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0534
한자 岩峙里-
영어음역 Amchi-ri Goindol
영어의미역 Dolmen in Amchi-r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 산 83-1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김선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분|고인돌
양식 기반식
건립시기/연도 청동기시대
높이 90~180㎝[덮개돌]|30~70㎝[받침돌]
지름 장축 768㎝·단축 504㎝[덮개돌]
소재지 주소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 산 83-1 지도보기
소유자 고창군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개설]

성송면 암치리 암치마을은 성송면에서 전라남도 지방으로 넘어가는 고개 입구에 속한다. 마을 일원에는 30여 기의 고인돌이 있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멸실되고 암치리 암치마을 옆 진등에 5기, 마을 남쪽에 2기가 있으며, 발굴 조사된 대형의 고인돌 1기가 남아 있다.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1999년 고창농지개량조합에서 농촌 용수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암치마을 암치제 앞에 새로운 제방을 쌓았다. 공사 과정에서 암치리 고인돌이 발견되어 그 해 12월에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무덤방이 없는 고인돌이라는 게 확인되었다.

[형태]

덮개돌은 장축 768㎝, 단축 504㎝, 두께 90~180㎝이고, 무게 85톤의 초대형 덮개돌을 올린 고인돌이다. 덮개돌의 평면 형태는 원래 장타원형이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단면은 장방형이다. 받침돌은 중앙에 한 개, 주변에 여섯 개를 괴었다. 받침돌의 높이는 30~70㎝로 일정하지 않으며, 형태 역시 주형을 보이는 것과 괴석형을 보이는 것이 섞여 있다.

일부 받침돌은 덮개돌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균열된 것도 있다. 발굴, 조사 때 무덤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덮개돌 주위를 따라 부석 시설을 놓았을 뿐이다. 부석은 외부에는 비교적 큰 돌을, 안쪽에는 작은 돌을 이용하였다.

[출토유물]

돌도끼로 사용하였을 것으로 판단되는 석기 1점과 민무늬토기 2개체분, 붉은간토기편 1점이 출토되었다. 그리고 후대 옹기 5점이 출토되었는데, 고인돌을 후대에 소아 옹기무덤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황]

암치리 고인돌은 제방 건설에 따라 동쪽 저수지 옆으로 이전, 복원한 것이다. 고인돌 덮개돌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석재들도 함께 옮겼다.

[의의와 평가]

전국에서 드물게 초대형 덮개돌을 가진 고인돌에 대한 발굴, 조사였다. 암치리 고인돌은 무덤방이 없는 무묘실 고인돌로, 단독으로 있어 제단 고인돌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발굴, 조사 결과 부석 윗면에서 민무늬토기, 붉은간토기, 돌도끼 등 부장 유물로 보이는 자료들이 출토되어 무덤 성격의 고인돌로 판명되었다. 어린아이의 사체를 옹기에 담아 고인돌 아래에 넣어두었던 고창 지역의 풍습을 알 수 있는 발굴, 조사였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이** 岩峙里- → 岩峙里支石墓

한자명 수정해주세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목명은 한자와 한글을 1대1로 일치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기하신 의견은 수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06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