자로서 전라도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농경 문화의 유산이다. 모정은 시정, 유산각, 농청, 농정, 동각, 양청 등과 같은 명칭으로 두루 쓰인다. 모정은 마을 사람들이 여름철의 더위를 피하여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자, 다양한 농사 정보를 주고받는 정보 교류의 공간이다. 또 마을 대소사를...
-
고창 지역이 판소리사에서 매우 유서 깊은 고장이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고창은 전라도 지역의 보성, 남원, 구례, 순창, 전주, 광주 등과 같이 판소리사에서 주요하게 거론되는 기라성 같은 지역들과 나란히 놓았을 때 절대 빠지지 않는다. 오히려 판소리의 역사가 부여하는 특수한 의미 속에서 의연하게 판소리의 고향이자 성지로서 우뚝 서 있다. 이것은 김수영(金壽永)...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찹쌀로 지은 지에밥과 누룩을 잘 버무려 발효시킨 술. 고창 둠벙주는 지에밥과 누룩을 잘 버무려 둠벙둠벙 빠뜨려 만든다고 이름이 붙은 고창 지역의 민속주이다. 청주(淸酒)를 떠내지 않아 밥알이 그대로 떠 있는 술로서 술 위에 밥풀이 동동 뜬 것이 마치 개미가 동동 떠 있는 듯하여 다른 지역에서는 동동주 또는 부의주(浮蟻酒)라고도 한다.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국악 공연 전문 시설. 동리(桐里)는 판소리 이론가이자 후원가, 개작자인 신재효(申在孝)[1812~1884]의 호이며, 신재효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국악당의 명칭을 동리국악당이라 하였다. 동리국악당의 설립과 함께 고창의 국악 문화는 일대 부흥을 이루었는데, 조소녀와 조영자 등 지역의 유명한 판소리 명창들이 강사로 초빙되었으며, 판소리, 농악...
-
고창군청과 사단법인 동리문화사업회에서 매년 11월 6일 동리 신재효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판소리 진흥에 공이 큰 연창자나 연구가에게 주는 상. 동리대상은 조선 말기 판소리를 집대성하여 판소리 발전에 커다란 공적을 남긴 고창 출신의 동리 신재효 선생의 업적을 계승·발전시키고 판소리 진흥에 공이 큰 연창자나 고수, 연구가의 업적을 치하하고자 제정되었다. 1990년 향토 문화 진흥...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있던 고창고등학교와 고창여자고등학교 연합 동아리. 동리문학회는 1968년도에 동리 신재효 선생의 호를 붙여서 고창고등학교와 고창여자고등학교가 연합하여 만든 동아리이다. 문학을 사랑하는 학생들과 장병렬[필명 장렬] 선생 주도로 창립하였다. 동리문학회는 1968년에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창립자 장병렬 선생 댁에서 시작되었다. 동리문학회는 장병렬...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판소리 연구 단체. 동리문화사업회의 전신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판소리 명창과 고수, 학자 및 국악 종사자 등이 동리 신재효 관련 문화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결성한 판소리 연구 단체인 동리연구회이다. 동리 신재효 선생의 문화적 업적을 계승하고 판소리 연구 및 각종 문화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0년 12월 13일 설립되어 활발하게...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영화관. 작은 영화관은 영화를 보려고 해도 영화관이 없어서 인근 도시로 나가야 하는 불편과 경제적 부담을 감수해야 하는 문화 소외 지역 주민들을 위해 설치된 소규모 영화관이다. 동리시네마는 전라북도 지역 9개 시군에 차례로 설치된 ‘작은 영화관’의 하나로, 8억 5000만 원을 들여 고창 읍내 동리 국악당 지하를 개축하여 만들었다. 2014년...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에 있는 동리국악당 국악교실 연수생으로 이루어진 음악 단체. 동리어린이소리패는 고창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리와 민요를 토대로 만든 노래를 부르는 단체로 KBS 국악동요제에 참가하여 모형오가 작사·작곡한 「대보름 줄놀이」를 부르고자 설립되었다. 2007년 고창초등학교, 고창남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오디션을 거처 선발된 10명의 어린이들로 동리어린이...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동리국악당 국악교실 농악반 어린이들로 구성된 풍물 단체. 동리어린이풍물패는 동리국악당 국악교실을 활성화하고 고창군과 자매결연 도시인 부산광역시 동래구, 경상북도 상주시, 서울특별시 성북구에서 고창의 전통 농악을 공연하고자 1999년 설립되었다. 동리국악당 국악교실에서 고창 농악 전반에 대해 배우고, 각종 축제 행사에서 축하 공연을 하고 있다....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 있는 판소리 연구 단체. 동리문화사업회의 전신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판소리 명창과 고수, 학자 및 국악 종사자 등이 동리 신재효 관련 문화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결성한 판소리 연구 단체인 동리연구회이다. 동리 신재효 선생의 문화적 업적을 계승하고 판소리 연구 및 각종 문화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0년 12월 13일 설립되어 활발하게...
