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443
한자 喪禮服
영어음역 Sangnyebok
영어의미역 Mourning Dress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은정

[정의]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서 상을 당했을 때 입는 옷.

[개설]

관혼상제의 4례(四禮) 중 상례(喪禮)는 사람이 죽었을 때 하는 절차로서 인간의 삶은 이 세상에서 죽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저 세상에서 다시 태어난다고 생각하여 정성을 다하였다. 고창 지역은 전통적으로 조상을 소중히 모시고, 조상이 돌아가셨을 때 예를 갖추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의미로 상례복[상복]을 갖추어 입는다. 예전에 고창군 해리면 광승리 상부마을의 상복은 상주와 일가친척이 전통 상복인 굴건과 제복을 준비하여 착용하였고, 죽음을 맞은 망자는 수의를 입혔다. 최근에는 장의사나 병원의 영안실에서 상례 절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병원에서 주문한 상복을 갖추어 입는다.

[수의]

상례 복식으로 수의는 죽음을 맞이한 망자에게 입히는 복식이다. 해리면 광승리 상부마을의 수의는 윤달이나 손 없는 길일을 택해 미리 제작해 두었다. 수의는 대부분 광목이나 삼베와 같은 천연 섬유로 제작하였으나, 가정 형편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착용했던 옷을 깨끗하게 빨아 활용하기도 하였다. 현대에는 상을 당하면 장례 전문 업체에서 수의를 구입하기도 한다. 해리면 광승리 상부마을의 수의는 남자 수의와 여자 수의로 구분된다.

1. 남자 수의

남자 수의의 종류는 복두, 적삼, 속바지, 바지, 버선, 행전, 두루마기를 기본으로 멱목, 엄, 원삼, 악수, 턱받이, 버선, 소낭, 욕, 교가 있다. 고창군 해리면 상부마을에서는 가정 형편에 따라 수의의 종류에서 도포를 더하기도 하고, 소재는 고급 천연 소재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하의인 바지는 일반 바지와 같은 형태이나 평상시에 입는 바지와 달리 속바지와 겹쳐서 고정해 놓았다. 전체적인 수의의 형태는 일반적인 전통 복식과 동일하나 시신이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착용의 편리함을 위해서 일반 복식 보다는 길이와 품이 넉넉하게 제작되었다.

2. 여자 수의

여자 수의의 종류는 적삼, 저고리, 속바지, 단속곳, 치마, 족두리, 멱목, 엄, 악수, 턱받이, 버선, 소낭, 욕, 교가 있다. 전체적인 수의의 형태는 일반적인 전통 복식과 동일하나 시신이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착용의 편리함을 위해서 일반 복식 보다는 길이와 품이 넉넉하게 제작되었다. 남자 수의와 마찬가지로 생활 정도에 따라 속저고리, 원삼, 대대, 족두리를 더하기도 하고, 고급 천연 소재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족두리는 수의를 제작하는 소재로 혼례복의 형태를 모방하여 격식을 갖추었다.

[상복]

상복은 망자의 상주나 일가친척이 입는 상례 복식이다. 예전에 해리면 광승리 상부마을에서는 상복은 상을 당한 날부터 마을 사람들이 모여 함께 준비하였다. 상주가 준비한 마포나 당목으로 상복을 제작하였는데, 바느질은 거칠게 하여 시접을 잘 마무리하지 않고 밖으로 넘겼다. 남자 상복은 최의, 최상, 중단, 건, 관, 수질, 교대, 수질, 요질, 상장, 행전으로 구성되었다. 머리에 쓰는 수질과 허리에 두르는 요질은 삼이나 짚으로 꼬아 만들었다. 수질과 요질의 짚 사이에 여분에는 마포 천을 넣어 만들었다. 상주는 죽장을 짚었다. 여자 상복은 면 소재인 당목으로 치마저고리를 만들고, 머리에는 두건 위에 짚으로 꼬아 만든 수질을 둘렀다. 상복의 착용 시기는 예전에는 대부분 1년 상을 치르고 탈복을 하면 상복을 불태운 경우가 많았으나 집안이 어려운 사람은 상복을 빨아 두었다가 집안에 상을 당하면 다시 착용하기도 했다.

현대는 아들이나 사위인 남자는 전통적인 상복 대신 검정 양복을 착용하고 장례 일정이 끝나면 상복을 벗는다. 이러한 의식은 전통적으로 조상을 소중히 모시고 숭배하는 효 사상에 근거한 것으로, 살아 계신 부모님에 대한 공경의 자세는 물론 돌아가셨을 때 조상에 대한 예를 갖추는 데 최선을 다 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