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652
한자 禪雲山眞興窟-由來
영어음역 Seonunsan Jinheunggurui Yurae
영어의미역 Origin of Sunusan Mountain's Jinheunggul Cav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시대 고대/삼국 시대/신라
집필자 손앵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찰 연기 설화|지명 유래담|출가 설화
주요 등장인물 진흥왕|중애공주|왕비
관련지명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진흥굴|도솔암|중애암지도보기
모티프 유형 진흥왕의 출가|공주와 왕비를 위한 중애암과 도솔암 건립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서 진흥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선운산 진흥굴의 유래」아산면 삼인리 선운산 사자암 앞에 있는 좌변굴이 진흥굴로 불리게 된 지명 유래담이자 중애암, 도솔암의 창건과 관련한 사찰 연기설화이다. 진흥굴은 신라 제24대 진흥왕이 태자 때부터 불교에 뜻을 두었다가 끝내 왕위를 물려주고 왕비와 중애공주를 데리고 선운사로 와서 승려가 되어 좌변굴에서 수도 정진하였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채록/수집상황]

1992년 고창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고창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삼국시대 때 불교가 국교처럼 성행했던 신라에서 제23대 법흥왕의 태자로 탄생한 아사달은 어릴 때부터 불도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가 어느 날 꿈을 꾸었는데, 인도의 왕자로 탄생한 석가모니가 구중궁궐과 애처를 버리고 승려가 되어 몸소 고행을 통하여 득도하고 불도를 중흥시켜 대성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는 그 후 자기도 그렇게 될 수 없을까 하는 생각에 잠길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다. 그는 부친의 대통을 이어 왕위에 오르지 않으면 안 될 신라의 법전에 따라 부득이 24대의 왕을 계승하였다. 그러나 나라 일에는 뜻이 없고 오직 불도에만 힘써 오다가 끝내는 왕위를 물려주고 평소 많은 시주와 관심을 가져온 선운사로 수도의 길을 떠났다. 진흥왕은 왕위를 떠나올 때 왕비와 사랑하는 중애공주를 데리고 선운사를 찾아 삭발하고 승려가 되었다.

진흥왕이 맨 먼저 찾아온 곳은 지금 선운산의 사자암 앞에 있는 석굴로서 좌변굴이라 불리는 곳이었다. 후세에 이 굴의 명칭을 진흥굴이라 고친 것은 진흥왕이 친히 거처하며 수도하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진흥왕은 승려가 된 후 이름을 법운자라 칭하고 사랑하는 공주 중애를 위하여 중애암, 왕비의 별호인 도솔의 이름을 따서 도솔암을 건립하고 이곳에서 일생을 마쳤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선운산 진흥굴의 유래」의 주요 모티프는 ‘진흥왕의 출가’, ‘공주와 왕비를 위한 중애암과 도솔암 건립’ 등이다. 삼국시대부터 불교의 영향으로 출가설화가 유행하였으며, 자장율사사명당과 같이 유명한 고승이나 선사의 경우에는 대부분 출가설화가 존재한다. 사실 여부를 떠나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의 행적이나 일화에 따라 지명이나 사물의 이름이 바뀌는 경우는 매우 흔하다. 좌변굴이 진흥굴이 된 것도 그 한 예이다. 또한 「선운산 진흥굴의 유래」에는 중애공주를 위해 중애암을, 왕비의 법명을 따서 도솔암을 건립하였다는 내용이 담겨 있어 사찰 연기 설화로도 분류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