-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문화 예술 단체. 동리예술단은 동리 신재효 선생의 업적을 이어받아 고창의 소리, 고창의 가락, 고창의 몸짓을 통해 고창만의 특색 있는 공연을 하고자 설립되었다. 2007년 고창농악전수관 강사, 동리국악당 강사, 객원 단원들을 중심으로 설립하였다. 고창의 소리를 조사 발굴하여 고창의 정서가 밴 음악을 만들고, 고창의 각종 축제에 축하 공연을 하여 고창의 가락을...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석우리에 있는 저수지. 흥덕 저수지는 전라북도 최대의 저수지이자 국내에서도 예당지, 논산지에 이어 세 번째로 넓은 평지형 저수지이다. 아름다운 노을 풍경과 매년 겨울철이면 찾아드는 가창오리의 군무로 유명하다. 흥덕저수지는 고창군 흥덕면 석우마을에 위치해 있다. 1900년대 초 저수지 설치로 마을이 수몰되어 주민들은 이동하여 마을을 이루었다. 마을 동쪽에 큰...
-
전라북도 고창군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동물의 종류. 동물상은 목적과 상황에 따라 동물군·지역·환경·생활양식 등으로 구분하며, 식물상과 합쳐 생물상을 구성하고 있다. 1997년 환경부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고창의 동물상은 아래와 같다. 고창 지역은 87.3%가 임야와 논·밭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운산 도립공원이 있어 비교적 환경이 잘 보존된 지역이다. 그러나 임도(林道) 시...
-
전라북도 고창군의 군화(郡花)가 피는 나무 . 고창군에서는 고장의 충·효·열로 인내와 새 인재 배출을 상징하는 군화로 동백나무 꽃을 지정하였다.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숲이 1967년 2월 11일 천연기념물 제184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높이는 7m에 이르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평활하며 잔가지는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물결형의 잔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
-
전라북도 고창문화원에서 매년 열고 있는 청소년 예술제. 동백연예술제는 전라북도 최초의 청소년 문화제이다. 청소년들을 위한 지역 문화제나 예술제가 척박한 상황에서 고창문화원과 고창 지역의 예술인들은 청소년들에게 문학적·예술적 기량을 펼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예술의 고장 고창에 대한 지역적 자부심을 갖도록 청소년문화예술경연대회를 기획하였다. 천연기념물 제184호인 고창 선운사 동백...
-
전라북도 고창문화원에서 매년 열고 있는 청소년 예술제. 동백연예술제는 전라북도 최초의 청소년 문화제이다. 청소년들을 위한 지역 문화제나 예술제가 척박한 상황에서 고창문화원과 고창 지역의 예술인들은 청소년들에게 문학적·예술적 기량을 펼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예술의 고장 고창에 대한 지역적 자부심을 갖도록 청소년문화예술경연대회를 기획하였다. 천연기념물 제184호인 고창 선운사 동백...
