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0552
한자 烽燧
영어음역 Bongsu
영어의미역 Beacon Fire Statio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검산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주명준

[정의]

조선 시대 전라북도 고창 지역에 분포하는 불과 연기를 이용한 통신 수단과 시설.

[개설]

봉수제도는 변방의 다급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군사적 목적으로만 사용하였다. 봉수대는 수십 리마다 눈에 잘 띄는 산꼭대기에 설치하여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신호를 보냈다. 모든 봉수에는 봉수대가 5개 있었는데 이는 거수를 5구분하였기 때문이다. 평상시에는 횃불 1개, 적이 나타나면 횃불 2개, 적이 국경에 접근하면 횃불 3개, 국경을 침범하면 횃불 4개, 전투가 벌어지면 횃불 5개로 각각 신호하였다. 봉수대에서 생활하며 임무를 수행하는 요원으로 봉화군과 오장 또는 오원이 있었다. 봉수군의 신분은 신량역천(身良役賤)이었다. 신분상으로는 양인이나, 국역으로는 천한 일을 담당하고 있었다.

[전국 다섯 선로의 직봉]

고려 말의 봉수 선로가 조선 초기에도 그대로 이어졌으나 1446년(세종 28) 봉수에 대한 규정을 크게 개혁 정비하면서 전국 봉수의 선로별 성책(成冊)을 만들어 경외(京外)의 관아에 수장하였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의 봉수조에 의하면 전국 5로의 주요 선로[幹線]를 직봉(直烽)이라고 했다. 그것은 북동쪽 두만강변의 우암(牛巖)[혹은 경흥 서수라], 남동쪽 해변의 응봉(應峰)[혹은 동래 다대포], 북서쪽 압록강변의 여둔대(餘屯臺)[혹은 강계 만포진]와 정주(靜州)[혹은 의주], 남서해변의 돌산포(突山浦)[혹은 순천 방답진]를 기점으로 모두 서울의 목멱산에 도달하게 되어 있었다. 직봉 이외에 간봉이라는 보조선이 각 직봉 선상에 있었다.

[고창의 봉수]

고창 지역에는 무장현고리포(古里浦) 봉수소응포(所應浦) 봉수 등 두 곳이 있었다. 고창을 지나는 봉수는 서남거 제5거에 속해 있었다. 서남거 제5거는 돌산에서 시작하여 대략 백야곳[순천]-팔영산[고흥]-전일산[장흥]-완포[강진]-달마산[영암]-황원산[해남]-유달산[무안]-옹산[함평]-차음산[영광]-흥농산[영광]-고리포-소응포-월고리[부안]-점방산[부안]-화산[옥구]을 거쳐 서울 목멱산에 이르렀다.

1. 자룡리 봉수대 터[고리포 봉수대 터]

상하면 자룡리 신자룡 산69-1번지에 있는 이 봉수대 터는 고리포 북동측에 있는 안산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높이 120m의 정상부는 평탄한 대지를 형성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무장현 봉수조를 보면, “고리포 봉수는 현에서 서로 20리에 있다. 남쪽은 영광군 홍농산(弘農山)에 응하고, 북쪽은 소응포에 응한다[古里浦烽燧在縣西二十里 南應靈光郡弘農山 北應所應浦].”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으로 보아 이 봉수대는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산에서 연락을 받아 북쪽의 소응포 봉수로 전달해 주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자룡리 봉수대 터는 대부분 파괴되었고, 현재 정자가 건립되어 있다.

2. 검산리 봉수대 터[봉백산 봉수대 터]

상하면 검산리 산75에 소재한 이 봉수대 터는 검산마을 뒤편 봉백산[157m] 정상에 위치하고 있다. 정상부에는 폭 5~6m 정도의 작은 규모로 조성된 2단(二段)의 석축이 둘러쳐진 평지가 있다. 석축은 대부분 무너져 석재들이 흩어져 있고, 중앙부에는 잡석들이 어지럽게 널려 있다. 이 야산의 이름은 봉화대가 있었다고 하여 봉백산이라고 한다. 『대동지지』에 의하면 "무장현 서북쪽 28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지금의 상하면 장호마을 동쪽이다. 이는 해리면 나성리 월봉마을 부근으로 추정된다.

3. 금평리 봉수대 터[소응포 봉수대 터]

소응포 봉수는 해리면 금평마을에서 남서쪽으로 올라가는 낮은 산[높이 122m]에 있다. 『동국여지승람』 무장현 봉수조에는 “소응포 봉수는 현에서 북으로 20리에 있다. 북쪽은 부안현의 월고리산에 응한다[所應浦烽燧 在縣北二十里 北應扶安縣月古里山].”는 기록이 있다. 지금의 해리면 동호리 솔개[소리개]인 것으로 추정되며, 소리개 남쪽에 해당하는 방축리의 봉화산에 봉화대가 있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08.22 내용 수정 봉백산 봉수대, 소응포 봉수대 내용 수정 및 보완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