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501
한자 巫俗信仰
영어음역 Musok Sinang
영어의미역 Shamanism
이칭/별칭 씨끔굿,앉은굿,독경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윤선

[정의]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무당을 중심으로 민간에 전승되는 습속.

[개설]

무속 신앙은 그 범주가 너무 넓어 단적으로 표현하기 힘들다. 대개 외래 종교인 불교, 유교, 기독교의 상대적 개념으로 이해되어 오지만 역사적 변천 과정에 따라 또 이들과 충돌하고 습합하면서 전개되어 온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흔히 샤머니즘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전라북도 지역의 씻김굿과 앉은굿 등의 병존 현상을 고려해 볼 때 샤먼만으로 이를 해석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강신무와 세습무, 그리고 법사, 보살 등의 범주와 연행 영역이 중첩되는 경우들이 많다.

[영역 및 특징]

무속 의례 외에도 무속신앙이 깃들어 있는 영역은 매우 광범위하다. 매년 행해지는 매굿 등의 걸립 풍물에서부터 마을마다 존재했던 수목과 입석 등의 당산 신격에 대한 신앙 행위들, 그리고 솟대, 짐대, 오릿대, 수살대, 낫가릿대, 화주대, 별신대 등에 대한 신앙 행위들, 나아가 당골이 연행하는 각종의 굿[무속 의례]들, 법사들이 연행하는 독경, 그리고 속신과 관련된 다양한 의식과 관념들이 무속 신앙의 기층에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고창 지역의 씨끔굿[씻김굿]은 세습무인 까닭에 신단이나 신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의례 악기는 장고, 징, 피리, 젓대, 해금, 가야금 등을 사용한다. 무복은 평상복 그대로 흰 저고리와 치마를 입으며 고깔을 쓴다. 고창 지역의 무속에 대한 오래된 자료들은 거의 없는 편인데, 김태곤이 정리한 『한국무가집』, 『한국무속연구』 등을 참고할 수 있다.

[굿의 절차]

1. 성주굿

안당석, 당산석, 성주석, 삼신지왕석, 지신석, 액두리[액막이], 서낭석, 손님석, 조상석, 중천맥이 등으로 진행한다.

2. 씨끔굿

안당석, 칠성풀이, 지앙석, 조상해원, 성주풀이, 오구물림, 길닦음, 천근, 시설, 고풀이, 씨끔, 중천맥이 순으로 진행한다. 고창 지역의 씨끔굿은 고창군 해리면 단골 배성녀와 그 가계에서 주로 진행하여 왔다.

3. 배연신굿

해안 지역에서는 배연신굿을 하는데 안당석, 당산석, 성주석, 당맞이, 배서낭, 용왕제, 해원, 길닦음, 중천맥이 순으로 진행한다.

4. 독경

순서는 조왕굿, 철륭굿, 성주굿, 삼신제왕굿, 지신안택수, 조상해원굿, 내전 등으로 연행된다. 각각의 굿거리에는 다시 하위 거리가 편성된다. 예를 들어 내전에서는 이를 열두대왕고, 삼사자고, 검사고 등으로 풀어낸다. 법사를 중심으로 하는 독경은 보통 앉은굿이라고 하지만, 씨끔굿[씻김굿] 전반을 소화하기 때문에 문자 그대로 앉아서 하는 굿이 아니다. 본래 독경은 무경(巫經)을 말하는데, 경객(經客)들이 치병을 위하여 축귀할 때 읽거나 길성흉소(吉盛凶消)와 부귀수복(富貴壽福)을 빌어 축원드릴 때 송독(誦讀)하는 기원문이나 주사(呪辭)를 말한다. 고창 지역에서 행해진 법사들의 경문은 대개 57여 종으로 나누어진다. 이중에서 13~14종의 경문이 실제 연행 현장에서 사용된다. 고창 지역의 독경에는 고수면 상평리 심원마을 안병채 법사가 주로 거론되어 왔다.

5. 축원굿

이외에 농악을 연행할 때 법사의 축원굿이 들어가기도 한다. 샘굿, 부엌굿, 장독대굿 등에 성주풀이, 재왕풀이, 철륭풀이 등을 연행하는 것이 그것이다.

6. 기타

이외에도 다양한 무속 의례와 신앙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동정잽이는 흙을 잘못 다뤄서 동토가 났을 때 행하는 독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는 당골이 동토가 난 장소를 찾아내어 그 앞에 간단하게 진설하고 빈 다음 땅에 도끼를 놓고 자귀로 두드리면서 「동토경(動土經)」을 구송한다. 또한 속신에 대한 관념들도 사실상의 무속신앙에 근거하고 있는데 길조(吉兆), 혼속(婚俗), 산속(産俗), 상속(喪俗), 사속(死俗) 등으로부터 갖가지 민간 신앙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