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흥덕농민봉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0481
한자 興德農民蜂起
영어음역 Heungdeok Nongmin Bonggi
영어의미역 Heungdeok Peasants' Uprising
이칭/별칭 이화삼 봉기,영학당의 난,흥덕민란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신순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농민 운동
발생(시작)연도/일시 1898년 12월 27일연표보기
종결연도/일시 1898년 12월 30일연표보기
관련인물/단체 이화삼(李化三)|임용현(林鏞炫)|최주백|안사유|서운익|정계술(丁桂述)|박기수(朴基洙)|채기엽(蔡基燁)|김성규|이복환(李卜煥)|이이선(李二先)|국경순(鞠景珣)|박우종(朴佑鍾)|송민수|이성도|이지백

[정의]

1898년 12월 고창 지역에서 흥덕군수의 탐학에 항거하여 일어난 농민 운동.

[역사적 배경]

동학 농민 혁명의 여운이 채 가시지 않은 1898년(고종 35) 지방 수령의 수탈 행위는 끊이지 않고 계속되었다. 안으로는 봉건 정부의 수탈과 밖으로는 외세 침략에 위기의식을 느낀 사람들이 영학당을 조직하였다. 영학당은 동학 남접 세력으로 동학 농민 혁명의 상처가 남기고 간 잔여 세력이자 국가의 운명을 걱정하는 의식 있는 민중 세력이었다. 그 가운데 흥덕에 살고 있는 이화삼(李化三)은 개혁에 일찍이 눈떠 흥덕 수령의 탐학으로 고통 받는 민중을 구원하고자 흥덕농민봉기를 이끌었다.

[발단]

흥덕농민봉기는 1898년 12월 흥덕 관아를 습격한 봉기로 무장 농민 조직인 영학당이 관여하였다. 영학당은 동학당의 잔여 세력들이 1898년 전라도 지역에서 ‘동학’ 대신 ‘영학’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여 재건한 조직이다. 영학당의 조직 가운데 가장 먼저 봉기한 것은 흥덕영학당이었다. 흥덕영학당 두령 이화삼은 1898년 12월 300여 명의 농민을 이끌고 관아에 들어가 민회(民會) 형식으로 농민들의 의사를 모아 군수를 내쫓았다. 이 민회에서 흥덕군수의 무미(貿米)·세전 독징(稅錢督徵) 등 탐학상이 지적되었다.

당시 흥덕군수 임용현(林鏞炫)의 아래와 같은 탐학을 저질렀다고 지적되었다. 첫째 세금이나 환곡의 미납을 독촉하면서 농민들을 불러다가 혹독하게 곤장을 치는 행위, 둘째 고마답(雇馬沓)[백성들이 돈을 내어 매입한 전답]을 팔아서 착복한 행위, 셋째 모경답(冒耕沓)[허락 없이 남이 땅에 농사를 지음]을 팔아서 착복한 행위이다. 넷째 교임(校任)·이임(吏任)·훈임(訓任)을 돈을 받고 임명해서 당시 흥덕 관리의 진술에 의하면 향교장의 오세필은 100냥, 북면 훈임 이경인은 70냥을 냈다. 일남면 빈월산 오국경은 과부를 겁탈하였다는 죄목으로 170냥을 헌납하였고, 기타 소송에서도 돈을 받고 송사를 해결해 주었다. 다섯째 방곡(防穀) 및 세금으로 민간에서 쌀을 사들이면서 1석당 시가 15냥 하는 쌀을 13냥 5전으로 사들여 차액을 착복하는 행위를 저질렀다.

[경과]

흥덕 중남당리에 사는 이화삼은 이웃 마을 송관오의 장례식에 갔다가 군수의 탐학에 군민의 원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고 이웃 외남당리 송민수를 찾아가 진정서[등장(等狀)]를 내기로 하였다. 그러나 소극적인 항의에 대한 결과를 주민들이 잘 아는 터라 더욱 적극적인 방법을 취하기로 하였다.

이에 이화삼은 최주백·안사유·서운익 등을 만나 1898년 12월 27일 거사를 치르자고 모의한 뒤 송민수와 더불어 북면 중남당리·외남당리·하담당리·동면 산양리·관정리·생근리 등 5~6개 마을 사람 300여 명을 거느리고 읍내로 들어갔다. 이때 정계술(丁桂述)·박기수(朴基洙)·채기엽(蔡基燁) 등이 선봉에 서 내아를 부수고 잠자던 군수를 끌어내어 작청(作廳)[군아(郡衙)에서 아전들이 보던 곳]의 서방에 가두었다. 그리고 인신을 빼앗고 만민공동회의 방식으로 군민들의 의견을 물어 군수를 내쫒았다. 이 사태는 흥덕향장으로부터 보고를 받은 광주관찰부에 전달되었고, 즉각 진위대를 파견하여 군민을 진압하는 한편 장성군수 김성규를 보내 경위와 사실을 보고하도록 하였다.

[결과]

사흘 뒤 광주에서 파견된 관군에 의해 민란은 진압되었고, 이화삼과 관련 인물은 체포되었다. 이화삼이 붙잡힌 뒤 영학당은 1899년 5월 4일 흥덕군에서 호남공동대회(湖南共同大會)를 열고 이화삼의 석방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그러나 이화삼은 석방되지 않고 5월 27일 광주로 극비리에 이송되었다. 이 같은 사실을 알게 된 영학당 등 농민 400여 명은 그날 밤 고부에서 봉기하여 고부 관아를 점령하고 무기를 탈취한 다음, 자신들이 ‘보국안민(輔國安民)’과 ‘척왜양(斥倭洋)’을 위하여 봉기하였음을 방문을 통하여 천명하였다.

이 사건으로 1899년 6월 전라남도 재판소에서 이화삼[34세, 태 100, 징역 종신형], 정계술[28세, 태 80, 징역 10년], 이이선(李二先)[32세, 태 80, 징역 10년], 이복환(李卜煥)[33세, 태 70, 징역 7년], 박기수[43세, 태 70, 징역 7년], 채기엽[42세, 태 70, 징역 7년]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정부의 은사령으로 이화삼은 15년, 정계술·이이선은 7년, 이복환·박기수·채기엽 등은 각각 5년으로 감형되었다.

이외 흥덕 관리 국경순(鞠景珣)[67세]은 당시 흥덕군 수교(首校)로서 민란을 막지 못하였다는 죄로 구금되었으나 다시 민란 두목을 잡은 공으로 석방되었다. 박우종(朴佑鍾)[42세] 역시 흥덕군 수서기(首書記)의 위치에 있으면서 민란을 방지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인신을 빼앗겨 국금되었으나 석방되었다. 송민수·최주백·이성도·이지백·안사유·서운익 등은 도피하였다.

[의의와 평가]

흥덕농민봉기는 동학의 잔여 세력이 일으켰는데, 이는 흥덕농민봉기의 연장선상에서 일어난 정읍농민봉기[5월 봉기]를 지휘한 최익서가 “우리 당은 모두 갑오년의 여괴(餘魁)·누도(漏徒)로서 이번에 봉기하였다”라고 말한 데서도 잘 나타난다. 또한 그들이 내건 보국안민과 척왜양도 동학의 기치와 같았다.

그리고 정읍농민봉기를 보도한 당시 『황성신문』은 자연재해로 농민들의 빈궁이 가속화되고, 거기에 지방관들의 탐학이 더해져 농민들의 봉기를 부추겼다고 평가하면서 그 같은 상황이 다른 지방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하였다. 곧 이들의 봉기는 1894년의 동학군 봉기를 계승한 농민들의 반침략·반봉건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