-
전라북도 고창문화원에서 매년 열고 있는 청소년 예술제. 동백연예술제는 전라북도 최초의 청소년 문화제이다. 청소년들을 위한 지역 문화제나 예술제가 척박한 상황에서 고창문화원과 고창 지역의 예술인들은 청소년들에게 문학적·예술적 기량을 펼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예술의 고장 고창에 대한 지역적 자부심을 갖도록 청소년문화예술경연대회를 기획하였다. 천연기념물 제184호인 고창 선운사 동백...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숙박 시설. 동백장은 고창군에서 선운산 도립공원과 연계한 사계절 체류형 관광지를 조성하여 자연, 역사, 문화, 예술이 어우러진 종합 교육, 체험 공간을 목적으로 한 관광 계획이 세워짐에 따라 선운산 입구에 생겨난 숙박 시설이다. 1988년에 준공되었고, 2008년 초에 개보수가 이루어졌다. 객실은 총 42개[한실 23, 양실 19]로 방마다 T...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음식점. 동백장 식당은 4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음식점으로 미당 서정주 등 문인들이 자주 찾던 명소이다. 윤대녕의 『어머니의 수저』에 “동백꽃이 필 때 어머니를 모시고 내려가 하룻밤 묵으면서 오랜만에 겸상을 해보고 싶다. 그 참에 선운사도 찬찬히 구경하고 가까운 변산온천에 들렀다 오면 더없이 좋지 않을까”라고 묘사된 곳이다. 동백장 식당은 19...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에 있는 포구. 동호항은 조선 시대에 동백정포(冬柏亭浦)와 영신당이 있었던 곳이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무장군읍지(茂長郡邑誌)』 등에 의하면 조선 시대에 동백정포는 “무장현의 북쪽 30리에 있다”고 했으며, 그 지형은 바다로 깊숙이 들어가 삼면이 바다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지금의 동호마을 일대와 일치 한다. 동백정포는 동호마을의 북쪽...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숙박 시설. 동백장은 고창군에서 선운산 도립공원과 연계한 사계절 체류형 관광지를 조성하여 자연, 역사, 문화, 예술이 어우러진 종합 교육, 체험 공간을 목적으로 한 관광 계획이 세워짐에 따라 선운산 입구에 생겨난 숙박 시설이다. 1988년에 준공되었고, 2008년 초에 개보수가 이루어졌다. 객실은 총 42개[한실 23, 양실 19]로 방마다 T...
-
오현좌를 시조로 하고 오자귀·오석창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동복오씨는 동복군(同福君) 오현좌(吳賢佐)를 시조로 하고, 동복군 오영(吳寧)을 중시조로 한다. 동복오씨 고창군 입향조 오자귀(吳自貴)는 중시조 오영의 손자인 문헌공 오대승(吳大陞)의 5대손으로 고려 말 신돈(辛旽) 때 느껴 벼슬을 버리고 남하하여 고창군 흥덕면 제하리(堤下里)에 정착하였다. 제하리는...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선운사에 있는 마애불.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은 선운사 도솔암 내원궁이 있는 칠송대라는 암봉의 남벽 단애에 조각된 거대한 마애불상으로, 한때 미륵불이라고 불렀다. 전설에 의하면 백제 위덕왕이 검단선사(黔丹禪師)에게 부탁하여 암벽에 마애불을 조각하고, 동불암(東佛庵)이라는 공중누각을 짓게 하였다고 한다. 낮은 부조와 음각선을 적절히 사용하였다...
-
동학농민혁명 당시 손화중이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의 비기(秘記)를 훔쳤다고 전해지는 사건. 조선 후기 조선 왕조의 봉건적 질서가 해이해지면서 농업·산업·수공업·신분 제도 등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당시 조선은 전국 각지에서 조선이 곧 멸망할 것이라는 소문이 광범위하게 퍼져 매우 불안정한 상태였다. 이는 오래전부터 떠도는 예언에 따른 것으로, 조선 왕조는 500년이라는 숙명을 넘기지 못...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부(東部)의 ‘동’자와 녹사(綠砂)의 ‘사’자를 따서 동사(東沙)라 하였다. 조선 말기 현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한림(翰林)·녹사·동문(東門)·동부·복룡(伏龍) 일부를 병합하여 동사리라 하고 흥덕면에 편입하였다. 한림 뒤에 예전 빙고(氷庫)가 있었다는 핑갯등[일명 핑굿등, 빙곳등]이라는...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동산리는 흥덕현의 동쪽이고, 마을 뒤의 산이 동쪽으로 우뚝 솟았다하여 ‘동산(東山)’이라고 하였다 한다. 조선 명종 때 의성김씨(義城金氏)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래 흥덕군(興德郡) 이동면(二東面)의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구평리(九平里)·내동산(內東山)·외동산...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동산리 내동산마을에서 2월 초하루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산리 내동산마을 당산제는 음력 2월 초하루에 당산나무[당산 할매]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당산 할매에게 제사를 지내면 항상 마을에 아무 일이 없으며, 또 외부에 나가 있는 마을 사람들 역시 건강하고 무사하다고 믿는다. 그리고 당산나무를 꺾...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동산동에 있는 당산. 동산동은 고창읍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조성된 마을이다. 전설에 따르면, 조선 전기에 무학대사가 동산동을 지나가면서 얼마 지나지 않아서 산이 옮겨질 듯하다 하여 동산촌(動山村)이라는 지명을 지었다는 설과 오방위 중에 고창읍의 동쪽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동산몰이라는 지명이 생겨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동산몰의 ‘몰’은 마을이라는...
-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동산리에 있었던 조선 후기 서원의 터. 고창군에서 정읍 방면으로 국도 22호선을 따라 23㎞ 달리면 동산마을이 왼쪽에 있다. 마을에 동산서원 터만이 있다. 동산서원은 이필(李苾)[1682~1746]이 1718년(숙종 44) 백강(白江) 이경여(李敬輿)[1585~1657], 서하(西河) 이민서(李敏敍)[1633~1688]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웠다...
-
일제 강점기와 현대 고창 출신의 역사학자·경제학자·정치가. 본관은 수원(水原)이며, 호는 동암(東巖)이다. 1894년 2월 11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 반암마을 601번지[반암안길 33-9]에서 백낙규(白樂奎)[1866~1935]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한국의 원시·고대·중세의 사회경제에 관한 경제사에 큰 업적을 남겼으며, 한국 경제사학 발전에 선구자적 역할을 하...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의 비구니 도량. 동운암(東雲庵)은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백제 577년(위덕왕 24)에 선운사와 함께 검단선사가 창건하였다고 「선운사사적기」에 전해지고 있다. 1614년(광해군 6)에 무장현감 송석조(宋碩祚)와 승려 일관(一寬), 원준(元俊)이 대대적으로 중창하였다. 1693년(숙종 19)에 중창하여...
-
고려 시대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원촌리에 설치되었던 숙박 시설. 원(院)이 언제부터 설치·운영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 시대부터 우역(郵驛)을 설치하고 사신의 왕래처에 관(館)을 두었던 점으로 미루어 삼국시대부터 설치되었다고 여겨진다. 원은 공공의 임무를 띤 여행자뿐만 아니라 때때로 일반 행인에게 제공되기도 하였다. 역과 함께 설치된 시설이어서 흔히 역원제도라고 일컫는다....
-
고려 말 조선 초 고창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헌숙(憲叔), 호는 동정(桐亭). 고조할아버지는 무송현 호장의 아들로 자수성가하여 충렬왕 때 정헌대부 국학대사성 문한사학(正獻大夫 國學大司成 文翰司學)을 지낸 윤해(尹諧)이며, 할아버지는 문정공(文貞公) 윤택(尹澤)으로 공민왕 때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냈다. 아버지는 『고려사(高麗史)』 효우전에 입전된 윤구생(尹龜生...
-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12월 22일에 지내는 세시 풍속. 동지는 12월 22일로서 ‘아세(亞歲)’, ‘작은설’이라고도 일컫는다. 음력으로는 11월에 해당하므로, 11월을 동짓달이라고 한다. 동지는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동짓날에는 팥죽을 쑤어 조상을 위하는 차례를 지내고, 마당 등에 팥죽을 뿌려 잡귀의 출입을 막는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고대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